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tion of primary molar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6초

제1유구치의 조기 상실로 인한 공간 변화에 대한 3차원적 분석 (THREE-DIMENSIONAL SPACE CHANGES AFTER PREMATURE LOSS OF THE PRIMARY FIRST MOLAR: A LONGITUDINAL STUDY)

  • 김지연;정다운;곽소연;유승은;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97-304
    • /
    • 2008
  • 본 연구는 제1유구치의 조기 상실 시공간 변화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3-Dimensional Laser Scanner를 이용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예비논문이다. 6세-8세 사이의 제1대구치가 맹출하여 확실한 교합 관계를 이루는 혼합치 열기 어린이 중 편측 제1유구치의 조기 발치가 필요한 6명의 발치 전 후의 모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구치 공간변화는 상악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현저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고, 하악은 실험군에서 3명 중 2명에서 공간감소가 관찰되었다. 2. 치열궁 너비, 치열궁 둘레는 초기모형과 최종모형에서 비슷한 값을 보였다. 3. 협설측 경사도 변화는 유견치에서는 상하악 모두 특별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제2유구치는 상악은 실험군과 대조군이 유사하였고, 하악에서는 3명중 2명에서 실험군이 더 큰 설측경사도 변화를 보였다. 제1대구치는 하악에서 실험군이 더 큰 설측경사도 변화가 관찰되었다. 4. 근원심 경사도 변화 측정에서 유견치는 상하악 모두 특별한 경향이 관찰되지 않았고 제2 유구치의 경우 하악에서 실험군이 더 큰 근심경사도 증가가 보였다. 제1대구치는 상악에서 실험군, 대조군 모두 원심 경사도가 증가되었다.

  • PDF

Buffered articaine infiltration for primary maxillary molar extraction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 Dhake, Parag;Nagpal, Devendra;Chaudhari, Purva;Lamba, Gagandeep;Hotwani, Kavita;Singh, Prabhat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5호
    • /
    • pp.387-394
    • /
    • 2022
  • Background: Dental pain management is an important aspect of patient management in pediatric dentistry. Articaine is considered the most successful anesthetic agent for infiltration anesthesia. Buffered articaine has been observed to have faster onset and longer duration of action with less pain on inje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pain on injection, onset of action, and pain during extraction using buffered (using Sodium bicarbonate (NaHCO3)) and non-buffered 4% articaine (with 1:100000 adrenaline) infiltrations for primary maxillary molar extractions in 4-10-year-old children. Methods: Seventy children who required extraction of maxillary primary molars were enrolled in this triple-blind randomized study. Children undergoing extraction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35 in each group. The study group was the buffered articaine group; the control group was the non-buffered articaine group. Buccal and palatal infiltrations were administered with either buffered or non-buffered articaine. Subjective evaluation was done for pain on injection, pain during extraction using Wong-Baker Faces Pain Rating Scale (WBFPR) and onset of anesthesia in seconds. Pain on injection, pain during extraction were objectively evaluated using Sound Eye Motor (SEM) scale and onset of anesthesia was also evaluated objectively by pricking with sharp dental probe. Results: The outcome was, significantly less pain on injection and significantly faster onset of anesthesia with significantly less pain during extraction for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evaluations in the buffered articaine group. Subgroup analysis was also performed and it showed variable results, with on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WBFPR scores in age subgroup 4-7 years for palatal infiltration. Conclusion: Less pain on injection, faster onset of anesthesia, and less pain during extraction were observed when buffered articaine was used for maxillary primary molar extraction.

만기 잔존된 제 2 유구치 발거에 의한 제 2 소구치의 자발적 맹출 유도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SECOND PREMOLAR TOOTH BY EXTRACTION OF PROLONGED RETAINED SECOND PRIMARY MOLAR.)

  • 이근혜;남동우;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95-501
    • /
    • 2003
  • 매복은 임상적 또는 방사선학적으로 인식할 만한 맹출로의 장애물이나 잘못된 치배의 위치로 인하여 치아의 맹출에 진전이 없는 것을 말한다. 제 3 대구치와 상악 견치를 제외하고 제 2 소구치에서 가장 흔히 매복이 발생하며, 소구치의 매복은 전체 매복의 0.5%를 차지한다. 소구치 매복의 치료에는 교정적 견인과 외과적 재위치가 필요할 수도 있지만, 만기 잔존된 유구치에 의해 발생한 소구치 매복은 유구치의 발거 및 공간 유지로서 소구치의 맹출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제 2 소구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경북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아에서 만기 잔존된 제 2 유구치를 발거하고 공간 유지를 하여 제 2 소구치의 자발적 맹출을 시도하였는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만기 잔존된 제 2 유구치와 연관된 매복된 제 2 소구치는 유치 발거를 통한 최소한의 치료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2. 제 2 소구치가 맹출할 때까지 적절한 공간 유지와 정기적인 방사선 검사가 필요하다. 3. 교정적 견인 또는 외과적 재위치를 시도하기 전 치아의 이동을 확인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이 허용되어야 한다. 4. 치근이 미완성된 치아에서 좀 더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선행 유치의 편측치아절제술에 의한 원심으로 변위된 하악 제2소구치의 맹출 유도 (Eruption Guidance of Distally Displaced Mandibular Second Premolar by the Hemisection of Primary Second Molar: Two Case Reports)

