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changeable potassium

검색결과 185건 처리시간 0.023초

소성 점토다공체 및 코코넛 피트를 혼합한 인공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rtificial Soil Formulated by Blending Calcined Clay and Coconut Peat and its Effect on Plant Growth)

  • 허근영;강호철;김인혜;심경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7-115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artificial soil formulated by blending calcined clay and coconut peat with perlite, then to evaluate this soil as a perlite substitute for use as an artificial planting medium. To achieve this, a determination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it's effect on plant growth were conducted by comparing those with large perlite grains and small grain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ulk density was 0.41g/㎤. This density was lower than that of field soil, but higher than that of large perlite grain(0.23g/㎤) and small grain(0.25g/㎤). The porosity, field capacity, and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were 71.3%, 49.2%, and 3.8$\times$10-2cm/s, respectively. The air-permeability, water holding capacity, and drainage were better than or equal to that both large and small perlite grain. 2) It was near-neutral in reaction(pH=6.6). It had a high organic carbon content(65.8g/kg) and a low available phosphoric acid content(84.7mg/kg). It was similar to crop soil in cation exchange capacity(11.4cmol/kg). It had a low exchangeable calcium content(0.71cmol/kg), a low exchangeable magnesium content(0.68cmol/kg), a high exchangeable potassium content(2.54cmol/kg), and a high exchangeable sodium content(1.12cmol/kg). Except for the exchangeable potassium and sodium content, the chemical properties were better than or equal to both large and small grain perlite. The excessive exchangeable potassium or sodium content will inhibit plant growth. 3) In Experiment 1, the plant growth tended to be higher compared to that of large and small perlite gains. But in Experiment 2, it tended to be lower. This might be linked to the excessive exchangeable potassium or sodium content. 4) It could be considered as a renewable perlite substitute for greening of artificial soil. But, it would be necessary to leach the excessive exchangeable potassium or sodium to avoid the risk of inhibiting plant growth.

밭토양(土壤)의 물리성(物理性)과 가리(加里) (Potassium Availability and Phys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s)

