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EDING SITE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1초

두루미류 취식지역의 공간적 분포 및 서식밀도와 잠자리, 도로, 인가지역과의 관계 (Spatial Distribution of Feeding Sit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nsity and Environmental Factors(Roosting Site, Road and Residence) of Cranes in Cheorwon Basin, Korea)

  • 유승화;권혁수;박종준;박종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16-525
    • /
    • 2011
  • 본 연구는 두루미류의 공간적 분포 양상을 확인하고, 환경요인(잠자리, 도로, 인가)의 영향범위와 영향력을 평가한 것이다. 조사는 2007년 1월에서 2월까지 4회에 걸쳐 철원지역 두루미류의 분포를 거리측정기와 GPS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두루미류의 서식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된 지역은 총 $76.9km^2$였으며, 두루미 Grus japonensis 와 재두루미 Grus vipio 555개 무리의 분포위치를 수집한 후 환경요인과의 거리별 밀도를 분석하였다. 두루미류의 취식분포는 특정지역에 밀집한 분포를 보였으며, 인근지역에서 취식하는 두루미류 취식무리 간의 개체수는 공간적자기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루미류의 취식무리수 밀도는 잠자리와의 거리에 따라 상관이 없었다. 하지만, 포장도로와 인가지역은 가까울수록 서식밀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포장도로의 경우 1,500m 에서 밀도 변곡점을 보였으며, 인가지역으로 부터 취식밀도는 1,750m 에서 밀도 변곡점을 보였다. 잠자리와 취식지간의 거리별 밀도변화는 취식무리수 밀도에서만 확인할 수 없었다. 포장도로와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두 종의 취식무리수 밀도는 증가하지 않았으나, 개체수밀도는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인가와의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취식무리 밀도와 개체수밀도 모두에서 유의한 증가양상을 나타내었다. 잠자리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두루미는 취식무리 밀도와 개체수밀도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재두루미의 경우 증감의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도심내 인공구조물에서 번식하는 참새의 둥지위치 특성과 먹이급이행동 분석 (A study of nest-site characteristics and feeding behavior on Tree sparrows bred in urban artificial structures)

  • 정슬기;이후승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97-110
    • /
    • 2020
  • This study conducted observations at 72 traffic lights and road signs in Sejong-si, Korea from March to June 2019 in order to analyze nest-site, nest-site characteristics and feeding behavior in Tree sparrow (Passeer montanus) in urban. Feeding behavior during breeding season in 2019 was investigated at 10 Town representing traffic facilities installed on the road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ity and 10 Riverside Geumgang river's riverside road. We fitted both general linear model and regression model to our field data and estimated the spatial variation of initial date of the first feeding (i.e., being date of breeding) and the total number of caterpillar fed by parents per hour. Our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nest building on artificial structures, such as traffic lights, was about 26% higher and about 8 days earlier in the riverside. In particular, the first feeding was significantly faster when the nearest distance between nest to green field as foraging site was shorter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f the number of nest within 50 meters on the first feeding. Number of caterpillars fed by parents was higher in the Riverside than in the Urban, and especially the number in the second brood was sharply decreased in the Urban. As we estimated average amount of caterpillars per hour to 446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Sejong-si, it was estimated that Tree sparrows fed 18,742.8 caterpillars per hour during the breeding season. In this study, we showed that characteristics of nests built in artificial structures and feeding behavior in order to analyze effects of environmental condition in urban on life-history traits during the breeding season. Finally, we discussed the conservation of birds in urban and pest control effects.

천수만에 도래하는 기러기류의 분포양상과 시기에 따른 분포의 변화 (Distribution Aspect and Seasonal Distribution Change of the Wintering Geese in Cheonsu Bay)