  • 신용욱;박호원;이주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40-347
    • /
    • 2022
  • 하악 제2소구치 치배의 원심 변위는 해당 치아의 매복 뿐만 아니라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경로를 방해하여 추가적인 맹출 지연을 야기할 수 있다. 이 증례 보고는 원심으로 변위된 하악 제2소구치로 인해 하악 제1대구치의 맹출 지연이 나타난 두 증례를 소개하고 있다. 원심으로 변위된 하악 제2소구치 치배의 근심 이동을 위해 선행 유치의 의도적 발거술을 시행할 수 있다. 하지만 제2유구치의 조기 상실 시 바람직하지 않은 하악 제1소구치의 원심 이소맹출이 나타날 수 있다. 하악 제1소구치의 바람직하지 않은 원심 이소맹출을 방지하면서 원심으로 변위된 하악 제2소구치 치배를 근심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하악 제2유구치의 편측치아절제술 및 순차적 발거를 수행하였다.

유구치의 편측치아절제술을 이용한 공간유지장치 (A CASE REPORT ON THE SPACE MAINTAINER USING PRIMARY MOLAR HEMISECTION)

  • 김준현;이제호;김성오;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76-780
    • /
    • 1997
  • Patient with alveolar abscess due to dental caries with severe alveolar bone loss, severe tooth mobility, root resorption need extraction of tooth because it is impossible to carry out pulp treatment and restoration by using conventional method. Early loss of primary molar might cause masticatory interference, extrusion of opposing tooth, problem in maintaining space and interference on eruption of permanent tooth. Especially, early loss of primary second molar before the eruption of permanent first molar might cause space closure by mesially erupted permanent first molar and impaction of second premolar. In such a case, distal shoe space maintainer and removable space regaining appliance was the first choice of treatment. But, distal shoe space maintainer need precise adaptation and might cause chronic inflammation if the oral hygiene is poor. In a case using removable space regaining appliance, patient's cooperation is most important. If the distal root of primary second molar is comparably sound and alveolar abscess with alveolar bone loss is localized at mesial root, hemisection should be carried out for precise guide to eruption of the permanent first molar, restoration of masticatory fuction and solution to the discomfort of the patient

  • PDF

상악 제2유구치의 부가치근과 함께 관찰된 영구 계승치의 변위 및 회전 : 증례 보고 (Additional Root of the Primary Maxillary Second Molar Possibly Associated with Displacement and Rotation of the Permanent Successor : Two Case Reports)

  • 구재원;이제우;라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6-121
    • /
    • 2017
  • 상악 제2유구치의 부가치근은 드물게 관찰된다. 본 증례보고에서는 두 증례를 통해 상악 제2유구치의 부가치근과 하방 영구 계승치의 변위 및 회전이 연관되었을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상악 제2유구치의 치관 형태를 관찰함으로써 부가치근의 존재 가능성을 의심할 수 있으며, 부가치근이 존재하는 경우 영구 계승치의 맹출 양상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만약 소구치 치배가 비정상적인 맹출 양상을 보인다면 선행 유치의 조기 발거 및 공간유지가 보존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다.

3개의 치근을 가진 하악 유구치 : 증례보고 (MANDIBULAR PRIMARY MOLARS WITH 3 ROOTS : CASE REPORT)