  • 유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89-201
    • /
    • 1977
  • 밭토표(土表)의 물리성(物理性)과 가리(加里)의 행동(行動), 가리함량(加里含量), 식물(植物)에 의(依)한 가리(加里)의 흡수(吸收)와의 관계(關係)를 논의(論議)하였으며 우리나라 밭 토양(土壤)에 대(對)한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의 함량(含量)을 중심(中心)으로 하여 토양유형(土壤類形), 지형(地形), 토성별(土性別)로 가리(加里)의 현황(現況)을 분석(分析) 검토(檢討)하였다. 토양(土壤)의 가리함량(加里含量)은 주(主)로 광물학적(鑛物學的) 조성(組成)에 의(依)하여 결정(決定)되며 식물(植物)에 대(對)한 가리(加里) 유효도(有效度)는 토양(土壤)의 유효가리함량(有效加里含量) 뿐만아니라 토양(土壤)에서의 이동성(移動性)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우리나라에서 토양(土壤)의 가리(加里) 유효도(有效度)는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 함량(含量)과 포장시험(圃場試驗)에 의(依)하여 평가(評價)되어 왔으나 가리비효(加里肥效)와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의 함량(含量)과의 관계는 토양유형(土壤類型), 지형토성(地形土性), 연도(年度)에 따라서 상이(相異)한 결과(結果)를 나타내었다.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의 함량(含量)은 유형(類型), 지형(地形), 토성(土性)에 관계(關係)없이 항상 A층, B층, C층의 순으로 낮다. 치환성(置換性) (Ca+Mg)에 대(對)한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의 비(比)가 토양(土壤)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 함량(含量)과 가리(加里) 포화도(飽和度)와의 관계(關係)는 일정(一定)치 않으나 대체(大體)로 표토(表土)의 가리포화도(加里飽和度)가 최대치(最大置)를 나타내었다. 가리비효(加里肥效)에 대(對)한 임계치(臨界値)를 치화성(置換性) 가리(加里) 함량(含量) 0.3me/100g, 가리포화도(加里飽和度) 5.0%라 할 때 이 임계치(臨界値)를 넘는 토양(土壤)은 대지(臺地), 산록경사지표토(山麓傾斜地表土)의 토양(土壤) 뿐이었다. 식양질(埴壤質), 식질(埴質), 보통전(普通田), 중점전(重粘田) A층의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 함량(含量)은 0.3me/100g 보다 높지만 가리포화도(加里飽和度)는 4.0% 또는 그 이하(以下)이었다. 사질토양(砂質土壤)의 A층의 염기(鹽基) 포화도(飽和度)는 5.0% 보다 높으나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의 함량(含量)은 0.19me/100g이었다. 저구릉지(低丘陵地), 구릉지(丘陵地), 미숙전(未熟田), 고원전(高原田)의 토양(土壤)은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 함량(含量)과 가리(加里) 포화도(飽和度)가 특(特)히 낮은 토양(土壤)들이다.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 함량(含量)이 가장 많은 분포(分布)를 보이는 것은 A, B, C층 모두 0.1~0.2me/100g이며, 0.3me/100g 이상(以上)되는 토양통(土壤統)은 A, B, C층에서 각각 27.3%, 11.1% 4%에 불과(不過)하였다. 가리(加里) 포화도(飽和度)가 가장 많은 분포(分布)를 나타내는 것은, A층에서 2.0~3.0% B, C층에서 1.0~2.0%의 범위에 있었으며, 가리(加里) 포화도(飽和度)가 5.0 이상(以上)되는 토양통(土壤統)은 A, B, C층에서 각각 18.0, 6.3, 4.1%에 불과(不過)하였다. 대지(臺地), 산록경사지(山麓傾斜地)에 분포(分布)된 토양(土壤)은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 함량(含量)과 가리(加里) 포화도(飽和度)가 높아서 가리비효(加里肥效)가 적고, 사질토양(砂質土壤)은 유효가리함량(有效加里含量)이 낮을 뿐만 아니라 유효수분함량(有效水分含量)이 낮아서 특(特)히 한발시(旱魃時) 가리비효(加里肥效)가 큰 토양(土壤)임을 지적하였다.

  • PDF

지역별(地域別) 산림토양(山林土壤)의 K(Potassium) 공급(供給) 특성(特性) (Potassium Supply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Forest Soils)

  • 진현오;김준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1호
    • /
    • pp.64-73
    • /
    • 2001
  • 토양 중에서 K은 수용성 K, 치환성 K, 유효태 K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각 형태별 K은 서로 동적인 평형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역별 산림토양을 대상으로 각 형태별 K의 존재양식, 상호관계 및 공급특성을 구명할 목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0.01N-HCl 연속추출법에 의한 유효태 K은 A층에서 포항지역(회갈색산림토양군), 장성지역(갈색산림토양군), 영월지역(암적색산림토양군)이 0.2~0.8me/100g, 태안지역(적황색산림토양군)이 0.1~0.6me/100g, 가평지역(갈색산림토양군)은 0.2~0.4me/100g 범위의 적산량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B층에서는 영월지역이 0.1~0.5me/100g, 포항, 태안, 가평지역이 0.1~0.4me/100g, 장성지역은 0.1~0.3me/100g 범위의 적산량을 나타내고 있었다. 2. 10회의 연속추출 중 A층에서는 포항, 장성, 영월지역이 2회째 추출에서, 가평, 태안지역이 3회째 추출에서 전체 유효태 K의 80% 이상이 방출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B층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2회째 추출에서 전체 유효태 K의 80% 이상이 방출되었다. 3. 치환성 K과 수용성 K과의 관계에 있어서 A층에서는 뚜렷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지 않았으나, B층에서는 수용성 K의 값이 일정한데 비하여 치환성 K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치환성 K과 유효태 K과의 관계에서는 A, B층 모두 치환성 K이 증가함에 따라 유효태 K이 지역에 따라 1.2~1.5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각 형태별 K의 분포율은 모든 지역에서 유효태 K의 양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은 치환성 K, 수용성 K의 순으로 나타났다. 5. 앞으로의 연구과제로서는 유효태 K과 임목의 생장과의 관계를 구명함과 동시에 실험에 소요되는 시간적 손실과 실험규모 등의 생력화를 목적으로 한 0.01N-HCl 연속추출법에 대체할 수 있는 간이추출법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Effects of Rice Straw Compost Application on Exchangeable Potassium in Long-term Fertilization Experiments of Paddy Soils