  • 유승화;김준범;김인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32-639
    • /
    • 2008
  • 기러기류의 분포양상과 시기에 따른 분포변화에 대한 연구를 2006년 10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천수만 부남호와 간월호에서 실시하였다. 기러기류는 주간에 주로 농경지에 분포하였으며, 해안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격자별 최대개체수를 이용한 분포도에서, 농경지에서 관찰된 기러기류는 부남호와 간월호 지역 모두 면적이 넓은 지역에 대한 분포비율이 높았다. 특히, 잠자리지역인 저수지와 가까운 지역의 취식비율이 높았다. 기러기류의 주간 취식지는 부남호와 간월호 모두 초기 10월에는 잠자리 지역인 저수지 인근 농경지를 이용하였지만, 월동 중기 1월 이후에는 잠자리에서 먼 지역을 취식지로 이용하였다. 월동말기인 3월에는 개체수 규모가 크게 줄어들고 잠자리에서 먼 지역의 농경지를 더 높은 비율로 이용하였다. 저수지에서 가까운 1km 이내 지역의 평균 개체수가 다른 지역에 비하여 높았다. 월동초기($10{\sim}11$월)에는 저수지 인근지역이 취식지로 선호되었지만, $12{\sim}1$월 그리고, $2{\sim}3$월로 갈수록 평균 서식개체수의 차이가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km 이내의 격자지역은 초기에 매우 높은 서식지 이용률을 보이지만 차차 감소하여 2월 이후 다시 증가하였다. 반면, 저수지로부터 2km 이상 떨어진 지역은 초기에 매우 낮은 서식지 이용률을 보이지만, 점차 증가하여 1월말에 최대 이용률을 보이고,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1km 이상2km 미만에 해당하는 지역은 초기에 2km 이상지역보다 이용률이 높고, 1km 미만의 지역보다 낮은 서식지 이용률을 보이지만 11월까지 증가하다가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기러기류의 취식지 선택이 잠자리와의 거리에 영향을 받으며, 취식무리의 체류 시간에 따라서 먹이량이 감소하여 취식지 선택 양상이 변화하는 것을 보여준다.

철원지역에서 월동하는 두루미류의 지형과 식생에 의한 미소 취식지 선호성 (Micro Feeding Site Preference of Wintering Cranes by Topography and Vegetation in Cheorwon Basin, Korea)

  • 유승화;김인규;이한수;이기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18-430
    • /
    • 2009
  • 두루미류 취식무리의 미소 취식지 선호에 대한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철원지역에서 월동기인 2005년 12월에서 2006년 2월, 2007년 1월에서 2월까지 총 12회 실시하였다. 두루미와 재두루미가 먹이로 하는 쌀 낙곡의 밀도는 논의 중앙보다 가장자리에 많았다. 하지만, 두루미류는 논의 중앙보다는 논둑 인근 지역을 취식장소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상대적으로 재두루미는 두루미에 비하여 논의 중앙 지역을 취식장소로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다. 두루미의 경우 논둑이 높고 논둑 식생의 높이가 높은 경우와 논둑 높이와 식생의 높이를 합한 높이가 높은 경우를 취식위치로 선호하였다. 재두루미는 논둑, 식생, 논둑과 식생의 높이 합이 키에 비하여 높은 경우를 선호하지 않았다. 또한, 두루미와 재두루미에서 모두 은폐지역에서 취식하는 비율이 날씨요인과 관계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두루미류가 개방된 취식지(수평가시권이 넓은 지역)를 선호한다는 기존 가설과는 달리 은폐된 취식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간의 비교에서는 두루미가 재두루미에 비하여 은폐된 지역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리크기별 은폐지역과 비은폐지역 취식비율은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무리크기를 고려하지 않은 취식비율과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두루미가 은폐지역을 선호하고 재두루미가 은폐지역에 상관없이 취식지를 선택하는 경향은 취식무리의 크기에 좌우되지 않는 종 특이적인 성향을 보였다.

한강하구에서 월동하는 재두루미 개체군의 취식지 이용 (Use of Feeding Site by Wintering Population of White-naped Crane in Han-river Estuary, Korea)

