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losion Range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3초

고속도로 휴게소 소형 LPG 저장탱크 폭발에 따른 영향범위 분석 (Impact Range Analysis of Small LPG Storage Tank Explosions at Highway Rest Areas)

  • 전승덕;이순범;이재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319-327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고속도로 휴게소에 설치된 소형 LPG 저장탱크의 폭발에 따른 영향범위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휴게소에 설치된 2,900 kg 소형 LPG 저장탱크의 증기운 폭발(VCE)과 비등액체팽창증기 폭발(BLEVE)로 인한 과압과 복사열의 영향범위를 ALOHA(Areal Location of Hazardous Atmospheres)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도출된 폭발 과압과 복사열의 영향범위는 각각 최대 반경 336 m와 423 m로 나타났다. 269 m 이내의 사람들은 3.5 psi이상의 과압으로 중상을 입을 수 있고, 192 m 이내의 사람들은 10 kw/m2이상의 복사열로 사망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나아가 고속도로 휴게소 부대시설과 피해 영향범위를 고려한 LPG 저장 탱크의 안전관리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고속도로 휴게소에 설치된 소형 LPG 저장탱크의 안전관리뿐만 아니라 휴게소 환경 및 시설을 고려한 안전사고 예방 규정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증기운 폭발을 받는 플랜트 시설물의 내폭설계를 위한 구조 해석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Structural-Analysis Model for Blast-Resistant Design of Plant Facilities Subjected to Vapor-Cloud Explosion)

  • 최보영;이승훈;김한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103-110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상용 프로그램 MIDAS GEN을 활용하여 플랜트 시설물의 특성을 반영한 골조와 단일 부재의 비선형 동적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이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다. 플랜트에 배치되는 일반적인 구조 부재의 크기와 재료적 특성을 고려하였으며, 수치해석 방법 중 뉴마크 평균 가속도법, 재료 비선형을 고려하기 위한 소성 힌지를 적용하였다. 플랜트 폭발의 대표적 유형인 증기운 폭발의 폭발하중을 산정하였으며, 이를 골조 및 단일 부재에 적용하여 비선형 동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동적 거동의 결과는 고유주기와 하중지속시간의 비율, 최대변위, 연성도, 회전각으로 정리하였으며 골조를 단일 부재로 해석할 수 있는 조건과 범위를 분석 및 확인하였다. 보-기둥 강성비가 0.5, 연성도가 2.0 이상인 NSFF는 FFC로 단순화할 수 있으며, 보-기둥 강성비가 0.5, 연성도가 1.5 이상인 NSPF는 FPC로 단순화하여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플랜트 시설물의 내폭설계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

부산 실내사격장 화재 II. 원인 및 화재안전대책 (Fire at an Indoor Shooting Range in Busan II. Causes and Fire Safety Measures)

  • 박외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92-97
    • /
    • 2010
  • 부산 실내사격장 화재의 원인을 추정하고 화재안전대책을 강구하기 위해 화재 시뮬레이션과 사격장 화재의 사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장조사와 잔류화약 분말에 대한 사격시험도 실시하였다. 총구불꽃과 탄자 받이에서의 스파크의 흔적이 CCTV 녹화영상에 나타나지 않았고, 유탄의 충격에 잔류화약이 점화하지 않았다. 따라서 잠재적 점화원 중 담뱃불이 가장 유력한 점화원으로 추정되었다. 또, 사격실에서의 폭발원인은 폴리우레탄 흡음재와 흡음재에 축적된 잔류화약 분말의 격렬한 연소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실내 사격장의 안전대책으로 프로파일 폴리우레탄 흡음재의 사용금지, 잔류화약 제거와 철저한 관리, 탄자받이의 강구조물 제거 등이 필요하다.

