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C40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초

곡류 및 두유 식품의 식이섬유 함량 (Dietary Fiber Contents in Some Cereals and Pulses)

  • 김은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1호
    • /
    • pp.98-106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곡류와 두류의 식이섬유 함량을 AOAC 공정법과 Mongeau-Brassard법에 의하여 측정한 후 두 값을 비교, 검토하였다. AOAC 공정법에 의한 곡류의 평균 총 식이섬유 함량은 백미, 현미, 보리, 수수 및 메밀이 각각 1.21%, 3.08%, 10.38%, 4.73%, 4.59%였으며, 두류는 검정콩, 노란콩, 강남콩, 팥 및 녹두가 각각 22.31%, 21.66%, 10.82%, 21.94% 및 21.25%였다. Mongeau-Brassard법에 의한 곡류 및 두류의 총 식이섬유에 대한 수용성 식이섬유의 평균 함량비율은 각각 40% 및 43%이었다. 총 식이섬유함량(건량 기준)에 대한AOAC 공정법과 Mongeau-Brassard법에 의한 측정치의 차이는 곡류는 0.1~1/0%로서 작았으나, 두류의 경우 그차이는 1.0~7.0%로 나타났다. ${TDF}\pm{error boundary}$값은 Mongeau-Brassard법에 의한 값이 약간 컸으나, F/Fc>1.0이었던 백미, 현미, 녹두를 제외하고는 Mongeau-Brassard법이 AOAC 공정법에 비하여 덜 정확한 방법은 아니었다.

  • PDF

두시하태독법의 Th2 분화 조절을 통한 알레르기 비염 완화 효과 (Reduction of Allergic Rhinitis by Controlling the Th2 Differentiation of Douchi Hataedock)

  • 최준용;안상현;김기봉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68-478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ouchi Hataedock on Th2-skewed conditions to control allergic rhinitis. Methods: NC/Nga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10 mice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CTRL; no treatment), 10 mice to allergic rhinitis-induced (ARE) without treatment group, and 10 mice to the allergic rhinitis-induced (FGT) after Douchi Hataedock treatment group. The 3-week-old mice of the FGT group were given one 10 mg/kg dose of Douchi Hataedock extract and resensitized to allergic antigens at weeks four, five, and six. Allergic rhinitis was induced primarily in mice nasal cavities for five days after one week of final sensitization. The second induction used the same method one week after the first induction was completed. After one week, the nasal mucosal tissues of each group were observ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IL-4, STAT6, CD40, $Fc{\varepsilon}RI$, substance P, MMP-9, $NF-{\kappa}B$ p65, p-IkB, and iNOS in the nasal mucosa was also performed. Results: The FGT group had less respiratory epithelial damage and less mucin secretion in goblet cells than the ARE group and showed a 62% decrease in IL-4, 85% decrease in STAT6, 71% decrease in CD40, 69% decrease in $Fc{\varepsilon}RI$, 43% decrease in substance P, 49% decrease in MMP-9, 43% decrease in NF-kB p65, 38% decrease in p-IkB, and 73% decrease in iNOS compared to the ARE group. Conclusions: Douchi Hataedock lessens inflammation in epithelial and goblet cells and reduces inflammatory mediator secretion in a mouse allergic rhinitis model.

이상 유동 비등 시 마이크로 채널에서의 열전달 특성과 유동양식 조사 (Heat transfer characteristic and flow pattern investigation in micro-channels during two-phase flow boiling)

  • 최용석;임태우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7호
    • /
    • pp.696-70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깊이 0.2 mm, 폭 0.45 mm, 길이 60mm 그리고 채널의 개수는 15개인 마이크로 채널에서 이상 유동비등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작동유체로는 FC-72가 사용되었으며, 실험은 질량유속과 열유속 각각 $200-400kg/m^2s$, $5-40kW/m^2$ 범위와 증기 건도 0.1-0.9 범위에서 수행되었다. 열전달 계수는 낮은 열유속에서는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일정 열유속 이상에서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측정된 열전달 계수로부터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여 기포류, 슬러그류, 천류 그리고 파형/환상류의 유동양식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분류한 유동양식의 결과를 파형/환상류 영역으로의 천이 기준과 비교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천이 기준으로는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만족스럽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두시 하태독법이 시행된 비만 생쥐에서 Th2 분화조절을 통한 알러지성 비염 유발 감소 효과 (Effects of Douchi Hataedock Treatment on Induction of Allergic Rhinitis in Obese Induced NC/Nga Mice)

