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formaldehyd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3초

갯벌 미생물 활성 및 다양성에 미치는 Methyl tert-Butyl Ether(MTBE)와 MTBE 대사산물의 영향 (Effect of Methyl tert-Butyl Ether and Its Metabolites on Microbial Activity and Diversity in Tidal Mud Flat)

  • 조원실;조경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36-342
    • /
    • 2008
  • 갯벌 토양 내 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methyl tert-butyl ether(MTBE)와 그의 대사산물인 tert-butyl alcohol(TBA) and formaldehyde(FA)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서로 다른 농도의 MTBE, TBA 및 FA를 갯벌 토양 microcosm에 첨가한 후 30일 간 실온에 방치했다. Microcosm 시료의 pH, 수분함량, 유기물 함량 등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총 세균수와 탈수소 효소 활성변화를 측정하였고, 미생물 군집 구조는 16S rRNA-PCR-DGGE(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fingerprinting 기법을 이용해 모니터링 했다. 그 결과, MTBE, TBA 및 FA 첨가 농도와 물리 화학적 요인들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탈수소효소 활성과 총 세균수는 MTBE, TBA 및 FA 농도가 증가 될수록 감소하였다(P<0.05). 각각의 독성 물질들이 미생물 활성에 저해 영향을 주었으며 이들의 저해 정도는 FA > MTBE > TBA 순이었다. MTBE, TBA 및 FA 노출 후 군집의 우점종을 살펴 본 결과 Sphingobacteria, Flavobacteria, delt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로 크게 네 그룹으로 이뤄졌다. 미생물 군집의 다양성 지수는 MTBE및 대사산물의 주입농도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명태육 건조중의 formaldehyde 및 amine 류의 변화 (CHANGES IN CONTENTS OF FORMALDEHYDE AND AMINES IN ALASKA POLLACK MUSCLE DURING DRYING)

  • 안철우;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18
    • /
    • 1978
  • 북양산 냉동명태를 시료로 하여 이것을 일건, 열풍건조 및 염건을 하였을 때의 육중의 FA, TMAO, TMA 및 DMA의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1. TMAO의 함량은 열풍건조품이 가장 적어 생시료때의 약 $60\%$에 지나지 않았고, 다음이 염건품이며, 일건품은 생시료때의 약 $72\%$함량으로 잔존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온건품에 있어서 육중의 염분량을 공제한 무염물로 환산하는 경우는 생시료때의 $92\%$함량으로 가장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2. TMA의 함량은 염건품이 생시료 때의 2.3 배함량(무염물로서는 3.5배량)을 보여 가장 증가율이 적었고, 다음이 일건품이였으며, 열풍건조품에 있어서는 생시료 때의 42배함량을 나타내어 월등히 많았다. 3. DMA의 함량은 열풍건조품과 염건품에 있어서는 각각 생시료 때의 10배량정도를 나타내었고, 일건품에 있어서는 생시료 때의 16배량으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염건품에 있어서 무염물로 환산하는 경우는 생시료 때의 15배량으로 일건품과 비슷한 값을 보였다. 4. FA의 함량은 일건품에서는 생시료 때의 1.3배량, 염건품에서는 2.5배량(무염물로 환산)으로 증가한 반명, 열풍건조품에 있어서는 생시료 때의 $83\%$ 함량으로 오히려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다. 5. 전반적으로 FA 함량과 아민류의 함량을 비교하여 보면 FA함량이 많은 시료에는 DMA함량도 많은 대비하여, TMA함량이 많은 시료에는 FA함량이 적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굴비 제조중 아민류, 포름알데하이드 및 지방분포의 변화 (Changes in Amines, Formaldehydes and Fat Distribution during Gulbi Processing)

  • 민옥래;신말식;전덕영;홍윤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25-132
    • /
    • 1988
  • 염장 및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굴비 근육중의 trimethyl amine(TMA), dimethylamine(DMA)과 formaldehyde(FA)의 함량 및 현미경을 통한 지방질의 분포 변화를 조사 검토하였다. 생조기의 육에는 TMA이 0.90mg/100g, DMA은 3.18mg/100g FA는 0.19mg/100g이 함유되어있다. 25일 건조 후 굴비중의 TMA은 24.82-76.32mg/100g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DMA는 12.13-18.61mg/100g으로 완만한 증가를 보였으며 FA는 별 변화 없었다. 이들의 변화는 염의종류 및 염장방법에 따라서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TMA과 DMA의 생성속도는 자연건조조건에서보다도 온도와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조절조건에서 약 2배가 빨랐다. 굴비가 건조되는 동안 근육중의 지방질은 백색육사이와 결체조직을 통로로 하여 표피층으로 이동하였다. 그 이동정도는 정제염의 경우에 천일염보다 적었다. 굴비의 근육조직은 조절된 실내조건에서 건조된 것이 자연건조 시킨 것보다 백색육사이의 극간이 더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정제염을 사용한 것이 조직이 규칙적인 반면 천일염의 경우에는 덩어리져 있었다.

