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hepatic Bile Duct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초

영아 정체성 황달에 대한 진단적 복강경 의의 (Diagnostic Laparoscopy in Infantile Cholestatic Jaundice)

  • 방상영;정재희;이상권;송영택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8권2호
    • /
    • pp.156-160
    • /
    • 2002
  • When jaundice persists for more than 14 days postnatally, the early diagnosis of surgical jaundice is important for the prognosis in extrahepatic biliary atresia after draining procedure. The role of diagnostic laparoscopy to differenctiate medical causes of jaundice from biliary atresia is evaluated in this report. Four patients with prolonged jaundice have been included in this study. When the gallbladder was not visualized we proceeded to laparotomy. In patients with enlarged gallbladder visualized at laparoscopy, laparoscopic guided cholangiogram was performed, and laparoscopic liver biopsy was done for those who had a patent biliary tree. Two patients had small atretic gallbladder and underwent a Kasai hepato-portoenterostomy. One patients showed a patent gallbladder and common bile duct with atresia of the common hepatic and intrahepatic ducts, and they underwent a Kasai hepatic-portoenterostomy. One patient showed an enlarged gallbladder and laparoscopic-guided cholangiogram were normal. Laparoscopic liver biopsy was performed. There were no complications. Laparoscopy with laparoscopic-guided cholangiogram may be a valuable method in accurate and earlier diagnosis in an infant with prolonged jaundice.

  • PDF

담도폐쇄증 환아의 내인성 착색치아에 대한 증례보고 (CASE REPORT OF THE INTRINSIC STAINED TEETH OF PATIENTS WITH BILIARY ATRESIA)

  • 이창희;이상대;김영재;김정욱;한세현;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00-405
    • /
    • 2004
  • 담도폐쇄증은 간장외 담관의 부분적이거나 완전한 파괴 또는 부재로 인한 담즙흐름의 완전한 폐쇄로 정의된다. 이 질환은 대략 10,000명당 1명 정도 비율로 발생하며 여성에서 약간높은 빈도를 보인다. 원인인자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증상은 과빌리루빈혈증과 함께 황달, 점토색변, 지방설사, 어두운 갈색뇨, 간비대 등을 보인다. 최근의 담도폐쇄증의 치료는 간문장문합술 단독 혹은 간이식술을 병행하는 경향이다. 본 증례의 환자에서는 다양한 정도의 치아변색을 보였으며 색상은 노란색에서부터 짙은 초록색까지 다양했다. 법랑질의 저형성증이 모든 치아에 나타났고 구강위생이 좋지 않았으며 다발성 우식증을 가지고 있었다.

  • PDF

담낭 및 간외 담도계암의 방사선 치료성적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Carcinoma of the Extrahepatic Biliary System)

  • 전하정;이명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129-136
    • /
    • 1996
  • 목적 : 담낭과 간외 담도를 포함한 간외 담도계암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고 방사선치료의 역할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4월에서 1994년 7월까지 본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외부 방사선치료를 받은 43명의 담낭 및 간외 담도계암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23명은 담낭암이었고 20명은 간외 담도암이었다. 23명의 담낭암 환자중에서 제 2병기는 2명, 제 3 병기는 12명, 제 4병기는 9명이었다. 남녀비는 11명대 12명이었다. 15명은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8명은 조직생검과 우회수술만을 시행하였다. 3명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수술후 4500 cGy 이상의 방사선을 조사하였으며, 추적기간은 11-82개월 이었다. 20명의 간외 담도암 환자중에서 제 1병기는 1명, 제 2병기는 2명, 제 3병기는 10명, 제 4병기는 7명이었다. 남녀비는 16명대 4명이었다. 16명이 근치적 목적으로 위플씨 수술 또는 절제와 배액술을 시행하였고, 나머지 4명은 우회수술만을 시행하였다. 16명은 수술후 방사선 치료로 4500 cGy 이상 조사하였고, 4명은 3180-4140cGy를 조사하였다. 추적기간은 8-34개월 이었다. 결과 : 담낭암 환자의 전체 중앙 생존기간은 11개월이었다. 제 3병기와 제 4병기의 중앙생존기간은 14개월과 5개월이었으며, 2년 생존율은 각각 $36\%$(4/11)와 $13\%$(1/8) 이었다. 근치적 목적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들이 우회수술 만으로 치료받은 환자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생존율이 높았다. ($67\%$ : $13\%$ 12개월) 치료와 연관된 합병증으로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20명의 간외 담도암 환자의 전체 중앙 생존기간은 10개월이었다. 제 3병기 10명과 제 4병기 7명의 중앙 생존기간은 각각 10개월과 8개월이었다. 위플씨 수술을 시행한 2명은 각각 11개월과 14개월간 생존하였으며, 절제와 배액술로 치료한 환자들의 중앙 생존기간은 10개월이었다. 결론 : 간외 담도계암 환자에서 수술후 외부 방사선치료에 의한 합병증은 미미하였으며, 특히 수술후 현미경적 또는 육안적 잔여병변이 있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에 의해 생존율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 PDF

