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ernal beam radiotherapy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2초

Phase II Study of Docetaxel (Aisu) Combined with Three-dimensional Conformal External Beam Radiotherapy in Treating Patients with Inoperable Esophageal Cancer

  • Shen, Kang;Huang, Xin-En;Lu, Yan-Yan;Wu, Xue-Yan;Liu, Jin;Xiang, J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2호
    • /
    • pp.6523-6526
    • /
    • 2012
  •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reatment efficacy and side effects of concomitant Aisu$^{(R)}$ (docetaxel) with three-dimensional conformal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inoperable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Methods: Inoperable patients were treated with three-dimensional conformal external beam radiotherapy (5/week, 2 GY/day, and total dose 60GY) plus docetaxel ($30-45mg/m^2$, iv, d1, 8). Results: Twenty eight patients met the study eligibility criteria and the response rate was evaluated according to RICIST guidelines. Among 28 patients, 2 achieved CR, 22 PR, 3 SD and 1 patient was documented PD. Mild gastrointestinal reaction and bone marrow suppression were also documented. All treatment related side effects were tolerable. Conclusion: Three-dimensional conformal external beam radiotherapy combined with docetaxel is an active and safe regimen for inoperable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근접치료 시 외부 방사선 치료 전후의 MR 영상 비교분석 (Comparison Analysis of MR Images Before and After External Beam Radiotherapy in Brachytherapy)

  • 최은혜;백충석;이성용;변영식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12
    • /
    • 2011
  • 목 적: 자궁경부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는 일반적으로 외부 방사선 치료 후 근접치료를 시행하는데, 외부 방사선 치료 후 종양의 위치나 부피가 변화하므로 근접치료 시 이전의 MR 영상만을 참고하여 applicator 삽입을 할 경우 많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원에서는 외부 방사선 치료 전후의 MR 영상 비교를 통해 근접치료 시 발생할 수 있는 applicator 삽입 오류를 분석하여 외부 방사선 치료 후 MR 영상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Fletcher CT/MR applicator를 사용한 자궁경부암 환자 35명을 대상으로 외부 방사선 치료 전후에 촬영한 MR 영상을 비교하였다. 결 과: MR 영상 분석 결과 외부 방사선 치료 후 종양이 줄어들면서 전굴이었던 자궁이 후굴로 바뀌게 된 경우가 17.1%, tandem 삽입시 방향이나 길이 등이 잘못된 경우가 14.3%로 나타났다. 결 론: 외부 방사선 치료 후 MRI를 촬영하면 줄어든 종양과 함께 정확한 자궁의 위치와 길이를 확인할 수 있어 근접치료 시행 시 applicator 삽입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여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를 시행할 수 있었다.

  • PDF

외부조사 방사선치료 기간 중 총담도 스텐트의 위치 변화가 컸던 사례 (A Bile Duct Cancer Patient Whose Stent Shifted Significantly Over the Course of External Beam Radiotherapy)

  • 윤형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9권2호
    • /
    • pp.121-126
    • /
    • 2011
  • 담도암 환자의 방사선치료 기간 중, 총담도에 삽입된 스텐트가 환자 복부의 우측부터 좌측까지 매우 넓은 범위로 움직인 경우를 발견하였다. 환자는 80세 노령의 여자로 흉추가 심한 척추 후만증을 보였고 흉추와 요추 몇 부위들에 압박골절이 있어서 키가 작았고 복부장기들이 아래로 내려와 있었다. 환자는 쇠약하고 야윈 상태였는데 방사선치료 기간 중 매주 컴퓨터단층촬영을 시행하여 비교한 결과 몸의 좌우방향으로 4 cm 이상의 스텐트의 위치 이동을 보였다. 따라서 흉추 후만증이 있으며서 몸이 매우 야윈 담도암 환자의 경우 방사선치료 범위 설정 시에 치료 기간 중 담도나 스텐트가 크게 움직일 가능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척수종양의 방사선 치료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Primary Spinal Cord Tumors)