  • 안상현;김기봉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0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ataedock treatment with Douchi on induction of allergic rhinitis in obese induced NC/Nga mice. Methods NC/Nga mice were divided into control group (Ctrl), allergic rhinitis induced obese mice group (ARE), and allergic rhinitis induced obese mice group with Douchi Hataedock treatment (FGT). The 3-week-old mice of the FGT group were given one 10 mg/kg dose of Douchi Hataedock extract and sensitized with allergic antigens at weeks 4, 5, and 6. After 1 week of final sensitization, allergic rhinitis was induced primarily in mice nasal cavities for five days. After one week of the completion with the first induction, the second induction was introduced by the same method. After 1 week, few samples of the nasal mucosal tissues of each group were prepared. The factor of Th2 differentiation and inflammation control such that IL-4, STAT6, CD40, $Fc{\varepsilon}RI$, substance P, MMP-9, $NF-{\kappa}B$ p65, p-IkB, iNOS and COX-2 were observed by immunohistochemistry. Also, the difference in nasal mucosal injury was observed by histochemical method (PAS staining). Results The FGT group showed that reduced IL-4 production, STAT6 expression and CD40 expression by regulating excessive Th2 differentiation. Also, production of substance P and MMP-9 and activity of $Fc{\varepsilon}RI$ in mast cells were decreased. Inhibition of $NF-{\kappa}B$ p65 activity was induced by inhibition of p-IkB, and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enzymes iNOS and COX-2 were decreased. In addition, the damage of intramural respiratory epithelium was low and excessive mucin secretion in goblet cells was low.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controlling the allergic rhinitis in obese children who are expected to have an overactive inflammation.

비만 유발 생쥐에서 Th2분화조절을 통한 황련-감초 하태독법의 알레르기성 비염 발현 억제효과 (Effect of Hataedock Method with Coptidis Rhizoma and Glycyrrhiza Uralensis in Allergic Rhinitis-induced Obese Mice)

  • 안상현;정아람;김기봉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2-31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is to learn the effects of Hataedock method using Coptidis rhizoma and Glycyrrhiza uralensis mixed extract on inflammatory response in allergic rhinitis-induced obese NC/Nga mice. Materials and Methods The mice were fed with high fat-diet to be obese, and were divided into 3 groups as follows; allergic rhinitis-induced obese mice group with Hataedock method (CGT, n=10), no treatment group (Ctrl), allergic rhinitis elicited obese mice group (ARE). To induce allergic rhinitis, NC/Nga mice of 3 weeks age were sensitized on 7, 8 and 9 weeks by ovalbumin antigen in intraperitoneal space. After 7 days of final sensitization, allergic rhinitis was initially induced in mice through nasal cavities for 5 days. After 1-week, allergic rhinitis was induced again by the same method. Histological examination was used to identify distribution of IL-4, CD40, STAT6, $Fc{\varepsilon}RI$, substance P, MMP-9, NF-${\kappa}B$ p65, iNOS and COX-2. Results Hataedock method significantly reduced IL-4, STAT6 and CD40 response (p<0.05). In CGT, the inhibition of Th2 differentiation decreased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Fc{\varepsilon}RI$, substance P, MMP-9, NF-${\kappa}B$ p65, iNOS and COX-2 (all p<0.05). The immunological improvement led reduction of respiratory epithelial damage and mucin secretion in goblet cel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Hataedock method suppresses the expression of allergic rhinitis by decreasing the inflammatory mediators through the regulation of Th2 differentiation even when the inflammation reaction is increased by obesity. Therefore, Hataedock may have potential preventive measure of allergic rhinitis accompanied by obese.

동물 실험 모델에서 적용한 이종대동맥판막도관의 조직보존방법 비교; 신선 냉동보존과 무세포화 냉동보존 (Comparison of Different Methods of Aortic Valve Conduit Xenograft Preservation in an Animal Experiment Model; Fresh Cryopreservation versus Acellularized Cryopreservation)

  • 김창영;김경환;문경철;김웅한;성시찬;김용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1호
    • /
    • pp.11-19
    • /
    • 2010
  • 배경: 현재 사용되는 다양한 이식편 중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이종조직도관은 조직의 석회화, 섬유화, 염증 및 면역반응에 의한 조직 손상 등 조직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압력에 노출되는 대동맥부위의 이종판막도관을 조직보존방법에 따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돼지로부터 채취한 이종대동맥판막도관을 신선 냉동보존 및 무세포화 냉동보존으로 처리한 후 염소의 대동맥에 이식하였다. 생존기간에 따라 각각 2마리씩의 단기 생존(100일 미만) 및 장기 생존한 염소에서 이식했던 판막도관을 추출하여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신선 냉동보존 군은 각각 31일, 40일, 107일, 411일 생존하였고, 무세포화 냉동보존 군은 각각 5일, 40일, 363일, 636일 생존하였다. 이중 단기 생존한 모든 염소는 문합 부위의 파열로 사망하였다. 신선 냉동보존 군에서는 침윤한 염증세포가 주로 호중구인 반면, 무세포화 냉동보존 군에서는 주로 림프구가 관찰되었다. 석회화, 섬유화, 혈전 형성 등의 빈도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두 가지 처리법으로 이종대동맥판막도관을 보존 후 장기 생존 유도가 일부에서 가능하였다. 두 군에서 모두 심각한 조직변성이 발생하여 이종도관을 적절히 보존 처리할 수 없었던 것으로 관찰되었다. 향후 개선된 보존법이나 변형된 판막도관 처리법의 개발 등의 실험연구에 기초자료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관개수준이 고추의 수확량 및 소비수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rrigation levels on the Yield and the Consumptive Use of Red Pepper)