  • 이화수;김정수;구태회
    • 환경생물
    • /
    • 제27권4호
    • /
    • pp.375-383
    • /
    • 2009
  • 본 연구는 경기도 고양시와 김포시 인근의 한강하구지역에 도래하여 월동하는 재두루미의 도래 및 취식지역 이용현황, 잠재식이물, 주간 일주행동 그리고 방해요인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이 지역 재두루미의 월동생태에 대한 기초자료 구축과 지속적인 서식을 위한 보전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재두루미는 본 지역에서 2월 중순에 최대개체수인 162개체가 확인되었고, 3월 중순에 모두 번식지역으로 이동하였다. 월동기간 동안 한강 주변 김포시와 고양시의 농경지역인 홍도평, 이화동, 평동 그리고 송포동지역을 취식지역으로 이용하였으며, 월동지 전체의 이용가능일수(ECC)는 334일(121~909일)이었다. 재두루미는 오전에 취식지역으로 이동하여 먹이 활동을 하였으며, 방해요인이 발생하면 한강의 갯벌로 이동하여 먹이 활동을 하거나 휴식을 취했다. 일주행동은 취식, 경계, 이동, 깃다듬기, 안락, 사회 및 기타행동으로 나누어 조사 하였으며, 월동지에서는 취식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일주행동 중 취식, 경계, 이동 그리고 깃다듬기는 취식지역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취식지역에서 재두루미의 월동에 방해를 주는 요인은 총 348회가 관찰되었으며, 차량, 사람, 자전거 및 오토바이와 같은 인위적인 방해요인과 소음, 동물, 기타의 자연적인 요인이 있었다. 방해요인은 이화동 (134회), 홍도평 (109회), 송포동 (64회) 그리고 평동(44회)의 순으로 관찰되었으며, 인위적인 방해요인(228회)이 자연적인 방해요인(120회)에 비해 많았다. 특히, 그 중에서 차량에 의한 방해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유부도 일대에 서식하는 검은머리물떼새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의 번식기 섭식지 유형에 따른 섭식행동과 먹이원 (Foraging Behavior and Preys in Relation to Feeding Site Types of the Eurasian Oystercatcher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during the Breeding Season in Yubu Island, Korea)

  • 이상연;최유성;주성배;정길상;유영한
    • 생태와환경
    • /
    • 제51권2호
    • /
    • pp.184-191
    • /
    • 2018
  • 섭금류인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는 주로 조수 경계부를 섭식지로 이용하는데, 번식기에는 간조시 드러난 갯벌에서 섭식하는 개체들이 일부 관찰된다. 드러난 갯벌에서 섭식하는 경우 조수 경계부에 비해 걸음수가 더 많고, 먹이탐색을 위해 중복탐침과 찔러넣기 행동의 비율이 더 높았지만, 섭식성공률은 현저히 낮았다. 또한, 주요 먹이원은 드러난 갯벌에서는 갯지렁이류였지만, 조수 경계부에서는 복족류(서해비단고둥)와 이매패류로 섭식지 유형간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번식기에 국한하여 드러난 갯벌을 섭식지로 이용하는 현상은 본래 선호하는 섭식지에 비해 효율이 떨어지더라도 번식 성공을 위해 번식지와 가까운 지역을 섭식지로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번식이라는 생활사 변화에 맞춰 검은머리물떼새가 섭식행동과 먹이원을 달리함으로써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이 가능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Design of a Biconical Antenna with Cylindrical Loads for EMI Test Site Validation above 1 GHz

  • Kong, Sung-Sik;Choi, Jae-Hoon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8권1호
    • /
    • pp.1-5
    • /
    • 2008
  • In this paper, a biconical type antenna is proposed for EMI test site validation above 1 GHz. To achieve broadband and om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s required by international standard(CISPR), the proposed antenna consists of general bicones with cylindrical loads and adopts side feeding method to minimize the influence on H-plane pattern due to feeding cable, balun, and connector. The radiation patterns of the fabricated antenna are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CISPR criteria and commercial antenna in our interest frequencies. Although the proposed antenna has a few problems in frequency range of 1 GHz to 2 GHz, it has relatively better performance than commercial antenna.

통영해역에 서식하는 아므르불가사리의 분포 특성과 서식처에 따른 먹이 선호도 비교 (Distribution Pattern and Feeding Preference of Asterias amurensis (Echinodermata: Asteriidae) in Tongyeong, Korea)

