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it edge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4초

항공기용 가스터빈의 고압 냉각터빈 노즐에 대한 복합열전달 해석 (Conjugate Heat Transfer Analysis for High Pressure Cooled Turbine Vane in Aircraft Gas Turbine)

  • 김진욱;박정규;강영석;조진수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60-66
    • /
    • 2015
  • Conjugate heat transfer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low and cooling performance of the high pressure turbine nozzle of gas turbine engine. The CHT code was verified by comparison between CFD results and experimental results of C3X vane. The combination of k-${\omega}$ based SST turbulence model and transition model was used to solve the flow and thermal field of the fluid zone and the material property of CMSX-4 was applied to the solid zone. The turbine nozzle has two internal cooling channels and each channel has a complex cooling configurations, such as the film cooling, jet impingement, pedestal and rib turbulator. The parabolic temperature profile was given to the inlet condition of the nozzle to simulate the combustor exit condition. The flow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comparing with uncooled nozzle vane. The Mach number around the vane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coolant mass flow flowed in the main flow passage. The maximum cooling effectiveness (91 %) at the vane surface is located in the middle of pressure side which is effected by the film cooling and the rib turbulrator. The region of the minimum cooling effectiveness (44.8 %) was positioned at the leading edge.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 TBC layer increases the average cooling effectiveness up to 18 %.

수소 전소용 연소 노즐 형상과 연소실 압력이 경계층 역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ozzle Shapes and Pressures on Boundary Layer Flashback of Hydrogen-Air Combustor)

  • 이원준;황정재;김한석;민경욱;김민국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776-785
    • /
    • 2022
  • Hydrogen combustion in modern gas-turbine engine is the cutting edge technology as carbon-free energy conversion system. Flashback of hydrogen flame, however, is inevitable and critical specially for premixed hydrogen combustion. Therefore, this experimental investigation is conducted to understand flashback phenomenon in premixed hydrogen combustion. In order to investigate flashback characteristics in premixed hydrogen (H2)/air flame, we focus on pressure conditions and nozzle shapes. In general, quenching distance reduces as pressure of combustion chamber increases, causing flashback from boundary layer near wall. The flashback regime for reference and modified candidate configurations can broadly appear with increasing combustion chamber pressure. The later one can improve flashback-resist by compensating flow velocity at wall. Also, improved wall flow velocity profile of suggested contraction nozzle prevents entire flashback but causes local flashback at nozzle exit.

디지털 도어락 시장 진입을 위한 제품디자인의 경쟁력 장화요소 연구 - 제품별 소비자 선호도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mpetitiveness-reinforcing Factors in Designing Digital Door Lock Products and in Penetrating the Market -With Focus on an Analysis of Consumers' Preference by Product-)

  • 유부미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35-144
    • /
    • 2005
  • 기업경쟁에 있어서 소비자들의 제품에 대한 가치 인식 및 선호 경향이 제품개발에 점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비자 요구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위하여 기업들은 소비자의 제품만족도,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며 그에 대응되는 생산을 계획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디지털 도어락에 대한 기대가 증대하고 그 필요성의 인식이 성숙함에 따라 시장 진입을 위한 제품경쟁력 강화 요소를 발굴하여 디자인 전략을 설정하고자 한다. 연구의 과정으로 시장조사를 통하여 사회적 배경을 이해하고, 정성조사인 소비자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여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요구사항 등을 파악하였으며, 정량적 조사로 소비자 기호이미지 조사, 구매 및 사용 행동 패턴과 도어락 시장 상황을 파악하였다. 이제까지의 기술 중심적인 제품에서 사용자 중심의 제품으로 디자인 및 설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성향과 사용자의 사용법이 제품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조건이 되어야 한다. 이제 소비자는 제품을 통하여 라이프스타일을 창조 하고자 하며, 생활 문화적 가치를 지니는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쟁력 강화 포인트 전략으로 첫째,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차별화 된 가치의 제공 둘째, 소비자들의 선호경향이 높은 생체인식의 방식의 적극 개발 셋째, 단순출입제어기능에서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으로 확장하기 원하는 소비자들의 기대에 대한 부응 넷째, 간편성으로 향상된 기술을 이용한 인증방식 등을 제안하였다.

  • PDF

소아환자에서 대복재정맥을 통한 하대정맥도관법의 유용성 (Usefulness of Tunneled Trans-saphenous IVC Catheters for Long Term Venous Access in Pediatric Patients)