표적 탐지거리 향상을 위한 근접자기센서 송수신기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nsmitter and Receiver Design of Proximity Magnetic Sensor for Enhancement of Target Detection Range)

  • 주혜선;정현주;양창섭;전재진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1151-1158
    • /
    • 2011
  • Proximity magnetic sensor is able to detect the object target accurately in close range and it has been widely used in the underwater guided weapon system because there is no countermeasures from the target. In order to increase the damage of target by shock wave due to explosion of the underwater guided weapon system, the maximum detection range of the proximity magnetic sensor needs to be increased.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techniques of the optimum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ils design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for the output power enhancement of the transmitter and the sensitivity improvement of the receiver. Finally, the proposed design techniques of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were verified using a experimental setup and a prototype.

물질특성 및 운전조건을 고려한 증기상 물질의 2차 누출에 따른 폭발위험장소 범위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ation of Range of Hazardous Area Caused by the Secondary Grade of Release of Vapor Substances Considering Material Characteristic and Operating Condition)

  • 서민수;김기석;황용우;천영우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3-26
    • /
    • 2018
  • 현재 KS Code 등 국내규정에서는 폭발위험장소의 범위를 계산하는 방법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아, 정확한 범위 선정을 위해서는 확산 모델링 해석을 이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애서는 대표적인 물질과 운전조건을 활용하여 확산 모델링에 비하여 간편하면서도 비교적 합리적인 폭발위험장소의 범위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국내외 표준을 바탕으로 폭발하한계(LFL, Lower Flammable Limit)까지 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선정하였다. 총 16종의 인화성물질을 대상으로 물질변수, 운전변수, 기상조건에 대하여 모델링을 진행하였으며, 통계분석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변수를 이용하여 폭발위험장소의 범위 선정을 위한 3단계 분류화 방법(3Step Classification Method)을 작성하였다.

각도 측정치를 이용한 삼각 측량법 기반 거리 추정 알고리즘 (Range Estimation Algorithm Based on Triangulation Using Angle Measurements)

  • 강태영;문규진;이용선;최성호;유창경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77-284
    • /
    • 2020
  • 유도탄과 표적 사이의 거리는 유도명령을 산출, 탄두의 폭발 시간을 결정하는데 활용 가능하다. 거리는 유도탄의 온보드 센서에 의해 직접 측정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각도정보를 이용하여 필터기반 기법을 통해 이를 추정한다. 그러나 기존의 필터 기반의 기법들은 복잡하고 많은 연산량을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도탄의 두 지점과 표적에 대한 기하관계를 이용하여 삼각 측량법에 기반한 거리 추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측정 오차에 의해 추정 성능이 크게 좌우된다. 추정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Digital Fading Memory Filter(DFMF)를 적용하였으며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분석하였다.

Improvement Plan for Prevention Regulations to Improve Hazardous Material Safety Management

  • Seongju Oh;Jaewook Lee;Hasung K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3호
    • /
    • pp.346-357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prevention regulations by reflecting the toxicity, fire and explosion effects of hazardous materials factories and surrounding areas using an off-site consequence assessment program. Regarding the effects of the hydrogen cyanide leak accident, which is the 1st petroleum of the 4th class flammable liquid, Areal Locations of Hazardous Atmospheres (ALOHA) program was us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xtent of damage effects for toxicity, overpressure, and radiation. As a result, the toxicity was analyzed to exceed 5km in the area with Acute exposure guideline level (AEGL)-2 concentration or higher, the overpressure was 103m in the range of 1 psi or more, and the radiant heat was analyzed to be 724m in the range of 2kw/m2 or more. Toxicity and radiation affected the area outside the hazardous material storage area, but the overpressure was limited to the inside of the hazardous material storage area. Therefore, we propose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of hazardous materials by conducting a risk assessment for hazardous materials and reflecting the results in internal and external emergency response plans to prepare prevention regulations.