  • 전하정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7권2호
    • /
    • pp.197-203
    • /
    • 1989
  • 1969년부터 1983년까지 버지니아 의대부속병원에서 방사선 치료를 받은 34예의 원발성 척수암중, 조직검사 또는 아절제술을 시행한 후 수술후 방사선 요법으로 치료받은 32예 (Astrocytoma 16, ependymoma 16)에 대한 치료실적을 보고하고자 한다. 29예에서는 $45\~55Gy$를 5내지 6주간에 조사 받았으며 나머지 3예에서는 40Gy이하의 선량을 조사받았다. 50Gy 이상 조사된 6예는 모두 척수가 조사야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최저 추적 기간은 5년이었다. 방사선 치료 실패 후 재수술로 치료된 3예를 포함하여, 모든 예에서 생존율은 5년과 10년에서 각각 $73\%\;와\;50\%$이었다. 각각의 투병생존율은 $60\%\;와\;32\%$이었다. 45Gy 이상의 선량을 받은 29예에서는 5년 무병생존이 $63\%$이었다. 13예에서 치료실패를 경험했으며 치료실패는 조사야에서만 관찰되었다. Ependymoma가 astrocytoma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무병생존율이 높았다 $(45\%\;:\; 89\%(p<0.05))$, 원발부위에 있어 경추가 포함된 예에서 그렇지 않은 예보다 생존율이 저하되었다. 원발부위의 cauda equina포함여부는 예후에 영향이 없었다. 최고 20년간 추적결과 방사선 치료에 의한 신경성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원발성 척수암의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 치료가 안전하고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Comparison of Effects of Hemoglobin Levels Upon Tumor Response among Cervical Carcinoma Patients Undergoing Accelerated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versus Cisplatin Chemoradiotherapy

  • Thakur, Priyanka;Seam, Rajeev Kumar;Gupta, Manoj Kumar;Rastogi, Madhup;Gupta, Manish;Bhattacharyya, Tapesh;Sharma, Mukesh;Revannasiddaiah, Swaroop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0호
    • /
    • pp.4285-4289
    • /
    • 2015
  • Purpose: Blood hemoglobin levels are known to influence response to radiotherapy. This retrospective analysis compared the effect of hemoglobin levels upon response to radiation among patients treated with radiation alone (by accelerated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versus those treated with concurrent cisplatin chemo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Among patients treated for locally advanced carcinoma of the cervix (LACC) during 2009-10, a total of 60 fulfilled the eligibility criteria. In this time frame, external beam radiotherapy was delivered with either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RT, n=31) (45Gy over 25 fractions, with weekly cisplatin at 40mg/m2), or with accelerated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AHRT, n=29) (20Gy over 10 daily fractions over the first two weeks, followed by 30Gy over 20 fractions over the next two weeks, with two fractions of 1.5Gy per day, without the use of chemotherapy). Mean weekly hemoglobin (MWH) levels of all patients were calculated as the arithmetic means of weekly recorded blood hemoglobin levels. As per MWH, patients in both of the AHRT or the CRT groups were classified into two subgroups-those with MWH between 10-10.9g/dL, or with MWH>11g/dL. Complete response (CR) to external beam RT phase (prior to brachytherapy) was declared after clinical examinations and computed tomography. The CR rate was noted for both MWH sub-groups within each of the AHRT and CRT groups. Results: Within the AHRT group, patients with MWH>11g/dL had a much better CR rate in comparison to those with MWH:10-10.9g/dL (80% vs. 21.1%)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045). Within the CRT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utcomes within the MWH>11g/dL and MWH:10-10.9g/dL sub-groups (CR rates of 80% vs. 61.9%, p=0.4285). Conclusions: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a minimum hemoglobin level of 11g/dL during RT is much greater for patients treated with RT alone, than for patients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Enhanced haemoglobin levels during RT may to an extent negate the ill-effects that may otherwise arise due to non-use of concurrent chemotherapy.

원격전이의 증거가 없는 식도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Result of Radiotherapy in Non-metastatic Esophageal Cancer)

  • 채규영;장정순;이종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27-31
    • /
    • 1995
  • Purpose :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preliminarily the role of intraluminal brachytherapy in the radiation treatment of non-metastatic esophage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follow-up result of 21 patients treated at the dept. of therapeutic radiology i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pril, 1989 and August, 1992. All patients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5-FU, Cispl-atin). Fif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external beam alone, and in remaining 6 patients, the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llowed by intraluminal brachytherapy was done. Results : Among 21 patients, 7 patients showed complete tumor regression after completion of radiotherapy. But 2 of these complete responder recurred at the site of primary disease, so ultimate local control rate was $23.8\%$(5/21). Local control rate according to radiation treatment modality was $6.7\%$(1/15) in patients treaed with external irradiation only, and $66.7\%$ in patients treated with combined external irradiation and intraluminal brachytherapy. The 2 year NED survival rate was $6.6.\%$ in the former and $66.7\%$ in the latter. Conclusion: Although there should be consideration about case selection for addition of intraluminal brachytherapy intraluminal brachytherapy may be considerded as one of the method to enhance the local control probability of esophageal cancer.

