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ression techniques

검색결과 841건 처리시간 0.034초

데페이즈망을 활용한 현대 실내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ression of interior design contemporary by application of depaysement)

  • 이정열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79-86
    • /
    • 2007
  • The recent works of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take on too various aspects to be classified as a trend or tendency. Many subjects, seeking the superiority between form and function in space which was the issue of Modernism, got to face the works which transcend the limitation of architecture due to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media and technology these days. In result, we could see the works which are to be Included into the category of art rather than architecture. This study starts from the thought that the common aspects of these works are based on the strangeness to pursue uniqueness, peculiarities or novelty. 'The subject of this study, $'D\acute{e}paysement'$, creates a new relation, disconnected from customs, to an architecture which became familiar through defragment, fixation and abstraction by the habitual relation and makes it reborn as an architecture which gives us a fantasy and a pleasure, by converting into the shape and image which are different from its original shape when a stimulus is given to an architecture. This study starts from the artistic aspect which has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architecture. The subject, $'D\acute{e}paysement'$ could be historically considered in two aspects - $D\acute{e}paysement$ of Surrealism which developed in paintings and Defamiliarization of Russian Formalism in the area of literature. This study is carried in a category of $D\acute{e}paysement$, focusing on the visual aspect of the architecture. This study is composed as follows: In chapter 2, a theoretical research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finition and meaning of the $D\acute{e}paysement$ expression techniques, its origination and evolution, and type classification by the features of expression techniques in the era of Surrealism when $D\acute{e}paysement$ developed most vigorously in the area of art. In chapter 3, the system which formalizes the expression method of the techniques is presented, focusing on the case analysis of the artistic works according to the types of $D\acute{e}paysement$. In chapter 4, the application of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D\acute{e}paysement$ is discussed by conducting cases analysis of the modern interior design.

발렌티노 드레스에 표현된 꽃이미지의 입체적 장식기법 (Three-dimensional Decorative Techniques of Flower Image Represented on Valentino Dress)

  • 나수임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7-4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f dress design by researching three-dimensional decorative techniques representing flowers, a popular motif in dress design. This study analyzed 44 dresses that were presented in Valentino colle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detailing expression method can show various patterns and colors through embroidery technique, sub-materials, and bonding techniques in embroidery, beads flower, and ribbon flowers. Second, the fabric flower technique expressed flower image in three-dimension in more various images than do either the ribbon or beads flower technique. Fabric flowers are mostly made from the same material as dresses. The expression technique of fabric flower i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classifications: 1) A technique underlying a flower image with one, two and three large flowers, 2) a technique decorating a large area with a number of an identical motif, and 3) a technique highlighting a part of the body or design line by attracting eyes to one point, creating a corsage decorated where a designer wants to emphasize. Third, a silhouette technique realizes a flower image with a silhouette of a dress like sculpted structure and it is thus used less than a detailing expression technique. A flower image is expressed by making use of body lines or emphasizing the face. Finally, flower images on a dress were realized as a full blossomed flower, through visually streamlined shapes and curved lines.

  • PDF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New Painting 특성 (Characteristics of New Painting in Fashion Illustrations)

  • 김순자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06-91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and their effects of New painting in fashion illustration since 1990s. This study is focused on searching for the development in expressional techniques of the fashion illustration on the basis of various techniques of New painting. New painting as a trend of new expressionism in America was developed in opposition to the minimalism in the 1980s when the discussion of the post-modernism was most widely. The artists of New painting attempted to resurrect figure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figure and concrete image, rich in color and strong in image. They also expressed the realistic scene of life with the various kind of medium, materials and styles and appropriation of image from mass media and popular culture. The representation of fashion figure and image through the various kind of painting medium, techniques and styles can express the realistic and sensitive image and increase the communication ability in fashion illustration. It could also deliver the fashion message more clearly through the appropriation of imag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ashion illustrations accept variety by interacting with fine arts and expand the scope of expression.