  • Kim, Myung-Sook;Park, Seong-Jin;Lee, Chang-Hoon;Ko, Byong-Gu;Yun, Sun-Ga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94-199
    • /
    • 2016
  • In an experiment conducted at the research field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ineral fertilizer and rice straw compost on exchangeable potassium and K balances, and rice grain yield under a rice single system. The treatments were no fertilization (No fert.), inorganic fertilization (N), inorganic fertilizer (N, P, K) plus rice straw compost at rates of 7.5, 15.0, 22.5, and $30.0ton\;ha^{-1}$ (NPKC7.5, NPKC15.0, NPKC22.5, and NPKC30.0, respectively). The inorganic fertilizers(N, P, K) were added with standard fertilizer application rate in which nitrogen (N), phosphate ($P_2O_5$), and potassium ($K_2O$) were applied with $75{\sim}150kg\;ha^{-1}$, $70{\sim}86kg\;ha^{-1}$, $75{\sim}86kg\;ha^{-1}$, respectively. Exchangeable potassium for NPKC15.0 NPKC22.5, and NPK30.0 treatments was higher by $0.05{\sim}0.19cmol_c\;kg^{-1}$ than that of NPKC7.5 treatment. Increasing levels of rice straw compost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K balance from - $19.9kg\;ha^{-1}yr^{-1}$ (No fert.) to $41.9kg\;ha^{-1}yr^{-1}$ at NPKC22.5 treatment and $62.9kg\;ha^{-1}$ at NPKC30.0 treatment. Continuous application of rice straw compost with NPK fertilizers affected significantly the rice grain yields. The result of the study imply that the application of more than $22.5ton\;ha^{-1}$ of rice straw compost with NPK fertilizers are recommended as the best fertilization practice for enhancement of crop production and K supplying power of soil in the continuous rice cropping system.

섬진강 하구 염습지 갈대군락의 생산성과 토양양분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s in the Productivity and Soil Nutrients of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in the Salt Marsh of the Sumjin-River Estuary)

  • Oh, Kyung-Hwan;Ihm, Byung-Suh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2호
    • /
    • pp.90-97
    • /
    • 1983
  • Seasonal changes of the soil nutrient contents and aboveground biomass, relationship between the soil nutrients and the productivity, and the net efficiencies of solar energy conversion were studied in two reeed communities (Phragmites communis Trin.) at the salt marsh in the estuary of the Sumjin-River from April 30 to October 9, 1981. The inorganic nutrients such as exchangeable sodium and potassium of soil were decreased during growing season. The amounts of organic matter, exchangeable sodium and potassium, total nitrogen, and available phosphorus in stand $\prod$ were much more than those of stand $\coprod$ . Productivity of Phragmites communi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oil nutrients such as available phosphorus, exchangeable potassium and total nitrogen. The maximum dry matter productions of the aboveground parts in stand $\prod$ stand $\coprod$ were $ 1, 120g/m^2; and; 843g/m^2$ in August, and the net coversion efficiencies of PhAR based on growing season (April to September) were 1.77% and 1.33%, respectively.

  • PDF

제주도(濟州道)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조림지(造林地)의 영양환경(營養環境)에 관(關)한 연구(硏究) III. 토양(土壤)의 K 공급력(供給力)과 지위(地位) (Nutrient Environments of Japanese Cedar(Cryptomeria japonica) Forests in Cheju Island III. Potassium Supplying Capacity in Soils of Different Site Quality)