  • PDF

Treatment Outcome with Brachytherapy for Recurrent Nasopharyngeal Carcinoma

  • Cheah, Soon Keat;Lau, Fen Nee;Yusof, Mastura Md;Phua, Vincent Chee E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513-6518
    • /
    • 2013
  • Background: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 and major late complications of all patients with recurrent nasopharyngeal carcinoma (NPC) treated with intracavitary brachytherapy (ICBT) in Hospital Kuala Lumpur. Materials and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at the Department of Radiotherapy and Oncology, Hospital Kuala Lumpur, Malaysia. All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confirmed recurrent NPC in the absence of distant metastasis treated in the period 1997-2010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se patients were treated with ICBT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external beam radiotherapy (EBRT). Treatment outcomes measured were local recurrence free survival (LRFS), disease 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OS). Results: Thirty three patients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The median age at recurrence was 56 years with a median time to initial local recurrence of 27 months. Majority of patients were staged as rT1-2 (94%) or rN0 (82%). The proportion of patients categorised as stage III-IV at first local recurrence was only 9%. Twenty one patients received a combination of ICBT and external beam radiotherapy while 12 patients were treated with ICBT alone. Median interval of recurrence post re-irradiation was 32 months (range: 4-110 months). The median LRFS, DFS and OS were 30 months, 29 months and 36 months respectively. The 5 year LRFS, DFS and OS were 44.7%, 38.8% and 28.1% respectively. The N stage at recurrenc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for LRFS and DFS after multivariate analysis. Major late complications occurred in 34.9% of our patients. Conclusions: Our study shows ICBT was associated with a reasonable long term outcome in salvaging recurrent NPC although major complications remained a significant problem. The N stage at recurrence wa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for both LRFS and DFS.

단순자궁적출술을 시행한 침윤성 자궁경부암에서의 방사선치료 (Radiotherapy of Invasive Cervical Cancer Following Simple Hysterectomy)

  • 채규영;김용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251-254
    • /
    • 1997
  • 목적 : 침윤성자궁경부암에서 단순자궁적출술을 시행하는 것은 통상적인 치료원칙에 배치된다. 본 연구는 침윤성자궁경부암에서 단순자궁적출술이 시행되었을 경우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대상 및 방법 :침윤성자궁경부암환자로서 단순자궁적출을 시행받고 1989년 4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의 연령의 중앙값은 49세이었고, 연구대상에 대한 추적기간의 중앙간은 46개월이었다. 방사선치료는 17명에서는 외부방사선조사만 시행되었고 절제연에 잔류암이 있었던 2명에서는 강내치료를 병용하였다. 결과 : 전체 4년 생존율은 $75\%$이었고, 4년 국소제어율은 $89\%$이었다. 2명에서 국소 및 원격재발이 있었고 2명에서 원격재발이 있었다. 결론 : 침윤성 자궁경부암에서 단순자궁적출술이 시행된 경우 방사선치료는 매우 적절한 후속조치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진행된 식도암의 방사선 단독치료 성적 (External Beam Radiotherapy Alone in Advanced Esophageal Cancer)