담도계 수술후 증상이 재발한 환자에서의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 재발 농양성 간담도염과 간내 담석 발생빈도의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한 연구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ic Study in Symptomatic Patients after Various Biliary Surgeries: Regional Emphasis of Recurrent Pyogenic Cholangitis and Intrahepatic Duct Stones)

  • 염하용;박영훈;서재관;이성도;최경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38
    • /
    • 1986
  • 간담도계 수술을 받고 증상이 재발한 환자 54명에서 $^{99m}Tc-DISIDA$ hepatobiliary scintraphy을 시행하고, 지역적인 질환발생 빈도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이의 임상적인 이용도를 분석하였다. 1) 제일 빈도가 많은 질환은 재발농양성 담도염였으며 빈도는 57%였고 다음으로 많은 질환은 간내의 담석증이였으며 빈도는 50%이다. 2) 세번째로 많은 질환은 풍토병인 간흡충증이및으며 빈도는 26%였다. 3) 재발농양성 담도염의 87%에서 간내 및 외 담도 담석증이 발병되었으며, 다만 11.4% 만이 간흡충증과 합병되어 없었다. 4) $^{99m}Tc-DISIDA$의 간담도 영상의 진단율은 재발농양성 담도염에서 81.6%, 담도 담석증에서 78.6%, 그리고 간흡충증에서 71.7%였으며 그 외 stenosis of ampula vater, 만성 감염등도 100% 진안이 가능했다. 5) 재발농양성 담도염 및 담도 담석증의 $^{99m}Tc-DISIDA$ 영상의 특징은 담관내 bile flow의 segmental retention 였으며 그 특징적인 영상을 설명하였다.

  • PDF

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S-100 Protein and Synaptophysin Expression in Biliary Atresia Gallbladder Tissue

  • Gurunluoglu, Semra;Ceran, Canan;Gurunluoglu, Kubilay;Kocbiyik, Alper;Gul, Mehmet;Yildiz, Turan;Bag, Harika Gozukara;Gul, Semir;Tasci, Aytac;Bayrakci, Ercan;Akpinar, Necmettin;Cin, Ecem Serbest;Ates, Hasan;Demircan, Mehmet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4권2호
    • /
    • pp.173-186
    • /
    • 2021
  • Purpose: Biliary atresia (BA) is a disease that manifests as jaundice after birth and leads to progressive destruction of the ductal system in the liv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stopathological changes and immunohistochemically examine the expression of 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GDNF), synaptophysin, and S-100 protein in the gallbladder of BA patients. Methods: The study included a BA group of 29 patients and a control group of 41 children with cholecystectomy. Gallbladder tissue removed during surgery was obtained and examined immunohistochemically and histopathologically. Tissue samples of both groups were immunohistochemically assessed in terms of GDNF, S-100 protein, and synaptophysin expression. Expression was classified as present or absent. Inflammatory activity assessment with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and fibrosis assessment with Masson's trichrome staining were performed for tissue sample sections of both groups. Results: Ganglion cells were not present in gallbladder tissue samples of the BA group. Immunohistochemically, GDNF, synaptophysin, and S-100 expression was not detected in the BA group.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more frequent fibrosis and slightly higher inflammatory activity in the BA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We speculate that GDNF expression will no longer continue in this region, when the damage caused by inflammation of the extrahepatic bile ducts reaches a critical threshold. The study's findings may represent a missing link in the chain of events forming the etiology of BA and may be helpful in its diag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