  • PDF

악취성 Carbonyl 화합물의 카트리지 채취 분석: 습도가 채취효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lative humidity on the performance of DNPH-cartridge sampling for odorous aldehydes)

  • 이민희;김기현
    • 분석과학
    • /
    • 제25권1호
    • /
    • pp.50-59
    • /
    • 2012
  • DNPH 카트리지 방식으로 카보닐성분들을 채취할 때, 습도변화에 따른 채취효율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진단하였다. 6개의 카보닐성분(formaldehyde (FA), acetaldehyde (AA), propionaldehyde (PA), butyraldehyde (BA), isovaleraldehyde (IA), valeraldehyde (VA))을 함유한 기체상 표준시료를 DNPH카트리지로 흡수 후 용출하여 HPLC/UV 검출기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비슷한 수준으로 조제한 액상 혼합표준용액의 검정 결과와 비교하였다. 액상 표준시료와 대비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저분자 성분(폼알데하이드, 아세트알데하이드)에 비해 고분자 성분(프로피온알데하이드 이상)들의 회수율이 낮게 나타났다. 습도변화에 따른 기체상 표준시료의 채취효율을 0-80% 상대습도 범위에서 비교한 결과, 20~80%에서 저분자량과 고분자량 카보닐화합물들 간에 채취효율의 차이가 유지되었다. FA와 AA와 같은 저분자량 카보닐화합물의 경우, 습도의 변화에 대해 미미한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PA 이상의 성분들은 회수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비교분석을 시도한 3개 제품에서 모두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고분자 카보닐화합물의 경우, 습도에 따른 회수율-변화를 적절히 보정할 필요가 있다.

Inhaled Formaldehyde Induces Bone Marrow Toxicity via Oxidative Stress in Exposed Mice

  • Yu, Guang-Yan;Song, Xiang-Fu;Liu, Ying;Sun, Zhi-We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3호
    • /
    • pp.5253-5257
    • /
    • 2014
  • Formaldehyde (FA) is an economically important chemical, and has been found to cause various types of toxic damage to the body. Formaldehyde-induced toxic damage involve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that trigger subsequent toxic effects and inflammatory responses, which may increase risk of cancer.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possible toxic mechanism in bone marrow caused by formaldehyd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randomization, the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of 6 mice per group. One group was exposed to ambient air and the other three groups were exposed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20, 40, $80mg/m^3$) for 15 days in the respective inhalation chambers, 2h a day. At the end of the 15-day experimental period, all mice were killed. Bone marrow cells were obtained. Some of those were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blood cell numbers, bone marrow karyote numbers, CFU-F,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and malondialdehyde (MDA) content; others were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cell cycle and Bcl-2, Bax, CytC protein expression. WBC and PLT numbers in median and high dose groups were obvious reduced, but there was no change on RBC numbers. There was also reduced numbers of bone marrow karyotes and CFU-F in the high dose group. SOD activity was decreased, but MDA content was increased. MMP and Bcl-2 expression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formaldehyde concentration, while expression of Bax and Cyt C was increased. We also observed change in cell cycling, and found that there was S phase arrest in the high dose group. Our study suggested that a certain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could have toxic effects on the hematopoietic system, with oxidative stress as a critical effect.

페트병 생수 중 아세트알데하이드와 포름알데하이드의 이행 분석 (Analysis of Acetaldehyde and Formaldehyde Migrat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Bottles into Mineral Water)

  • 정의민;김동주;이근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04-50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PET병에 포장된 생수의 제조공정 및 유통과정중 온도 및 자외선과 같은 외부요인에 의하여 PET병에서 생수로 이행될 수 있는 휘발성 물질에 의한 생수 품질 또는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PET 생수의 25와 35$^{\circ}C$ 저장 중 FA와 AA함량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180일과 120-180일 후부터 각각 감소되기 시작하였다. PET병 생수는 35$^{\circ}C$에서 자외선이 조사되는 상태로 저장 시 60일 후부터 대조구 생수와 차이가 식별되기 시작하였다. 이 때 FA와 AA의 농도는 각각 267.4 ${\mu}g/L$와 515.3 ${\mu}g/L$이었다. 120일 이후에는 저장 온도와 자외선 조사 여부에 상관없이 모든 시료군에서 패널들이 대조군 생수와의 차이를 식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PET병에 포장된 생수를 자외선에 노출시키거나 고온에서 장기간 저장할 경우 FA나 AA의 증가가 초래되며 이로 인하여 생수의 품질이 저하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PET병 생수의 관능학적 및 위생학적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조공정, 특히 성형과정 중 고열에 대한 노출을 줄이고 제조된 PET병 또는 생수의 유통시 저장 온도가 되도록 낮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Measurement of Aldehydes in Replacement Liquids of Electronic Cigarettes by Headspace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Lim, Hyun-Hee;Shin, Ho-Sa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9호
    • /
    • pp.2691-2696
    • /
    • 2013
  • The electronic cigarette (E-cigarette) is a battery-powered device that aerosolizes nicotine so that it is readily delivered into the respiratory tract. The analytical data regarding the substances present in E-cigarettes are very limi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aldehydes-formaldehyde (FA), acetaldehyde (AA) and, acrolein (AL)-in 225 replacement liquid brands from 17 E-cigarette shops sold in the Republic of Korea by headspace solid-phase micro 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HS-SPME GC-MS). The concentration range of FA and AA was 0.02-10.09 mg/L (mean = 2.16 mg/L, detected in 207 of 225 samples) and 0.10-15.63 mg/L (mean = 4.98 mg/L, detected in all samples), respectively. AL was not detected in any of 225 replacement liquids. FA and AA were originally present in almost all replacement liquids of electronic cigarettes.