  • 진현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30-235
    • /
    • 1993
  • 제주도(濟州道)에 분포(分布)하고 있는 18~30년생(年生) 삼나무 임분(林分)(11개소(個所))의 표층토(表層土)를 이용(利用)하여 각형웅별(各形熊別)(수용성(水溶性), 치환성(置換性), 비치환태(非置換態)) K의 공급력(供給力)과 임지생산력(林地生産力)과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해 수행(遂行)한 연구결과(硏究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0.01N-HCl 연속추출법(連續抽出法)에 의(依)한 지위별(地位別) 유효태(有效態) K적산량(積算量)은 지위(地位) 상(上), 지위(地位) 하(下)의 토양(土壤)에서 각각 0.6, 0.4me/100g 전후(前後)의 값을 나타냈다. 2. 0.01N-HCl 유하량(流下量) $6{\ell}$까지의 유효태(有效態) K 적산량(積算量)에 대(對)한 $1{\ell}$째의 K 추출량(抽出量)의 비율(比率)은 지위(地位) 상(上), 하(下) 모두 80%이상 추출(抽出)되어 화산회(火山灰) 토양(土壤)이 가지는 약(弱)한 K 흡착력(吸着力)의 특징(特徵)을 보였다. 3. 공시토양(供試土壤)의 대부분(大部分)이 지위(地位)에 관계(關係)없이 치환성(置換性) K과 수용성(水溶性) K에서는 같은 값을 보였으며, 치환성(置換性) K과 유효태(有效態) K 간(間)에는 지위(地位) 하(下)의 토양(土壤)에서는 같은 값을 보이고 있지만, 지위(地位) 상(上)의 토양(土壤)에서는 유효태(有效態) K가 치환성(置換性) K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어 토양(土壤)의 K 공급력(供給力)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4. 유효태(有效態) K과 치환성(置換性) Ca($0.83^{**}$) 및 치환성(置換性) Mg($0.84^{**}$) 간(間)에 모두 1% 수준(水準)의 높은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Long-term Variations of Chemical Properties in Controlled Horticultural Soils of Gyeongnam Province

  • Lee, Young-Han;Lee, Seong-Tae;Hong, Kang-Pyo;Lee, Sang-Dae;Kim, Je-Hong;Ok, Yong-Sik;Kim, Min-Keun;Kim, HyeRa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308-312
    • /
    • 2013
  • The monitoring of chemical dynamic changes in controlled horticultural lands is very important for agricultural sustainability. Field monitoring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of 200 controlled horticultural soil samples in Gyeongnam province every 4 years from 2000 to 2012. Soil chemical properties such as pH, amount of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ate, nitrate nitrogen, and exchangeable potassium, calcium, magnesium, and sodium were analyzed. The amount of exchangeable calcium and soil pH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2012 than in 2000. In 2012, the frequency distribution for values of pH,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ate, and exchangeable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that were within the optimum range was 16.0%, 22.5%, 11.5%, 3.5%, 2.5%, and 5.0%, respectively. Especially, available phosphate and exchangeable calcium were excess level with portions of 76.0% and 96.5%,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 balanced management of soil chemical properties can reduce the amount of fertilizer applied for sustainable agriculture in controlled horticultural lands.

토양(土壤)의 화학성(化學性)이 옥수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Field Survey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s Influenced on Corn Yield)

  • 신철우;김정제;허범량;윤정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3-178
    • /
    • 1984
  • 옥수수 수량(收量)과 토양(土壤)의 화학적특성(化學的特性)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검토(檢討)하여 옥수수 재배지토양(栽培地土壤)의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 개량(改良) 기준(基準)을 설정(設定)할 목적(目的)으로 16개(個) 옥수수 시범재배포장(示範栽培圃場)을 대상(對象)으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옥수수 수량(收量)과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서 $pH\;r=0.706^{**}$, $Av.\;P_2O_5\;r=0.675^{**}$, $Ex.\;K\;r=0.697^{**}$, $Ex.\;Ca\;r=0.763^{**}$, $Ex.\;Mg\;r=0.626^{**}$, $CEC\;r=0.803^{**}$, $Av\;SiO_2\;r=0.670^{**}$, $B.S\;r=0.729^{**}$로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으나 유기물(有機物) 및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과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옥수수에 대한 토양중(土壤中) 적정무잔성함량(適正無棧成含量)(1,000kg/10a생산기준(生産基準))은 pH5.6, Av $P_2O_5$, 327ppm, Ex. K0.39me/100g, Ex. Ca 5.5me/100g, Ex. Mg1.3me/100g, Ex. Al 0.44me/100g, CEC 11.5me/100g, Av. $SiO_2$, 116ppm. B.S 58%로 추정(准定)되었다. 3. 토양중(土壤中) 치환성(置換性)알루미늄함량(含量)은 옥수수 수량(收量)뿐만 아니라 토양산도(土壤酸度), 유효인산(有效燐酸), 치환성가리(置換性加理), 치환성석회함량(置換性石灰含量)과도 유의성(有意性)있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다.

