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ute{e}$lix Guattari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리좀' 개념에서 본 현대 공공공간의 특성 및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 개관한 미술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Methods of Contemporary Public Spaces from Concept of 'Rhizome' - Focusing on Art Museums Launched After 2000 -)

  • 김은주;서지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204-21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methods of contemporary art museums from the perspective of 'Rhizome', which is considered under similar context as 'indeterminacy' that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public spaces.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ecessity of this study is verified by investigating literature data and preceding studies, and by examining the fact that indeterminate characteristic is a new approach to contemporary public spaces. Second, in order to analyze Rhizomic expression in public spaces, analysis criteria are suggested by extracting components of public space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R150hizome from the literature. Third, Rhizomic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methods used in contemporary art museums are understood based on such analysis criteria. Fourth, when each spatial characteristic is expressed in art museums, the study found out that two factors among 'program', 'circulation', and 'form' are planned out as a mixture. Therefore, 'cohesion' is expressed as 'program' and 'form' in contemporary public space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Rhizome'. Also, 'diversity' is actively expressed through 'program' and 'circulation', and 'non-hierarchy' through 'form' and 'circulation'. Such methods are positive methods of expressing indeterminate contemporary public spaces. Since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on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methods of public spaces from Rhizomic perspective of contemporary society, such results are deemed valuable in planning out public spac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society.

  • PDF

이혼에 대한 편견을 경감시키기 위한 소시오드라마의 활용 (Utilization of Sociodrama for Lessening the Prejudice about Divorce)

  • 윤일수
    • 공연문화연구
    • /
    • 제25호
    • /
    • pp.91-134
    • /
    • 2012
  • 본 연구는 2011년 9월 27일부터 11월 8일까지 5회기에 걸쳐 진행된 소시오드라마를 대상으로 삼아, 집단원들이 소시오드라마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이혼에 대한 편견이 경감되었음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다. 그것은 주로 역할교대를 통해 일어났는데, 이러한 현상을 들뢰즈 가타리의 '~되기'에 철학적 기반을 두고 해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혼에 대한 편견은 참만남을 통해 경감되었다. 그것은 '분자-되기'를 통해 너와 나의 경계가 모호해짐으로써 성취되었다. 둘째, 집단원들은 외도로 인한 이혼보다 가정폭력으로 인한 이혼에 더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외도로 인한 이혼은 '너'와 '나'의 경계 허물기가 이루어지지만, 가정 폭력으로 인한 이혼은 '너'와 '나'의 경계 허물기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나'라는 개인보다 '우리'라는 전체성으로 사회를 인식하는 것이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관점은 '너'와 '나' 간의 경계를 허물고 전체로서 '너'와 '나'를 바라보게 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소시오드라마는 이혼에 대한 편견을 경감시키는 데 상당히 효과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