  • 안성자;정웅기;나병식;남택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11-16
    • /
    • 2000
  • 목적 : 진행된 식도암 환자에서 외부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았던 환자의 치료성적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흉곽내에 위치한 편평상피세포암의 식도암으로 1990년 7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외부 방사선 단독 치료를 받은 10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근치 목적의 방사선은 6 MV 혹은 10 MV X선으로 55 Gy에서 70.8 Gy 의 선량으로 통상적인 분할치료를 시행하였다. 추적이 가능한 환자는 100명(94$\%$)으로 추적기간은 1개월에서 92개월(중앙값: 6개월)이었다. 결과 :전체환자의 중앙연령은 62세였으며, 남녀 비율은 104:2였다. 가장 흔한 병변부위는 중앙 부위로 54$\%$를 차지하였다. 83$\%$의 환자가 근치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이들의 평균 방사선 선량은 58.6 Gy였으며(55$\~$70.8 Gy)평균 치료소요기간은 53일이었다. 전체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6개월이었고, 1, 2년 생존율은 각각 27, 12$\~$였다. 연하곤란으로 위루술을 시행한 7명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의 완화를 보였다. 치료 직후 완전 관해율은 32$\~$ (34/106)였고 이들 환자의 중앙생존기간(14개월)과 2년 생존율(30$\%$)은 다른 환자의 중앙생존기간(4개월)과 2년 생존율(30$\%$)에 비해 좋았다(p=0.000). 진단시 연하곤란의 정도에 따른 중앙생존기간과 2년 생존율을 비교해보면, 정상적인 음식물 섭취가 가능한 경우는 9개월과 16$\%$인 반면, 전혀 음식물을 삼킬 수 있었던 환자의 경우는 3개월과 0$\%$였다(p=0.004). 그러나 식도주변조직의 침범이나 주변 임파절 침범 유무에 따른 두 군간의 성적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다요인 분석에서는 방사선치료 직후 종양의 완해 여부가 가장 중요하였고 그외 원발 병소의 길이, 진단 당시 연하곤란의 정도 순으로 생존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인자였다. 치료로 인한 부작용은 10명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9$\%$). 결론 : 진행된 식도암 환자의 외부방사선 단독 치료는 좋지 않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에 진행된 병기의 식도암환자의 치료 선택에 있어서 반드시 근접치료나 항암화학요법의 병행을 고려해야 하겠다.

  • PDF

식도의 편평상피세포암 환자에서 외부방사선치료의 결과 (The Outcome of Conventional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 장지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1호
    • /
    • pp.17-23
    • /
    • 2008
  • 목적: 최근 진행된 식도암의 치료는 병행항암방사선요법 후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가장 성적이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병행치료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식도암 환자에서 병행치료가 어려워 방사선치료 단독으로 치료받게 된다. 이에 저자는 통상적인 외부방사선치료를 받은 식도암 환자의 치료성적과 예후인자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식도의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진단받고 40 Gy 이상 외부방사선조사를 받은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총방사선량은 $44{\sim}60Gy$(중간선량 57.2 Gy)이었으며 방사선치료 기간은 $36{\sim}115$일(중간방사선치료기간 45일)이었다. 13명(43.3%)의 환자는 당뇨, 고혈압, 결핵 등의 과거력이 있었으며 그중 4명의 환자에서 식도암 진단 전 3명이 위암, 1명이 하인두암으로 진단받고 치료받은 적이 있었다. 원발병소부위는 중흉부식도에 위치한 예가 19명(63.3%)으로 가장 많았고 상흉부식도 4명(13.3%), 하흉부식도 7명(23.3%)이었다. 원발병소의 길이는 $2{\sim}11cm$이었고, 중간 길이는 6 cm이었다. 진단당시 병기는 AJCC 병기로 병기 I이 2명(6.7%), 병기 II 4명(13.3%), 병기 III 19명(63.3%), 병기 IV 5명(16.7%)이었다. 결과: 전체 환자의 중간 생존기간은 8.3개월이었고 1년 생존율 33.3%, 2년 생존율 18.7%이었다. 치료종료 $1{\sim}3$개월째 치료결과를 판정하여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가 6명(20%), 부분관해 21명(70%)이었다. 치료종료 $1{\sim}3$개월 후에 평가한 연하곤란증상은 29명(96.7%)의 환자에서 호전되었다. 치료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에 대한 단변량 분석결과 연령, 종양의 길이, 병기, 치료 전 식사, 치료 목적, 치료에 따른 반응정도가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였다. 다변량분석에서는 종양의 길이, 치료 목적, 치료에 따른 반응정도가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확인되었다. 치료실패는 국소 실패가 28명, 전이가 4명이었다. 추적조사기간동안 2명의 환자에서 이차적인 암이 발생하여 과거력상 식도이외의 암이 있었던 환자를 포함하면 6명(20%)에서 다발성 암으로 진단받았다. 치료로 인한 부작용 중 식도협착이 발생한 예가 3명(10%), 방사선폐렴이 발생한 예가 2명(6.7%)이었다. 결론: 식도암에서 단독 방사선치료 결과는 병행치료에 비해 만족스럽지 못하지만 부작용이 많지 않아 연하곤란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여전히 이용되고 있다. 진행된 식도암에서 항암제 혹은 항암제 이외의 적절한 병행치료를 시행하여 완전관해율을 높인다면 생존율의 향상을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