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O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3초

시판 Fast-foods중 단백질 함량 및 필수 아미노산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tein contents and essential amino acid composition in some fast-foods.)

  • 제갈성아;김성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6-130
    • /
    • 1994
  •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사회가 급격히 발전하면서 fast-foods의 이용률이 증가하므로, fast-foods 단백질의 질적, 양적 평가를 시도하고저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fast-foods 19가지를 구입 하여 중량을 측정한 후 동결 건조시켜 Kjeldahl법, 아미노산 자동 분석기를 이용하여 단백질, 필수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이와같이 분석된 필수아미노산 함랑들을 FAO/WHO(1973) provisional pattern와 whole e일 Pattern을 기준하여 아미노산가, 화학가를 산출한 후 제 1제한 아미노산을 산정,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fast-foods중 조단백 분석시 double cheese burger, 꼬치국수, pork cutlet 등에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2. Fast-foods의 필수아미노산 분석시 선정된 제 1제한 아미노산은 FAO/WHO(1973) provisional pattern 및 whole e99 Pattern(1972) 기준시 모두 함유황 아미노산이 었다. 3. 2-3가지의 fast-foods를 배합하여 섭취하는 경우 단백질 함량 및 제 1제한 아미노산가를 상승시킬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시판 fast-foods들의 섭취시 단백질, 필수아미노산 뿐 아니라 특히, fast-foods 섭취시 부족되기 쉬운 영 양소 등을 포함한 타 영 앙소들도 고려한 종합적인 섭취 pattern을 제시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청소년들이 이해하기 쉽고, 실생활에 응용시킬 수 있는 영양 교육자료 제작이 이루어져야겠다.

  • PDF

토양수분 저류구조를 가진 탱크모형의 보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libration of Tank Model with Soil Moisture Structure)

  • 강신욱;이동률;이상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133-144
    • /
    • 2004
  • 토양수분 저류구조를 갖는 4단 탱크모형에 SCE-UA전역최적화 기법을 사용하여 목적함수에 따라 보정자료 기간을 달리하여 대청댐 유역에 332회, 소양강댐 유역에 대해 472회의 보정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증발산량 산정방법에 따른 매개변수 추정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소형 증발계 증발량, 1963 Penman, FAO-24 Penman-Monteith, FAO-56 Penman-Monteith 방법을 사용하였다. 토양수분 저류구조를 갖는 탱크모형은 표준 4단 모형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토양수분 저류구조를 갖는 탱크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에 적합한 목적함수 두 가지를 확인하였다. 매개변수 추정을 위해 적절한 자료기간은 3년 정도이었으며, 평균강수량 이상인 해와 가물었던 해를 포함하는 것이좋은 결과를 보였다. 그리고 유출률이 적절하지 않은 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8년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4가지 증발산량 산정 방법에 의해 추정된 증발산량을 입력으로 모형을 보정한 결과 유사한 매개변수를 나타내었으며, 1963 Penman 방법만이 근소하게 열등하였다.

위성영상과 SEBAL 모형을 이용한 공간증발산량 산정 연구 (Estimation of Spatial Evapotranspiration Using satellite images and SEBAL Model)

  • 하림;신형진;이미선;김성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3B호
    • /
    • pp.233-242
    • /
    • 2010
  • Bastiaanssen(1995)에 의해 개발된 SEBAL(Surface Energy Balance Algorithm for Land) 모형은 25개의 sub model들을 이용하여 지표의 증발산량과 기타 여러 에너지 교환을 계산하는 이미지-프로세싱 모형이다. SEBAL 모형은 Landsat 또는 기타 여러 위성영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열적외선 방사, 표시 및 근적외선 측정 자료 등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의 주 지류인 경안천 유역에 모형을 적용시켰다. 증발산량(ET)은 4개년의(2001년-2004년) Landsat과 MODIS 위성영상을 입력자료로 사용하여, 에너지 균형원리를 통해 pixel-by-pixel을 기준으로 계산되었다. Landsat(30 m)과 MODIS(1 km) 사이의 비교 결과도 평가되었으며, Landsat과 MODIS 결과들은 FAO Penman-Monteith 증발산량과 비교하였다. 위성영상 ET들과 FAO Penman-Monteith ET 간의 절대 오차는 12% 이내로 확인되었으며, 유역 분포 증발산량의 시공간분포특성 또한 분석하였다.

