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 moniliforme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2초

Fusarium moniliforme에 의한 덴파레 검은점무늬병 (Black Leaf Spot of Dendrobium phalaenopsis Caused by Fusarium moniliforme)

  • 이동현;허재선;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9권3호
    • /
    • pp.149-152
    • /
    • 2003
  • 전남 광양읍 봉강면의 양란 재배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덴파레에 검은점무늬병이 발생하였다. 자연 발병한 덴파레의 잎에는 초기에 검은색의 작은 점무늬가 형성되어 점차 진전되면서 잎 전체가 누렇게 변하면서 고사해 버리며 소엽병의 마디가 약화되어 낙엽이 지고 심하면 식물체 전체가 말라죽었다. 검은점무늬병에 감염된 덴파레의 병환부로부터 분리된 병원균은 감자한천배지 상에서 초기에 흰색을 띠며, 점차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한 보라색을 띠었으며, 균사생장 적온은 $25^{\circ}C$였다. 덴파레 잎의 검은 점무늬 병반으로부터 분리한 병원균은 균학적 특성 및 병원성 검정 결과 Fusarium moniliforme로 동정되었다. 병원균은 상처 접종에 의해서만 덴파레에 병원성을 나타내었고, 호접란과 심비디움에 대해서도 모두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 병을 Fusarium moniliforme에 의한 덴파레 검은점무늬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Fusarium Fruit Rot of Citrus in Jeju Island

  • Hyun, Jae-Wook;Lee, Seong-Chan;Kim, Dong-Hwan;Ko, Sang-Wook;Kim, Kwang-Sik
    • Mycobiology
    • /
    • 제28권3호
    • /
    • pp.158-162
    • /
    • 2000
  • Twenty-three isolates of Fusarium spp. were obtained from decayed citrus fruits in the fields and storages in 1998-1999. Of them, six and five isolates belonged to F. proliferatum and F. moniliforme, respectively, which were the most common. F. solani and F. sambucinum had each two isolates, F. equiseti had one isolate and seven isolates were unidentified. They produced symptoms of two types in pathogenicity test: those with leathery, beige to light or dark brown, and sunken lesions without surface mycelium (type-1) and those with lesions covered with white, beige or pink surface mycelium (type-2). Four of six isolates identified to F. proliferatum and two unidentified isolates produced type-1 lesions, and all isolates identified to F. moniliforme, F. solani, F. sambucinum, F. equiseti and five unidentified isolates produced type-2 lesions.

  • PDF

Fusarium moniliforme의 Propagule형성(形成)과 발아(發芽)에 미치는 Water Potential의 효과(效果) (Effect of Water Potential on Mycelial Growth, Reproduction and Spore Germination by Fusarium moniliforme)

  • 성재모;이은종;박종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99-103
    • /
    • 1984
  • Fusarium moniliforme strain별 균사신장(菌絲伸長)은 Strain IV은 water agar나 PDA에 관계(關係)없이 -14 bars에서 좋았고 -80 bars에서도 균사(菌絲)자람이 정지되지 않았다. Strain II와 Strain IV 를 비교(比較)하여보면 Strain II가 Strain IV보다 각 water potential 에서 균사(菌絲)자람이 좋았다. 분생포자형성(分生胞子形成)은 Strain에 관계(關係)없이 소형분생포자(小型分生胞子)는 0에서 -20bars까지는 점점(漸漸) 형성(形成)이 증가(增加)하다가 -20bars에서 가장 많이 형성(形成)되었으며 -80bars에서도 아주 적은수이지만 형성(形成)이 되었다. 대형분생포자(大型分生胞子)는 -1.4bars에서 포자형성(胞子形成)이 잘 되었고 water potential 떨어짐에 따라 -32bars에서 대형분생포자(大型分生胞子)를 형성(形成)하지 않고 소형분생포자(小型分生胞子)만 형성(形成)하였다. 포자발아(胞子發芽)는 -1.4bars에서 발아율(發芽率)이 좋았고 water potential이 떨어질수록 발아율(發芽率)도 떨어졌다.

  • PDF

간 보호 효과를 지닌 자원 생약의 검색 (Screening of the Hepatoprotective Drugs from Folk Medicines)

  • 박종희;문전옥
    • 생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56-161
    • /
    • 1997
  • For the search of hepatoprotective compounds from the folk medicines, 14 natural products which have been traditionally used as hepatoprotective drugs in Korea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The extracts were screened for the antioxidant activity on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Fenton reaction in rat homogenate and Ac2F cell toxicity by t-hydroperoxide. Dendrobium moniliforme and Castanea crenata were chosen for the further investigation and its therapeutic effects on the liver damage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were evaluated. Oral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s reduced the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nd alanine aminotransferase(ALT) activities in the serum of the carbon tetrachloride intoxicated rat. And the treatment of the extracts prevented the decrease of aminopyrine N-demethylation and aniline hydroxylation activities of the carbon tetrachloride-intoxicated rat liv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al administration of Dendrobium moniliforme and Castanea crenata is effective in recovering the liver function in $CCl_4-treated$ rats.

