• 제목/요약/키워드: FLDF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불완전한 데이터를 처리할수 있는 분류기 (A Classifier Capable of Handling Incomplete Data Set)

  • 이종찬;이원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53-62
    • /
    • 2010
  • 본 논문은 변수 값들이나 부류 값을 손실한, 불완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집합을 가지고 학습하는 문제에 적용될 수 있는 분류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이 알고리즘은 가중치 값과 확률 기법들을 이용하는 데이터 확장 방법을 사용한다. 이는 휘셔(Fisher)의 식을 기반으로 최적의 투사 면이 되도록 고려된 분류기를 확장함으로써 수행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확장에 적용되는 과정으로 부터 몇몇 식들이 유도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평가를 위해, 데이터에서 하나의 변수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변수에 소실 값과 소실되지 않은 값들의 비율을 변형함에 의해 다른 측정값들의 결과들이 반복적으로 비교된다. 또한 데이터 집합의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기계학습에서 지식 습득 도구로 널리 쓰이는 C4.5의 결과와 비교한다.

결정트리를 이용하는 불완전한 데이터 처리기법 (Incomplete data handling technique using decision trees)

  • 이종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9-45
    • /
    • 2021
  • 본 논문은 손실값을 포함하는 불완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논한다. 손실값을 최적으로 처리한다는 것은 학습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정보들에서 본래값과 가장 근사한 추정치를 구하고, 이 값으로 손실값을 대치하는 것이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분류기가 정보를 분류하는 과정에서 완성되어가는 결정트리를 이용한다. 다시말해 이 결정트리는 전체 학습 데이터 중에서 손실값을 포함하지 않는 완전한 정보만을 C4.5 분류기에 입력하여 학습하는 과정에서 얻어진다. 이 결정트리의 노드들은 분류 변수의 정보를 가지는데, 루트에 가까운 상위 노드일수록 많은 정보를 포함하게 되고 말단 노드에서는 루트로부터의 경로를 통해 분류 영역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각 영역에는 분류된 데이터 사건들의 평균이 기록된다. 손실값을 포함하는 사건들은 이러한 결정트리에 입력되어 각 노드의 정보에 따라 순회과정을 통해 사건과 가장 근접한 영역을 찾아가게 된다. 이 영역에 기록된 평균값을 손실값의 추정치로 간주하고, 보상 과정은 완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