  • 윤학기;정상옥;서승덕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2-91
    • /
    • 198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the basic information of irrigation plans for the red pepper, such as optimum irrigation level and irrigation requirement in Taegu and Kyungpook province. In this study, red peppers were cultivated in 6 PVC pot lysimeters filled with 60cm deep clay loam soil. Four tensiometers were installed in each plot to measure the soil water pressure head. Field measurements were made during the period June 6 to October 31, 1988 at the experimental farm of Kvungpook National University. Six levels of irrigation were used. They were PF 1.8-2.0, PF 2.2-2.4, PF 2.8-3.0, FC-PF.1.7, FC-PF 2.2, and FC-PF 2.7.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In case of irrigation levels of narrow ranges of water contents, the higher the soil water content was, the larger the ET was. Hut in case of the irrigation levels returning to the field capacity, the lager the PF value of irrigation point was, the larger the ET was. Considering ET, yield and weight per fruit, the latter is much better than the former irrigation method. 2. The mean daily ET and mean ET ratio for each 10-day period showed that the maximum value occured in the last of August. The ranges of those were 3.74-14.64 mm/day and 0.87-3.40, respectively. These values showed that small during the early stage of growth, large during the middle stage and getting smaller in the last stage. 3. In case of irrigation levels of narrow ranges of water contents, the increase of irrigation water supplied increased the E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howed nearly straight line. Most of irrigated water was consumed as ET and the rest as percolation. But, in case of irrigation levels returning to the field capacity, the higher the PF value of irrigation point was, the larger the ET ratio was. However, their relationship didn't show straight line. 4. The irrigation level of PC - PP 2.7 was found to be the optimum irrigation level with respect to the yield, the weight per fruit, stem length, irrigation requirement and percolation quantity. In this case, mean daily ET and mean ET ratio were 6.79 mm/day (total 10052 mm) and 1.67, respectively. The maximum mean daily ET and mean ET ratio for 10-day period were 14.64 mm/day and 3.40, respectively, in the last of August, and the maximum daily ET was 2126 mm/day on August 24. 5. In case of PC - PP 2.7 which is found the optimum irrigation level, mean irrigation water required, mean ET and mean percolation water quantity were 7.44 mm/day, 6.79 mm/day(91.3% of irrigation water), and 0.38 mm/day (5.5% of it), respectively.

  • PDF

시멘트의 종류 및 임플란트 지대주 높이가 지르코니아 수복물의 제거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varying cement types and abutment heights on pull-off force of zirconia restorations)

  • 정영준;김유리;정지혜;강내운;공현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40권2호
    • /
    • pp.64-71
    • /
    • 2024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높이를 가진 티타늄 베이스 임플란트 지대주에서 세 종류의 시멘트가 지르코니아 수복물에서 가지는 제거력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90개의 직경 4.0 mm 임플란트 아날로그가 레진 블록에 식립되었다. 이후 3 mm, 5 mm, 7 mm의 높이를 가지도록 임플란트 지대주를 30개씩 제작하였고, 각 지대주를 스캔하여 지르코니아 수복물 시편을 제작하였다. 임시 시멘트(TB), 반영구 시멘트(CI), 영구 시멘트(FC)를 각자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지대주에 접착하였다. 제작된 90개의 시편은 만능시험기에서 제거력을 시험하였으며, 모든 제거력은 부하량이 하락하기 직전 가장 높은 값에서 측정되었다. 통계 분석은 지대주의 높이, 시멘트의 종류에 대해 각각 Kruskal-Wallis test (P = 0.05) 후 Mann-Whitney U test (P = 0.0167)로 사후 검정 시행하였다. 결과: 임플란트 지대주의 높이에 상관없이 TB에 비해 FC의 제거력이 높았다. CI와 FC간에는 3 mm와 7 mm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5 mm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TB와 CI간에는 5 mm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시멘트의 종류는 지르코니아 수복물의 제거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으나, 임플란트 지대주의 높이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가스터빈/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용 5kW급 SOFC 발전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5kW class SOFC power generation system for GT/FC hybrid system)