  • 김승환;김성민;오정탁;한석주;최승훈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2권2호
    • /
    • pp.167-174
    • /
    • 2006
  • Central venous catheter (CVC) for long-term venous access is indispensable for various reasons including hyperalimentation, frequent blood sampling, frequent IV drug use in pediatric patients. We report clinical experience of surgical neonates in whom CVC was inserted primarily via great saphenous vein into suprarenal inferior vena cava. From March 2004 to March 2006, we performed CVC insertion via saphenous vein - contralateral side to main wound - into suprarenal inferior vena cava in surgeries of neonates. 2.7Fr or 4.2Fr, single lumen, tunneled Broviac catheters (Bard Access system, Inc, Salt Lake City, Utah) were used. Skin exit site of tunneled catheter was located in ipsilateral flank area just below edge lower rib. At the end of the procedure, location of the catheter tip was confirmed by plain radiography of abdomen.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admission records of the patients including nursing staff charts. Nine (50.0 %) patients were male and nine (50.0%) were female. Median gestational age was 38 weeks (range, 29-42 weeks) and median birth weight was 3,105 gm (range, 1,040-3,720 gm). Median age at catheter insertion was 38.5 days (range, 1-236 days). The purpose of CVC insertion was short-and long-term hyperalimentation in nine (50.0 %) patients. CVC insertion was performed in operation room under general anesthesia in sixteen (88.9 %) patients (in these cases, CVC insertion was performed just prior to concurrent operation)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under local anesthesia with adequate sedation in two (11.2%). During the admission period (total catheter-indwelling time: 553 days), CVC functioned well without any significant side effects. Transient swelling of the ipsilateral leg (n=1, 5.6 %) and transient migration of catheter tip (n=1, 5.6 %) were noted, which did not affect function of the indwelled CVC. Mean catheter-indwelling time was 30.7days (range, 3-72 days). All catheters were removed electively except two mortality case. Complications, such as thrombosis, infection, kinking or extravasation of drugs, were not observed in our study period. Tunneled trans-great saphenous vein inferior vena cava catheters are not only comparable to cervical CVCs in terms of function and complication rates, but also very beneficial in selected patients, especially those in whom cervical approach is technically impossible or contraindicated.

  • PDF

잔교상판(棧橋床板)에 작용(作用)하는 양압력(揚壓力) 분포특성(分布特性)에 관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The Experimental Study o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ift-force Acting under Pier Deck)

  • 박상길;박현수;안익성;김우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1B호
    • /
    • pp.83-90
    • /
    • 2009
  • 본 연구는 잔교를 설계할 때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잔교상판에 작용하는 양압력 분포 특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양압력이 상판하부에 작용할 때 압축공기 유출의 유무에 따라 양압력이 작용하는 형상이 다르고 양압력의 크기가 다르게 분포하고 있음을 알았다. 동일 Block 상판내의 양압력분포는 상판의 중심점과 가장자리에서 동일한 분포를 하지 않는 결과를 얻었다. 양압력 분포특성은 잔교길이인 무차원(l/L), 파형경사(H/L), 공간(D/H)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양압력에 영향을 미치는 무차원 요소(H/L)은 양압력의 최대치를 결정하는 D/H의 값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동일한 D/H인 경우도 양압력은 파형경사에 따라서 변화하고 있다. 즉, H/L이 클수록 (D/H)이 작기 때문에 잔교를 설계할 때 $D_{max}$가 되는 Clearance가 생기지 않는 상판높이를 정하는 것이 안전한 설계가 된다. 압축공기가 양압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양압력이 크게 작용하는 On-shore에서는 Off-shore보다 압축공기에 의한 양압력의 저감효과가 크게 발생하고 있다. 상판에 작용하는 양압력을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압축공기 유출을 방지하는 상판설계가 필요하다.

도로개발에 의하여 훼손된 산림지역 생물이동통로 식재계획 (Planting Plan of Ecological Corridor at Destroyed Mountain Area as a Result of Road Construction)

  • 이경재;한봉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21-337
    • /
    • 2002
  • 본 연구는 경기도 용인시 학고개지역에서 도로건설에 의하여 훼손된 산림지역의 브릿지형 생물이동통로 식재계획을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내용은 대상지 및 주변지역 자연생태계 조사 분석단계와 식재계획단계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자연생태계 조사분석은 지형구조, 식물군집구조, 동물서식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식재계획은 이동종선정, 식재공간구분 및 개념, 식재종 및 식재밀도를 제시하였고, 식재기본계획도를 작성하였다. 대상지의 지형구조는 산림능선을 훼손한 급경사 지형에 브릿지형의 생물이동통로 유형 조성이 가능하였고 동물의 이동은 생물이동통로 양쪽 끝부분에만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물군집구조 분석은 도로를 기점으로 동서 지역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이들 두 지역 모두 산복과 산록부는 졸참나무와 굴참나무가 우점종인 군집이었으며, 능선부에는 소나무림이 토지극상으로 분포하였고 이들 두 지역간 유사성도 높은 상태이었다. 야생동물서식구조는 야생조류와 일부 포유류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야생조류는 총 7종 57개체, 설치류는 2종 2개체가 관찰되었다. 식재계획에서 이동목표종은 야생조류와 일부 포유류로 설정하였고, 이들 종의 이동을 위한 식재공간은 야생조류 이 동 및 서식 공간과 포유류 이동지 역 을 구분하였으며 , 세부적으로 완충지역으로 브릿지 입출구 사면지역의 관목식재지, 차폐식재지, 양쪽 산림지역과 연결된 급경사지역 초본식물 군락식재지, 야생동물 유도식재지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군락식재지, 포유동물 이동을 위한 군락식재지, 야생조류 서식처 조성을 위한 군락식재지로 구분하였다. 식재종은 주변산림지역에서 상재도가 높은 종을 중심으로 선정하였고 각 공간별 식재밀도를 고려하여 식재기본계획도를 작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