  • 송제선;최병재;최형준;이제호;손흥규;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67-174
    • /
    • 2008
  • 하악 유구치와 제1대구치는 보통 근심과 원심에 하나씩 2개의 치근을 가지나 원심설측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부가치근을 갖는 경우가 발견된다. 발생 빈도는 하악 제1대구치의 경우 백인에서는 3% 정도로 드물게 나타나지만 중국이나 일본, 에스키모, 북미 인디언 등 황인종에서는 20% 내외로 비교적 높다. 유구치의 경우는 제1대구치보다는 적게 발생되고 제1유구치보다는 제2유구치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하악 유구치에 부가치근이 관찰되면 후방에 있는 유구치와 제1대구치에서도 부가치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부가 치근을 가지는 하악 제1유구치의 치관의 형태는 원심설측에 존재하는 부가치근의 영향으로 삼각형 모양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증례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5명의 환아에게서 발생된 하악 유구치와 제1대구치의 부가 치근에 관한 보고로서 부가치근을 가진 유구치는 치근의 수와 치관의 형태 등에 문제가 있으므로 치수치료나 기성금관 수복, 발치 시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탄성의치를 이용한 유구치 조기 상실의 치료 (Management of Premature Loss of Primary Molars with Flexible Denture)

  • 송기언;남옥형;김미선;이효설;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87-191
    • /
    • 2016
  • 제2유구치의 조기상실은 제1대구치의 근심이동이나 근심경사를 야기할 수 있다. 5세 여아에서 다수의 하악 유구치 조기상실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아는 계승 영구치의 소포염으로 인해 하악 좌측 제1유구치와 제2유구치의 발거가 필요하였다. 탄성의치를 이용하여 저작 기능을 회복하는 동시에 제1대구치의 맹출을 유도하였다.

비가역성 이소맹출로 분류된 상악 제1대구치의 맹출 특성에 관한 방사선학적 연구 (RADIOGRAPHIC STUDY OF ERUPTION CHARACTERISTICS FOR UPPER PERMANENT 1ST MOLAR CLASSIFIED AS IRREVERSIBLE ECTOPIC ERUPTION)

  • 임엘;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56-562
    • /
    • 2009
  • 이소맹출은 유전적 요인 혹은 여러 가지 국소적 요인에 의해 치아가 비정상적인 위치로 맹출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소맹출이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치아는 상악 제1대구치로 이를 방치할 경우 인접치의 치근흡수 및 이에 따른 조기탈락으로 영구치 맹출공간 부족을 야기하며, 결과적으로 부정교합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치료에 앞서 이소맹출중인 치아가 자발적으로 맹출하기를 기다려볼 것인지 혹은 조기에 치료를 하여 제2유구치의 치근흡수나 탈락을 예방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이를 위한 몇몇 진단학적 기준이 제시되고 있으나 학자간 이견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상악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이 조기 발견된 증례들 중 전방에 위치한 제2유구치의 치근이 흡수되어 비가역적 특징을 보인다고 판단되는 증례에 대해 특별한 처치 없이 주기적인 검진을 통해 자발적으로 해소된 결과를 관찰하였다. 이와 함께 상악 제2유구치 치근흡수의 정도와 상악 제1대구치의 맹출 기울기에 따른 후향적 분석을 통해 상악 제1대구치 이소맹출의 유형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상악 제2유구치의 치근 흡수 정도에 따라 grade I에서 IV로 분류하였고,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 상에서 양측 안와의 최하방점을 연결한 수평선과 상악 제1대구치의 근심면을 따라 연결한 수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근심각(mesial angle)을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는 상악 제2유구치의 치근 흡수 정도보다 상악 제1대구치의 맹출 기울기가 이소맹출의 유형을 진단하는 데에 있어 더 신뢰할만한 기준이라고 판단할 수 있었다.

  • PDF

Clinical Features of Molar Root-Incisor Malformation: A Retrospective Study

  • Sejin Chun;Hyuntae Kim;Ji-Soo Song;Teo Jeon Shin;Hong-Keun Hyun;Jung-Wook Kim;Ki-Taeg Jang;Young-Jae Kim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79-289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molar root-incisor malformation (MRIM) and provide clinical considerations for treatments. Panoramic radiographs and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64 patients with MRIM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ge, gender, follow-up period, medical history, complications, distribution of MRIM teeth, treatment, and prognosis were analyzed. Females were affected 1.56 times more than males, and the average age was 8.2 years. Dental complications, including periapical lesions, abscesses, and alveolar bone loss, were observed in 71.9%, and eruption disturbance of adjacent teeth was noticed in 37.5%. Most patients had medical histories in the first year of life. The most prevalent history was prematurity or low birthweight, followed by neurological conditions, surgeries, medications, and infections. All patients had MRIM on permanent first molars. The primary second molars were the second most frequently involved, followed by maxillary permanent central incisors and primary first molars. The prevalence was low on permanent lateral incisors and canines. Extraction was the most prevalent treatment done on MRIM-affected teeth, and most extraction sockets were managed by the eruption of permanent second molars. Few cases received endodontic treatment but with low success rates. Early detection of MRIM and prompt, appropriate treatment are important to avoid unnecessary discomfort from co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