  • PDF

Fusarium moniliforme 이병주(罹病株)의 이앙후(移秧後) 병징출현(病懲出現)과 수량(收量)과의 관계(關係) (Seasonal Bakanae Symptom Development and Yield Associated with Transplantation of Infected Rice Seedling by Fusarium moniliforme)

  • 성재모;양성석;박종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71-174
    • /
    • 1984
  • Fusarium monilifome에 이병(罹病)된 유묘(幼苗)를 이앙(移秧)한 후(後) 키다리병병징출현주(病病徵出現株)의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를 조사(調査)하여 수량(收量)과의 관계(關係)를 보면 주당수수(株當穗數)와 수당건전입수(穗當健全粒數)순으로 수량(收量)에 영향(影響)을 주었다. 본답(本畓)에서 병징(病徵)이 나타내는 시기(時期)와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들 간(間)에 은일(一) 정(定)한 경향(傾向)을 보이지 않고 건전주(健全株)를 이앙(移秧)한 주(株)에서 무병징주(無病徵株)보다 수량(收量)이 증가(增加)하였다.

  • PDF

비유기수은 종자소독제개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seed disinfectant in non-mercurious compounds)

  • 이두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3-71
    • /
    • 1979
  • 비유기수은 종자소독제의 개발을 목적으로 배도열병균, 벼깨씨무늬병균 및 벼키다리병균에 감염된 증자 4개품종을 공시하고 Blotter 법, 물한천평판법 및 유묘 검정법 등을 통해서 12종의 약제에 대한 약효를 검정하는 동시에 검정방법별 차이를 검토하고 약해발현 여부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벼${\cdot}$도열병, 벼${\cdot}$깨씨무늬병 및 벼${\cdot}$키다리병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약효가 좋았던 것은 Sisthane, $P_{242}$ 및 Sodium Omadine이었다. Benlate T 및 Homai는 깨씨무늬병에 대한 약효가 낮았으며, Busan 30 및 Panoctine은 유묘검정에서 키다리병에 대한 약효가 낮았다. 약효검정방법으로서는 도열병에 대해서는 Blotter법이, 깨씨무늬병과 키다리병에 대해서는 물한천평판법이 좋았다. 발아율 및 초기생육에 미치는 약제의 최아전종자소독 결과, 약해의 유발은 없었다.

  • PDF

콩 종자(種子)에서 분리(分離)한 사상균(絲狀菌), 그 병원성(病原性) 및 종자(種子) 소독(消毒)에 관한 연구(硏究) (Fungi Associated with Soybean Seed, their Pathogenicity and Seed Treatment)

  • 이두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33
    • /
    • 1984
  • 콩 종자(種子) 14개(個) 시료(試料)를 Blotter법(法)으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부생성(腐生性) 사상균(絲狀菌)은 Alternaria tenuis, Arthrobotrytis sp., Aspergillus spp., Cephalosporium sp., Cladosporium sp., Cylindrocarpon sp., Fusarium equiseti, F. moniliforme, F. semitectum, F. solani, Pennicillium spp. 및 Rhizopus sp. 등이 검출(檢出)되었고, 병원성사상균(病原性絲狀菌)은 Cercospora kikuchii, Colltotrichum truncatum, Diaporthe phaseolorum sojae 및 Fusarium oxysporum 등이 검출(檢出)되었다. C. kikuchii, C. truncatum, D. phaseolorum sojae 및. F. oxysporum에 의해서 자연상태(自然狀態)에서 이병(罹病)된 종자(種子)로부터 유묘(幼苗)의 병징발현(病徵發現)이 어떻게 일어나는가를 조사(調査) 논의(論議)하였다. C. truncatum, D. phaseolorum sojae 및 F. oxysporum에 의해서 병든 종자(種子)는 발아율(發芽率)이 유묘생육(幼苗生育)에 영향을 미쳤다. 병원성(病原性) 사상균(絲狀菌)의 인공접종(入工接種) 결과(結果) 모두 병원성(病原性)이 나타났으나 F. oxysporum은 약하게 나타났다. C. kikuchii, C. truncatum, D. phaseolorum sojae 및 F. oxysporum에 대한 효과적(效果約)인 종자소독제(種子消毒劑)는 Benlate-T, Homai, Tecto 및 Sisthane이었으며, Arasan, Captan, Busan-30 및 Mercron은 C. kikuchii에는 효과(效果)가 낮았으나 기타(其他) 병원균(病原菌)에는 효과(效果)가 있었다. 본(本) 실험(實驗)에 공시(供試)된 약제(藥劑)는 병든 종자(種子)의 발아율(發芽率)을 증진(增進)시키는 효과(效果)가 있었다.