  • 백상규;박흥식;윤성규;이순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469-477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distributional patterns of Asterias amurensis in Tongyeong, the central South Sea of Korea. The density of the sea star was estimated at 10 chosen sites in the inner and the outer parts of the Tongyeong coast from December 2000. The mean density of the species in this area was $2.4ind./m^{2}$. The seasonal surveys conducted at 3 arbitrary chosen sites (i.e., sea cage, reef and soft sediment) also showed that the abundance of the species at the sea cage site $(density:\;3.6\;ind./m^{2};\;biomass:\;250.7\;gwwt/m^{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at the reef site $(density:\;1.7\;ind./m^{2};\;biomass:\;63.5\;gwwt/m^{2})$ and the soft sediment site $(density:\;0.4\;ind./m^{2};\;biomass:\;18.9\;gwwt/m^{2})$. Densities were higher at sea cages areas than at reefs and soft bottom sites. At sea cage site, A. amurensis population exhibited a strong aggregated distributional pattern. In contrast, at reef and soft bottom sites, A. amurensis population showed a random distributional pattern. The spatial difference in prey species and its abundance was the primary factor determining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the sea star in its behavior characteristics. Experiments on the feeding preference indicated that A. amurensis had a strong selectivity on its prey, but this selectivity varied between populations living in different sites. In particular, A. amurensis populations at the reef site showed a strong selectivity on various sessile and mobile animals living in reef areas, suggesting that these animal groups may play a role as "windows for the survival of A. amuren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stribution of A. amurensis in Tongyeong is closely associated with abundance of prey species and the bottom composition.

Evaluation of Winter Barley Fields as Feeding Habitat for Waterfowl in the Dongup Reservoir System, Korea

  • Lee, Chan-Woo;Kim, Gu-Yeon;Jang, Ji-Deok;Joo, Gea-Jae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2호
    • /
    • pp.165-169
    • /
    • 2006
  • As a Biodiversity Management Plan in S. Korea, barley fields are being prepared for the wintering migratory bird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barley fields as a feeding habitat has not been evaluated. In 2003/04 wintering period, we installed exclosures in the barley fields to evaluate the waterfowl grazing effectiveness. Approximately 8,000 waterfowls used the Dongup Reservoir System and utilized the barley fields during the daytime. The white-fronted goose Anser albifrons occupied more than 90% of the all barley-feeding waterfowls. Waterfowls significantly impacted to the shoot density and biomass of barley. In the closed plot, barley shoot density gradually increased to $267{\pm}27/m^2$ in January, 2004. Shoot density in open plots (site 1) declined sharply from.15 December ($189{\pm}18/m^2$) to 5 January 2004 ($25{\pm}11/m^2$). However, barley shoot density in open plots (site 2) was stable in January 2004 because of human disturbances. The changes in barley biomass and shoot density showed similar trend in both open and closed plot. From the exclosure experiment, it was clear that barley fields were important feeding habitat for wintering waterfowls in this area. Further, human disturbances such as noise from traffic and other human activities (farming and hiking) had significant impact on waterfowls' grazing activity. Collectively, winter barley fields were effective for waterfowl feeding, but the location of barley fields should be carefully selected for the maximum utilization of the barley feeding.

철원지역에서 월동하는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서식밀도모델 (Distribution Model of the Wintering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in Cheorwon, Korea)

  • 유승화;이기섭;김화정;허위행;김진한;박종화
    • 생태와환경
    • /
    • 제47권4호
    • /
    • pp.282-29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두루미류의 개체군 및 서식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자연적 요인과 함께, 인간에 의한 직 간접적인 교란의 영향에 의한 서식분포모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은 강원도 철원군의 민간인통제지역이며,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1월의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분포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루미류의 서식밀도는 거주지, 군사시설, 통행량이 빈번한 도로와 가까울수록 서식밀도가 감소하였고, 거리가 멀어질수록 서식밀도는 증가하였다. 통행량이 적은 도로, 잠자리와의 거리 및 비닐하우스의 밀도가 증가할수록 두루미류의 서식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두루미류의 서식밀도는 민간인통제지역 외부보다 내부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 요인을 이용해 단계적 진입을 통한 회귀분석의 결과, 두루미는 $3.4{\times}$AV_FE (이용이 가능한 농경지의 면적 ha)+$1.27{\times}$N_RES (거주지와의 거리 km)-$0.54{\times}$CCZ_0 (민통선 내:0-외:1)+$0.4{\times}$N_HTR (통행량이 많은 도로와의 거리)-1.40이었다. 재두루미는 $9.0{\times}$AV_FE-$5.47{\times}$N_LTR (통행량이 낮은 도로와의 거리 km)+$0.49{\times}$N_Lake (저수지와의 거리 km)+1.02이었다.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공통적으로 이용 가능한 농경지의 면적이 중요하였고, 두루미에서는 거주지와의 거리 및 통행량이 많은 도로와의 거리가, 재두루미에서는 통행량이 낮은 도로와의 거리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종 모두에서 모델에 의한 추정값과 실제 분포를 이용한 밀도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