가스 저장탱크 안전거리의 지적 결정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Intelligent Decision System by Safely Distance of GAS Storage Tank)

  • 임사환;허용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721-726
    • /
    • 2006
  • 본 논문은 가스 저장탱크 안전거리의 지적결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현장에서는 저장탱크의 파열로 인한 위해를 예방하기 위해 법에서 설정한 안전거리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비전문가에게는 저장탱크의 크기, 형상, 그리고 위치를 고려한 적절한 안전거리를 결정하기란 결코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전문가라도 가스 3법 및 저장탱크의 크기, 형상, 그리고 위치를 지적결정에 의하여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 친화적 지적결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하여 얻어진 자료의 활용으로 현장에서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저장탱크의 파열로 인한 과압의 피해영향 거리를 Hopkinson의 삼승근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여 법에서 규정한 거리와 비교 평가할 수 있는 자료를 생성토록 하였으며, 또한 이를 PHAST 모델에 적용하면 그래픽으로 출력이 되어 보다 쉽게 안전범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연소합성법에 의한 $MoSi_2-Al_2O_3$ 복합재료의 특성에 미치는 $Mo/MoO_3$ 몰비의 영향 (Influences of the Molar Ratio of $Mo/MoO_3$ on Characteristics of $MoSi_2-Al_2O_3$ composites by SHS Methods)

  • 장윤식;이윤복;김용백;김인술;박흥채;오기동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3권11호
    • /
    • pp.1209-1216
    • /
    • 1996
  • MoSi2-Al2O3 composites were prepared by thermal explosion mode of self-propagating high temperature syn-thesis (SHS) using element powders of MoO3 Mo Si and Al. The combustion products of MoSi2 which have 10, 20, 30 and 40 wt% Al2O3 showed the molten state in the range of Mo to MoO3 6:1-9.5:1, 2:1-8:1, 1:1-5:1, and 1:1-3:1 (molar ratio) respectively. The combustion products which made least seperation the molten phase from the slag phase were in Mo/MoO3=9, 5:1, 8:1, 5:1 and 3:1 (molar ratio) respectively. Particles size of MoSi2 and Al2O3 in the combustion product were decreased as the molar ratio of Mo to MoO3 increase. By XRD analysis only MoSi2 and $\alpha$-Al2O3 peaks were identified in the combusion products, In case of MoSi2 containing 20wt% Al2O3 5.1wt% Al existed into MoSi2 grains and 30.7wt% Si and 7.7wt% Mo existed into Al2O3 grains. The relative density of MoSi2 containing 10, 20, 30 and 40 wt% Al2O3 were 82.7, 85.2, and 81.9% respectively. The fracture strength of MoSi2-Al2O3 composites increased with increasing Al2O3 and that of MoSi2-20wt% Al2O3 composite was 195 MPa.

  • PDF

PFC를 이용한 콘크리트기둥의 발파모델링 (Blast Modeling of Concrete Column Using PFC)

  • 최병희;양형식;류창하
    • 화약ㆍ발파
    • /
    • 제23권1호
    • /
    • pp.47-5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PFC^{3D}$를 사용하여 시멘트 모르타르와 굵은 골재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기둥의 발파과정에서 나타나는 폭발과 파괴현상을 모사하여 보았다. 폭원모델링 과정에서는 공내입자들의 반경을 팽창/수축시키는 기법을 통해 공벽입자들에 접촉력의 형태로 폭발압력을 부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현장 발파실험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을 대상으로 초안폭약을 사용하여 발파하고 그 파괴거동을 고속카메라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모사과정에서는 철근의 규격과 입자요소의 크기에 따른 해석시간을 고려하여 모르타르와 굵은 골재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기둥을 대상으로 제안된 폭원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해석을 실시하였다. 해석결과 나타난 저항선의 이동속도는 $17\~24\;m/s$로서 실험치 $14\~18\; m/s$를 약간 상회하고 있으나 제안된 폭원모델링 기법을 사용한다면 암석이나 기타 재료들에 대한 발파과정에서 나타는 파괴거동을 수치적으로 보다 유사하게 모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