후추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Quality Evaluation of Pepper(Piper nigrum L.))

  • 박완규;윤종훈;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18
    • /
    • 1991
  • 후추의 품질평가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13종의 후추원두에 대하여 후추의 직경을 비롯한 물리화학적 특성 13항목을 분석하였다. 후추의 물리적품질은 Sarawak special, Sarawak brown 및 인도 TGEB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Lampong ASTA 및 Lampong FAO의 품질은 비교적 낮았다. 또한 화학적품질은 Lampong ASTA, Lampong FAO 및 인도 TGEB 등이 우수하였고 베트남산과 인도 MG-1이 중간, 그리고 기타의 후추들은 품질이 낮게 나타났다. 한편 색상에 있어서는 커다란 차이는 없었으나, Sarawak산 후추들이 비교적 밝은 색을 나타내었다.

  • PDF

FAO-AquaCrop을 이용한 기후변화가 벼 증발산량 및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 모의 (Simulating Evapotranspiration and Yield Responses of Rice to Climate Change using FAO-AquaCrop)

  • 정상옥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2권3호
    • /
    • pp.57-64
    • /
    • 2010
  •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yield and evapotranspiration of rice have been modeled using AquaCrop model developed by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Climate change scenario downscaled by Mesoscale Model 5 (MM5) regional model from ECHO-G General Circulation Model (GCM) outputs by Korea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METRI) was used in this study. Monthly average climate data for baseline (1971-2000) and three time periods (2020s, 2050s and 2080s) were used as inputs to the AquaCrop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vapotranspiration after transplanting was projected to increase by 4 % (2020s), 8 % (2050s) and 14 % (2080s), respectively, from the baseline value of 464 mm. The potential rice yield was 6.4 t/ha and water productivity was 1.4 kg/$m^3$ for the baseline. The potential rice yield was projected to increase by 23 % (2020s), 55 % (2050s), and 98 % (2080s), respectively, by the increased photosynthesis along with the $CO_2$ concentration increases. The water productivity was projected to increase by 19 % (2020s), 44 % (2050s), and 75 % (2080s), respectively.

우수 낙농목장 실무를 위한 가이드 (Guide to Good Dairy Farming Practice)

  • 김민경;정석근;오미화;김동훈;손용석;함준상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75-80
    • /
    • 2011
  • IDF/FAO Guide to Good Dairy Farming Practice (the second edition) was published last September this year. The objective of the guide for good dairy farming practice is that safe, quality milk should be produced from healthy animals using management practices that are sustainable from an animal welfare,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perspective. To achieve this objective, dairy farmers should apply good practice in the following areas: animal health, milking hygiene, nutrition (feed and water), animal welfare, environment, and socio-economic management. Although HACCP system has been introduced to some of Korean dairy farms since 2007, the IDF/FAO guide details GAP (Good Agricultural Practice) for dairy farmers emphasizing the production of safe, quality-assured dairy products in a sustainable manner that underpins the future of dairy farming on a loc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scale. This paper is to state what good dairy farming practices should be and suggest Korean dairy farmers measures to achieve goals.

  • PDF

우리 나라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중금속 안전성 평가 (Safety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Agricultural Products of Korea)

  • 김민경;김원일;정구복;윤순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9-174
    • /
    • 2001
  • 우리 나라에서 생산된 농산물의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고 이를 국내외의 분석치 및 FAO/WHO에서 설정한 일일섭취허용량 및 잠정주간섭취허용량과 비교 ${\cdot}$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곡류, 두류, 서류, 채소류 및 과실류 생체중의 중금속 평균함량 범위는 각각 Cd $0.010{\sim}0.073$, Cu $0.40{\sim}6.45$, Pb $0.083{\sim}0.698$, Zn $2.45{\sim}16.30$, Ni $0.171{\sim}1.378$, Cr $0.023{\sim}0.233$, As $0.026{\sim}0.070$ mg/kg이였으며, 이는 외국에서 조사한 결과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또한 농산물에 의해 섭취되는 중금속의 양도 FAO/WHO에서 설정한 1일 섭취허용량 및 잠정 주간 섭취허용량과 비교하면 허용기준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섭취되는 중금속 양으로 볼 때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농산물은 중금속 안전성 측면에서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