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yes absent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 영상분석(映像分析)에 의한 haemaphysalis longicornis 의 표면(表面) 미세구조(微細構造)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on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Tick, Haemaphysalis longicornis Neumann 1901)

  • 강영배;장두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3-226
    • /
    • 1984
  • 가축(家畜)의 외부기생충(外部寄生蟲) 중에서 가장 피해(被害)가 크고 발생밀도(發生密度)가 높은 진드기인 Haemaphysalis longicornis의 표면(表面) 미세구조(微細構造)를 관찰(觀察)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走査電子顯微鏡)(Model; SEM ISI-DS-130)을 사용(使用)하여 그 영상(映像) 및 사진분석(寫眞分析)을 실시(實施)하여 그 결과(結果)를 보고(報告)하는 바이다. 본(本) 논문도감(論文圖鑑)에 수록(收錄)한 주요내용(主要內容)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미포혈(未吸血) 암컷에 대(對)한 정면소견(正面所見) 및 미포혈(未吸血) 수컷에 대(對)한 정측면소견(正側面所見). 2. 암 수컷의 악체부(顎體部) 배면소견(背面所見) 및 복면소견(腹面所見). 3. 구하편(口下片) 치열(齒列)과 관상(冠狀) 주열(柱列)의 소견(所見). 4. 지관절(肢關節)의 구조(構造). 5. 배판(背板), 전절(轉節) 및 퇴절상(腿節上)의 강모(剛毛) 형태(形態)와 체표면(體表面) 구조(構造). 6. 촉지상(觸肢上)의 강모(剛毛)와 강모라의 형태(形態).

  • PDF

Axenfeld-Rieger 증후군과 연관된 치과적 이상 (Dental anomalies associated with Axenfeld-Rieger syndrome)

  • 김기림;이두영;김승혜;이상휘;최병재;이제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4-98
    • /
    • 2010
  • 저자는 Axenfeld-Rieger 증후군을 가지는 5세 8개월 연환에 대한 구강 및 두개 안면에 대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관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지견을 얻었다. 1. 본 증례의 환아는 Axenfeld-Rieger 증후군의 전형적인 안과적, 구강적, 전신적 특징인 녹내장, 동공이상, 제탈장, 지연된 골령, 다수 치아 및 치배 결손, 상악 저성장 등을 보였다. 2. 이에 대한 주기적인 관찰과 적절한 시기의 치료개입이 중요하다. 3. 치과의사에 의한 조기진단이 녹내장 등에 의한 시력상실을 방지하기 위해 중요하다.

  • PDF

말티즈 견에서 발생한 스테로이드 반응성 진전 증후군 (Steroid Responsive Tremor Syndrome in a Maltese Dog)

  • 강병택;정동인;박철;김주원;김하정;임채영;고기진;조수경;이소영;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37-339
    • /
    • 2006
  • 4년령의 중성화된 암컷 말티즈 견이 급성으로 발병하고 4일 동안 지속된 진신 진전 우측으로의 사경 수평성 안구진탕, 그리고 약간의 보행실조에 대한 평가를 위해 내원하였다. 환견은 의식이 뚜렷하고 외부자극에 잘 반응하였다. 신경계 검사 상에서 양안의 수평성-, 위치성 안구진탕 그리고 약간의 보행실조가 나타났다. 또한 양안의 위협반사가 소실된 상태였다. 중등도의 전신 긴장성 진전이 사지와 두부에서 특이적으로 관찰되었다. 혈액검사, 방사선, 그리고 자기공명영상에서 이상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뇌척수액의 세포학적 검사를 통해 약간의 비화농성 염증 소견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염증성 그리고 특발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스테로이드 반응성 진전 증후군이 강하게 의심되었다. 환견은 면역억제 용량으로 투여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에 매우 잘 반응하였다. 따라서 진전을 유발하는 다른 원인들을 배제하고, 임상증상 및 치료에 대한 반응에 근거하여 스테로이드 반응성 진전 증후군으로 최종 진단하였다. 이것은 국내에서 스테로이드 반응성 진전 증후군의 최초 보고이며, 이 질환의 임상적 그리고 신경학적 특징들을 기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