손상된 불가사리 추출물 흡입이 포름알데히드 노출에 의한 항염증 작용에 미치는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Inhalation of Injured Starfish Extracts on Formaldehyde Exposure)

  • 황경희;장수찬;박종석;와히드 파즈리;김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01-509
    • /
    • 2013
  • 포름알데히드는 주로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독성이 강한 물질로서 생체에 노출 시 염증, 산화적 스트레스, 알레르기 반응, 나아가서 암을 유발하게 된다. 불가사리에서 추출되는 saponin은 sulphated sterol glycosides 등으로서 인삼 saponin (ginsenoside)들과 화학적 구조가 비슷하여 항균 및 세포독성을 비롯한 미생물을 괴사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이 보고되었다. 또한 손상된 불가사리의 조직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발현되는데 TGF-${\beta}$의 증가로 손상 받은 부위를 빠르게 치료, 재생하게 된다. 본 실험은 조직손상 후 8일 된 불가사리 추출물과 포름알데히드를 IMR-90에 처리했을 때와 포름알데히드에 노출시킨 ICR 마우스에 불가사리 추출물을 흡입시켰을 때 염증성 폐 손상의 방어 및 치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포름알데히드에 노출된 IMR-90에 조직손상 후 8일이 경과한 불가사리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세포의 유의한 증식을 보였으며 염증 조절에 영향을 주는 TNF-${\alpha}$, NF-${\kappa}B$의 발현억제 및 $I{\kappa}-B{\alpha}$의 합성을 촉진시켰다. 포름알데히드에 노출된 ICR 마우스에 조직손상 후 8일이 경과한 불가사리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체중의 증가, 항산화 효소의 증가, 지질과산화 작용의 감소, surfactant protein A의 증가, TNF-${\alpha}$ 및 NF-${\kappa}B$의 발현억제, $I{\kappa}-B{\alpha}$ 발현의 증가와 조직재생에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포름알데히드로 인한 세포 및 폐 손상을 불가사리 추출물의 항염증 작용을 통하여 억제하거나 완화시킴을 확인할 수 있다.

Effects of Different Additives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Protein Degradation of Green Tea Grounds Silage

  • Wang, R.R.;Wang, H.L.;Liu, X.;Xu, C.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5호
    • /
    • pp.616-622
    • /
    • 2011
  • This study evaluated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protein degradation dynamics of wet green tea grounds (WGTG) silage. The WGTG was ensiled with distilled water (control), or lactic acid bacteria (LAB), enzyme (E), formic acid (FA) and formaldehyde (FD) prior to ensiling. Three bag silos for each treatment were randomly opened at 0, 3, 7, 14, 28 and 60 days after anaerobic storage. For all the treatments, except for FA, there was a rapid decline in pH during the first 7 days of ensiling. LAB treatment had higher lactic acid content, lower ammonia-N ($NH_3$-N) and free-amino nitrogen (FAA-N) contents than other treatments (p<0.05). E treatment had higher lactic acid, water-soluble carbohydrates (WSC) and non-protein nitrogen (NPN) content than the control (p<0.05). FA treatment had higher $NH_3$-N and FAA-N content than the control (p<0.05). FD treatment had lower NPN and FAA-N content than the control, but it did not significantly inhibit the protein degradation when compared to LAB treatment (p>0.05). Results indicate that LAB treatment had the best effect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protein degradation of WGTG silage.

대기 중 Carbonyl 성분들의 검량 분석 기술에 대한 연구: 액상 대비 기체상 표준시료의 오차발생 특성 연구 (A Study of Calibration Bias in the Analysis of Airborne Carbonyl Compounds between Gaseous and Liquid-phase Standard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 이민희;김기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2-58
    • /
    • 2012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tandard phase difference in calibration of carbonyl compounds (CC) was evaluated by using their standards prepared in both gaseous and liquid phase. For this analysis, standards in both phases were prepared for 6 different CCs (formaldehyde (FA), acetaldehyde (AA), propionaldehyde (PA), butyraldehyde (BA), isovaleraldehyde (IA) and valeraldehyde (VA)) at similar concentration levels. Their gaseous standard was calibrated after derivatization with three types of DNPH cartridge, and their calibration results were compared against liquid-phase standards. Although there was a strong compatibility between 2 phases for CCs with lower molecular weights (e.g.,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it was not the case for the heavier CCs. The results of our analysis indicate that the analytical bias of the heavier CCs can be significantly large (by more than a few tens of %). As a result, underestimation of hevier CCs can be significant, if their gaseous samples are quantified by liquid phase stand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