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ensor digitorum brevis muscl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8초

Pollicization of the Middle Finger

  • Bahk, Sujin;Eo, Su Rak;Cho, Sang Hun;Jones, Neil Ford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24권2호
    • /
    • pp.62-67
    • /
    • 2015
  • Purpose: Pollicization typically involves surgical migration of the index finger to the position of the thumb. This procedure facilitates the conversion of a useless hand into a well-functioning one in patients who are not amenable to the toe-to-hand transfer. However, middle finger pollicization has been rarely reported. Materials and Methods: We reconstructed a thumb by immediate pollicization of the remnants of the middle finger in two patients who sustained a tumor and a trauma, respectively. The former, after cancer ablation was performed, has not been reported literally, and the latter involved free devitalized pollicization of the middle finger using a microsurgical anastomosis. The distal third extensor communis tendon was sutured to the proximal extensor pollicis longus tendon and the distal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and profundus were sutured to the proximal flexor pollicis longus. The abductor pollicis brevis tendon was sutur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palmar interosseous muscle. Coaptation of the third digital nerve and the superficial radial nerve branch was performed. Results: Patients showed uneventful postoperative courses without complication such as infection or finger necros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pollicization, a wide range of pinch and grasp movements was successfully restored. They were pleased with the functional and cosmetic results. Conclusion: Although the index finger has been the digit of choice for pollicization, we could also use the middle finger on specific occasions. This procedure provides an excellent option for the reconstruction of a mutilated thumb and could be performed advantageously in a single step.

중증근무력증 진단시 상지와 하지근육들에서의 반복신경자극검사 양성률의 비교 (Comparison of the Repetitive Nerve Stimulation Test(RNST) Findings Between in Upper and Lower Extremity Muscles in Myasthenia Gravis)

  • 정윤석;이준;이세진;하정상;김욱년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7권2호
    • /
    • pp.129-136
    • /
    • 2000
  • 중종근무력증 환자들에게 반복신경자극검사를 시행함에 있어서 하지의 근육들의 진단적 민감성을 파악해 보기 위하여 건강한 남녀 20명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경과에 중증근무력증의 특징적인 증상을 주소로 내훤한 grade 2이상의 환자 10례를 대상으로 안윤근, 소지외전근, 척측수근굴근과 하지의 내경골근, 단지선근, 내광근에서 반복신경자극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환자에서 반복신경자극검사에서 안면근육과 상지근육은 하지근육보다 민감도에서 높은 결과를 보여 주었고, 정상인과 중증근무력증 환자사이에서 안정기, 운동 직후, 운동 후 1분, 운동 후 3분에서의 감소성반응수치는 안면과 상지근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P<0.01 or p<0.05)가 있었으나 하지근육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중증근무력증환자에서의 반복신경자극검사 결과 안윤근에서 20례, 척측수근굴근에서 14례, 소지외전근에서 12례에서 양성반응을 보였으며, 하지에서는 전경골근에서 4례, 단지선근에서 8례, 내광근에서 3례에서 양성반응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중증근무력증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반복신경자극검사를 시행할 경우에 안면과 상지근육에 정성소견이 보이면 하지근육에서 반복신경자극검사를 시행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생각되나, 빈도는 낮지만 하지근육애서도 양성반응을 보임에 따라서 추후에 좀 더 많은 환자에 대해서 하지근육의 반복신경자극검사를 시행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신경질환의 진단을 위한 탈신경 전위와 종판 전위의 구별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Distinction between Denervation Potentials and Endplate Spikes for the Diagnosis of Neuropathy)

  • 임재중;김남균;황윤성;박인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1-459
    • /
    • 1999
  • 신경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근육군에서의 세동전위나 양성예각파와 같은 탈신경전위를 관찰함으로써 신경의 이상유무와 손상부위를 예측할수 있는데 이는 임상의의 주관적인 경험에만 의존하여 구별되고 있으며 검사과정 중 정상인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는 종판전위가 탈신경전위로 오인되어 진단에 혼선을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탈신경전위와 종판전위를 정량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매개변수들을 추출함으로써 신경손상의 진단과 병변의 국소화에 정확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신경손상을 보이는 10명의 환자들에 대한 근전도 검사를 실시하여 탈신경전위인 양성예각파나 세동전위, 그리고 종판전위를 검출하였다. 이들 신호로부터 지속시간, 면적, 기울기, 첨두시간 진폭, 양첨두지 진폭, 음첨두치 진폭 및 첨두치 비율 그리고 상(phase)의 여덟가지 매개변수를 구하고 각 파형에서의 값들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종류의 탈신경전위와 종판전위의 구분에 공통적으로 좋은 결과를 제공하는 매개변수는 기울기, 첨두치간 진폭, 양첨두치 진폭 그리고 첨두치간의 비율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구해진 매개변수들의 특성은 근전도 분석의 자동화를 위한 알고리듬의 수립에 응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며 보다 정량화된 근전도 분석을 통해 진단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