『나띠야 샤스뜨라』의 현대적 활용에 대한 방향성 고찰 -표정연기술을 중심으로- (A Study on Directionality in Modern Utilization of 『Natya sastra』 -Focused on Facial Expression Acting Techniques-)

  • 안재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408-416
    • /
    • 2017
  • 본 연구자는 신체 표현 중심의 "나띠야 샤스뜨라" 연기술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현대 배우의 훈련방법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호로서의 신체 연기'는 "나띠야 샤스뜨라" 연기술의 주요한 특성으로써 배우가 행하는 각각의 표정, 제스처, 움직임은 특정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그동안 "나띠야 샤스뜨라" 연기술에 관한 연구는 주로 비사실주의적인 표현 양식 혹은 신체 중심의 연기론 분야의 주요한 연구대상으로 다루어졌다. 반면 본문은 비사실주의 연극뿐만 아니라 사실주의 연극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배우훈련의 활용방안에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다마지오나 에크만 등의 심리학자에 따르면 정서와 결부된 표정 및 행위를 통해서도 내적 충동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배우의 내적 충동을 통한 연기뿐만 아니라 배우의 충실한 외적 정서 표현 역시 관객들의 정서를 촉발할 수 있다. 이러한 사례는 라사를 규정하고 신체적으로 표현하는 "나띠야 샤스뜨라" 연기술을 내적 진실을 고양하는 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심리학적 근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나띠야 샤스뜨라"를 활용한 배우훈련에 관한 연구는 내적 충동과 외적 표현을 통합적으로 지향하는 현대 연기론 연구에서 효과적인 하나의 접근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ign of A Personalized Classifier using Soft Computing Techniques and Its Application to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Kim, Dae-Jin;Zeungnam Bien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3년도 ISIS 2003
    • /
    • pp.521-524
    • /
    • 200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sign process of 'personalized' classification with soft computing techniques. Based on human's thinking way, a construction methodology for personalized classifier is mentioned. Here, two fuzzy similarity measures and ensemble of classifiers are effectively used. As one of the possible applications,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problem is discussed. The numerical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is very useful for on-line learning, reusability of previous knowledge and so on.

  • PDF

얼굴 표정 데이터의 최적의 가시화를 위한 선형 및 비선형 투영 기법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Linear and Nonlinear Projection Techniques for the Best Visualization of Facial Expression Data)

  • 김성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97-104
    • /
    • 2009
  • 본 논문은 고차원 얼굴 모션 캡처 데이터를 선형 및 비선형 투영 기법에 각각 적용하고, 이를 2차원 평면으로 투영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론에 대한 것이다. 본 방법의 핵심 요소는 프레임 단위의 고차원 얼굴 표정 데이터를 선형 투영 기법인 PCA와 비선형 투영 기법인 Isomap, MDS, CCA, Sammon's Mapping, LLE 등에 적용하고 이를 저차원 공간에 분포시키는 방법론 및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기존의 고차원 얼굴 표정 프레임 데이터들 사이의 거리를 구하고, 선형 및 비선형 투영 기법들을 적용한 상태에서 기존의 데이터들 사이의 거리 관계를 유지하면서 저차원인 2차원 평면 공간에 분포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2차원 공간에 분포된 얼굴 표정 데이터가 원형 데이터와 비교 했을 때, 최적의 상태로 프레임 데이터들 사이의 거리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투영 기법을 찾는다. 결국 본 논문에서는 고차원 얼굴 표정 데이터를 저차원 공간에 투영하기 위한 선형 및 비선형 투영 기법들을 비교 분석하고, 각각에서 최적의 투영 기법을 찾아낸다.