  • 임탁형;송락현;백동현;신동열;양정일;정헌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3-7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독일 율리히 연구소에서 도입된 면적 200mm*200mm의 연료극 지지체 평판형 SOFC 셀 및 금속 분리판 40장을 적층하여 5kW급 SOFC 스택을 제작하고 연속운전을 수행하여 운전특성을 분석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입된 5kW급 SOFC 스택은 외국에서 시도된 적이 없는 평판형 SOFC스택의 가압운전을 시도해 보는 것으로서, 스택의 임계압력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스터빈-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의 SOFC 스택 가압 운전기술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상압형 5kW급 SOFC 스택 운전시스템에 대한 구성과 설계, 전반적인 운전 특성평가 (40셀 스택 운전 열 사이클 시험 연료 전환 $(H_2{\rightarrow}pre-reformed\;gas)$, 1200시간 연속운전 등)가 이뤄졌다.

  • PDF

인천지역 대학생의 변비유병률, 배변습관 및 영양소섭취 (Prevalence of Constipation, Bowel Habits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in Incheon Area)

  • 유정순;진정희;장경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8호
    • /
    • pp.702-713
    • /
    • 2009
  • 대학생들의 변비유병률과 배변습관을 알아보고 영양소섭취 상태를 알아보고자 인천지역 대학교에서 건강관련 교양강의를 듣는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남자 166명, 여자 187명) 설문조사와 신체계측 및 3일간 식이섭취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남학생 23.5세, 여학생 20.9세이었으며, 자택에서 거주하는 비율이 가장 많았으며 자취, 기숙사, 하숙이나 친척집에 거주하는 순이었다. 남학생의 63.9%, 여학생의 63.1%는 21~40만원의 용돈을 받고 있었고 지난 2개월 동안 남학생의 45.2%, 여학생의 47.1%는 체중을 유지하고 있었다. 로마기준 II를 이용하여 조사한 기능성 변비유병률은 남녀 각각 12.7%, 28.9%, 자의적 변비 유병률은 남녀 각각 12.0%, 36.9%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일반사항에 따른 기능성 변비와 자의적 변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자의적 변비 중 남학생의 35.0%, 여학생의 44.9%만이 기능성 변비의 진단기준에 부합하였고, 본인은 변비가 아니라고 응답했지만 기능성 변비의 진단기준에 부합한 경우는 11.4%이었다. 본인이 변비라고 인식하는 경우 남학생의 94.7%, 여학생의 91.0%는 의료기관을 방문한 경험이 없었고 남학생은 모두 변비약이나 건강기능식품을 이용하고 있지 않았으며 여학생은 변비 완화를 위해 10.3%가 변비약, 11.8%가 건강기능식품을 복용하고 있었다. 배변습관 조사 결과 남학생의 75.3%, 여학생의 40.1%는 주 5회 이상 배변을 하고 있었고, 변의 양은 2 cup 이상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남학생은 93.4%, 여학생은 75.9%로 남학생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남녀 모두 대상자의 70%정도가 배변 후 상쾌하다고 하였으며 남학생의 49.4%, 여학생의 24.6%만이 규칙적으로 배변을 하였다. 신체계측치와 영양소 섭취량 분석 결과 기능성 변비와 자의적 변비 유무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단백질의 경우 성별이나 변비 유무와 상관없이 RI에서 UL 사이로 섭취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해 EAR 보다 낮게 섭취하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비타민 C, Vit $B_2$, 엽산, 칼슘, 아연의 섭취는 EAR 이하로 섭취하는 비율이 모두 50%를 넘어 영양소의 섭취량이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엽산은 남녀 모두 95% 이상이 EAR 이하로 섭취하고 있어 섭취 부족이 심각하였다. 변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식이섬유 섭취량은 1,000 kcal당 섭취량으로 환산에 남학생은 8.5 g, 여학생은 8.9 g으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식이섬유 충분섭취량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여학생의 경우 기능성 변비의 유병률은 28.9%, 자의적 변비의 유병률은 36.9%로 조사되었는데, 본인은 변비가 아니라고 응답했지만 기능성 변비의 진단기준에 부합한 경우도 13.6%이며 본인이 변비라고 응답한 경우의 대다수는 의료기관 방문이나 약물, 기능성 식품 섭취 같은 노력도 하지 않고 있어 만성적 변비로 인한 질병의 위험이 우려된다. 또한 식이섬유 섭취를 비롯한 각종 영양소들도 균형 있는 섭취를 하고 있지 않아 이후 다가올 임신기와 수유기의 영양문제로 이어질 것이므로 올바른 영양섭취를 비롯한 적절한 영양교육이 활성화 되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