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ATS-A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4초

FIATS-AS를 활용한 자세보조기구의 기능적 효과평가 (Clinical Outcomes of Associated with Adaptive Seating Device Using FIATS-AS)

  • 권혁철;공진용
    • 재활복지
    • /
    • 제18권4호
    • /
    • pp.207-220
    • /
    • 2014
  • 본 연구는 지체 및 뇌병변 장애를 가진 아동(1~13세)에게 제공된 자세보조기구의 효과를 아동을 보살피는 보호자 관점에서 효과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장애아동의 보호자 42명을 대상으로 FIATS-AS(Family Impact Assistive Technology Scale for Adaptive Seating)를 이용하여 자세보조기구의 효과성을 보호자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기구 지원전 2번의 조사, 기구 지원 이후 2번의 조사 총 4번의 조사를 실시하여 반복측정을 통한 FIATS-AS 점수를 비교하였다. 또한 영유아(1~3세), 미취학(4~7세), 취학(8~13세)으로 3가지 연령대로 분류하여 연령대 간의 점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검증결과 자세보조기구의 제공은 장애아동의 보호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에 따른 변화차이를 본 결과 1~7세의 취학 전 어린 연령대의 장애아동 보호자에서 의미있는 변화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자세보조기구는 아동에게 환경으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아동에 대한 보호자의 지원수준을 경감시킬 수 있는 의미있는 도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자세보조기구와 같은 환경조정은 장애인과 보호자의 삶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할 수 있다.

광합성세균에 의한 수소 생산에 관한 연구 (제 1보) 광합성균의 분리 및 동정 (Studies on Hydrogen Evolution by Photosynthetic Bacteria(Part 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Photosynthetic Bacteria)

  • 배무;양성우;고영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7-32
    • /
    • 1982
  • 광합성세균에 의한 수소산을 목적으로 성남근교의 논 토양으로부터 수소를 다량 생산하는 비유황세균 1주를 분리하고 동정하였다. 이 균주의 생리적 형태적 및 배양상의 특성을 규명한 결과 Rhodopseudomonas gelatinosa K-13으로 동정되었다.

  • PDF

랫드 자궁비대반응시험(Uterotrophic assay)을 이용한 phthalate esters의 에스트로겐성 작용 연구 (No Estrogenic Activity of Phthalate Esters in Ovariectomized Rat Uterotrophic Assay)

  • 한순영;문현주;김형식;김철규;신재호;오세동;장성재;박귀례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8권2호
    • /
    • pp.147-152
    • /
    • 2000
  • The rodent uterotrophic assay is currently recommended as one of the primary in vivo assays far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by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nd Endocrine Disruptor Screening and Testing Advisory Committee (US EPA EDSTAC). Generally, this assay relies on the rapid increase in uterus and vagina weights when exposed to estrogenic compounds. Phthalate esters have been used extensively as a plasticizer in the manufacture of plastic products such as PVC films and medical devices. Recently, phthalate esters have been shown to induce endocrine system mediated responses. However, a fl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screening of their estrogenic activity. In this study the estrogenic activity of seven phthalate esters, butyl benzyl phthalate (BBP),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di-n-butylphthalate (DBP), diethylphthalate (DEP), di-n-pentylphthalate (DPF), di-n-propylphthalate (DPrP) and dicyclohexylphthalate (DCHP), was examined in uterotrophic assay. Phthalate esters dissolved in corn oil were administered to ovariectomized (OVX) female Sprague-Dawley rats by sub-cutaneous injection for three consecutive days. fiats were sacrificed 24h after final treatment, and then uterus and vagina weights were deter mined. All phthalate esters tested in this assay did not change talc uterus and vagina weights at dosage levels up to 200 mg/kg/day treatment.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phthalate esters did not exhibit estrogenic activity in vivo uterotrophic assa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