  • PDF

Fusarium 균의 section Liseola에 대한 핵형 연구 (Study of Electrophoretic Karyotypes of Fusarium Section Liseola)

  • 밍병례;안미선;최영길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92-196
    • /
    • 1999
  • Fusarium 균 중에서 section Liseola 에 속하는 8균주에 대하여 CHEF-PFGE를 이용하여 핵형을 분석비교하였다. 0.75 Mb에서 6.45Mb 크기의 DNA band가 9~13개로 분리되었고 전체 genome 크기는 38.19 Mb에서 43.22Mb 였으며 종간, 종내에서 염색체 길이 다형성을 볼 수 있었다. F. moniliforme 로부터 얻은 IGS sequence(2.6Kb), Neurospora crassa 의 chs-2 gene(2.8Kb) 과 trp-3gene(3.8 Kb)을 probe로 하여 hybridization을 통하여 이들 gene 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PDF

Population Genetic Analyses of Gibberella fujikuroi Isolated from maize in Korea

  • Park, Sook-Young;Seo, Jeong-Ah;Lee, Yin-Won;Lee, Yong-Hw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5호
    • /
    • pp.281-289
    • /
    • 2001
  • We analyzed 88 strains of Gibberella fujikuroi (Analmorph: Fusarium section Liseola) from maize in Korea for mating population, mating type, fumonisin production vegetative compatibility, an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patterns. We found 50 strains that were MATA-2, 22 that were MATA-1, 1 that was MATD-1, and 15 that were not reproducibly fertile with any of the mating type testers. Of the 50 MATA-2, 15 were female fertile, while 10 of the 22 MATA-1 strains were female fertile. A total of 1,138 nitrate non-utilizing (nit) mutants were recovered from a total of 88 strains. These strains were grouped into 39 vegetative compatability groups (VCGs) by demonstrating heterokaryosis between nit mutants. A single maize ear could be infected by more than one VCG of F. moniliforme. RAPD analysis measured genetic diversity among 63 strains of F. moniliforme. Several VCGs were distinguished by RAPD fingerprinting patterns. Most strains produced significant levels of fumonisins. However, 6 MATA-2 strains from a single VCG produced higher levels of fumonisin $\textrm{B}_3$ than that of fumonisin $\textrm{B}_1$ or $\textrm{B}_2$. From these data, we concluded that most Korean strains of F. moniliforme associated with maize belonged to mating population A and produced significant levels of fumonisins. Futhermore, RAPD analysis could differentiate strains associated with different VCGs.

  • PDF

참깨의 종자전염성 진균과 그 병원성 : Corynespora cussiicola를 중심으로 (Significance of Semame Seedborne Fungi, with special Reference to Corynespora cassiicola)

  • 유승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83-190
    • /
    • 1981
  • 작물시험장, 충남농촌진흥원 및 일반농가에서 수집한 40개 참깨종자표본의 종자전염진균을 Blotter 법으로 조사하였던 바 Alternaria sesami, A. sesamicola, A. tenuis, A. longissima, Cercospora sesami, Cephalosporium sp., Corynespora cassiicola, Fusarium equiseti, F. moniliforme, F. oxysporum, F. semitectum, Macrophomina phoseolina 그리고 Myrothecium roridum이 검출되었다. 그 중 A. sesami, A. sesamicola, A. tenuis, C. cassiicola가 많은 비율로 검출되었다. 참깨 종자내의 감염부위를 알아본 결과, C. cassiicola가 가장 깊숙이 배에까지 감염되어 있었으며 Chlorine으로 종자표면소독을 하였을 경우에도 완전히 제거되지 않았다. 이균에 이병된 종자를 살균토양에 파종하였을 경우 심한 발아저해와 유묘고사를 초래하였다. C. cassiicola의 종자상에서의 생육상과 배양기상에서의 배양적성질 및 포자의 형태를 기술하였다. 병원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균의 포자현탁액을 참깨에 분무접종한 결과, C. cassiicola는 참깨의 잎과 줄기에 또는 자색의 병반을 나타내며 이것이 급격히 확대되어 고사하였다. A. sesami, A. sesamicola, A. longissima, C. sesami도 참깨 잎에 반점 또는 blight의 병징을 나타내었으나, A. tenuis은 병원성이 없었다. 토양접종실험의 결과, F. oxysporum과 M. phaseolina는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어 심한 종자부패와 유묘고사를 초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