컴퓨터 자수기계 코드 및 테이프 트리밍 장식기법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Applying Code and Tape Trimming Decoration Techniques of Computer Embroidery Machine)

  • 이서윤;김지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5호
    • /
    • pp.1-21
    • /
    • 2022
  •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ashion design with greater added value and to seek the expandability of its expression domain by applying special computer code and tape embroidery machine capable of creating more special and fancier fashion to th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by focusing on the fashion decorations that are becoming increasingly more computer systematized. For this purpose, expression techniques and effects of computer embroidery machine code and tape trimming decoration techniques, and cases of modern fashion design are examined. Major images are then deduced to designing and production of actual 6 creative pieces equipped with creativity and commercial value by applying such images deduced. As the results, it is not only possible to develop highly value added fashion design by utilizing mixed computer embroidery machine code and tape trimming decoration technique but also to produce countlessly new and unique surfaces by inducing changes in diversified pattern expressions, thickness of cord thread, and width, color and texture of material, etc. of the tape. This can maximize the expression domain of design, and fulfill the fashion desires of consumers wanting modern enhancement of quality and individualization. If multilateral attempts and studies for the aforementioned purposes can be expanded continuously, it is deemed possible to broaden the range of expression techniques in fashion design and, moreover, to make contribution towards enhancement of competitiveness of fashion industry.

고차원 (유전자 발현) 자료에 대한 군집 타당성분석 기법의 성능 비교 (Comparison of the Cluster Validation Methods for High-dimensional (Gene Expression) Data)

  • 정윤경;백장선
    • 응용통계연구
    • /
    • 제20권1호
    • /
    • pp.167-181
    • /
    • 2007
  • 유전자 발현 자료(gene expression data)는 전형적인 고차원 자료이며, 이를 분석하기 위한 여러 가지 군집 알고리즘(clustering algorithm)과 군집 결과들을 검증하는 군집타당성분석 기법(cluster validation technique)이 제안되고 있지만, 이들 군집 타당성을 분석하는 기법의 성능에 대한 비교, 평가는 매우 드물다. 본 논문에서는 저차원의 모의실험 자료와 실제 유전자 발현 자료에 대하여 군집 타당성분석 기법들의 성능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내적 측도에서는 Dunn 지수, Silhouette 지수 순으로 뛰어났고 외적 측도에서는 Jaccard 지수가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영상콘텐츠 제작에서 편의성 높은 '깊이감'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A Survey on the Convenient Way of Expression of 'Sense of Depth' in Producing Moving Image Contents)

  • 김경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87-192
    • /
    • 2008
  • 본 연구는 차원 높은 영상콘텐츠 제작 과정 중 깊이감의 표현을 위해 적용될 수 있는 기술들과, 그 기술들의 구체적인 내용 및 이에 대한 검증에 관한 것이다. 깊이감을 표현하는 기술에는 조명을 이용하는 방법, 피사계심도 자체를 이용하는 방법과 렌즈를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카메라의 움직임 즉 줌과 돌리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들이 실제로 적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선호 빈도를 조사해 본 결과, 기술이 적용된 사진들이 대부분 선택되었다. 깊이감을 표현하는 방법 가운데 렌즈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편의성 높은 방법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시각디자인 과정에서 스캠퍼의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CAMPER in Visual Design Process)

  • 박찬국;김관배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221-230
    • /
    • 2004
  • 변화와 경쟁을 전제로 한 지식기반사회, 정보화사회에서는 창의성을 중요시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 전반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디자인 분야는 그 어느 때보다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을 요구받고 있다. 디자이너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상하고 그것을 더욱 더 창의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디자인 사고기법에 관심을 두어야 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창의적인 시각디자인 개발을 위하여 아이디어를 발상하고 발전시키는 데 유용한 사고기법 중의 하나인 스캠퍼의 활용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2차에 걸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시각디자인 과정에서 창의적 사고기법들과 스캠퍼의 활용 현황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스캠퍼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로 시각디자인 과정에서 스캠퍼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 발상 및 발전 단계들에 맞추어 스캠퍼의 사고기술들을 분류하고 체계화하여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