  • PDF

논토양의 치환성(置換性)칼륨 함량(含量)과 다른 양(陽)이온에 대한 칼륨의 활동량비(活動量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xchangeable Potassium of Paddy Soil and it's Activity Ratio to Other Cations)

  • 오왕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77-83
    • /
    • 1981
  • 수도 생육(生育) 기간중(其間中)의 습토의 치환성(置換性)칼륨 함량(含量) 및 다른 양(陽)이온에 대한 칼륨의 활동량비(活動量比)를 밝히기 위하여 석회시용(石灰施用)과 가리(加里)의 분시효과를 시험하는 중형무저(中型無底) 폿재배(栽培)에서 습토 시료(試料)를 취(取)하여 분석(分析)하였다. 이 폿재배(栽培)는 서울산업대학농장에서 1974년 부터 계속되었으며 습토 시료(試料)는 1976년도(年度) 재배기간중(栽培其間中)에 채취(採取)되었다. 습토시료는 채취(採取) 직후(直後) $0.1N-AlCl_3$로 침출(浸出) 분석(分析)하였으며 얻어진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다. 1. 같은 양(量)의 가리(加里)를 시비(施肥)했어도 담수직후(湛水直後)에 시용(施用)했을 때는 석회구에서 치환성(置換性)칼륨이 적다. 그러나 담수(湛水)하고 약(約) 2주일(週日)이 경과한 후(後)에 가리(加里)를 시용(施用)했을 때는 석회구에서 오히려 치환성(置換性)칼륨이 많았다. 토양의 환원(還元)으로 생성(生成)된 $Fe^{{+}{+}}$가 pH의 변화로 인(因)하여 콜로이드 표면(表面)에 침점(沈点)되어 칼륨의 고정(固定)을 방해(防害)했거나 작물(作物)에 의(依)한 칼륨의 흡수제거(吸收除去)가 적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2. 수도의 생육(生育) 최성기(最盛期)에는 기비(基肥) 1차추비(次追肥)에 가리(加里)를 시용(施用)한 경우(境遇)에도 토양의 치환성(置換性)칼륨은 크게 줄어 들었다. 3. $\frac{K^+}{(Fe^{{+}{+}})^{\frac{1}{2}}}$ 활동량비(活動量比)는 환원(還元)이 충분(充分)히 진전(進展)되었다고 생각되는 7월(月) 16일(日) 이후(以後)에 크게 내려 갔다. 4. 7월(月) 16일(日)까지도 $\frac{K^+}{NH_4^+}$비(比)는 석회처리(石灰處理)에서 컸다. 높은 염담성으로 인(因)한 토양 환원(還元)의 약화(弱化)로 암모니아의 생성(生成)이 적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5. 토양이 충분(充分)히 환원(還元)되었다고 생각되는 시기(時期)에는 $Fe^{{+}{+}}$$Ca^{{+}{+}}$간(間)에 정(正)의 상관관계가 유지(維持)되나 $Fe^{{+}{+}}$$K^+$ 또는 $Fe^{{+}{+}}$$NH_4^+$간(間)에는 상관관계가 잘 유지(維持)되지 않는다. $NH_4^+$$K^+$는 작물(作物)에 잘 흡수(吸收)되는 등(等)의 이유(理由)로 토양중에 그 농도(濃渡)가 변화하기 때문인 것 같다.

  • PDF

주요(主要) 전작물(田作物)에 대(對)한 가리성분(加里成分)의 비교(肥效) (Response of Potassium on Main Upland Crops)

  • 류인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1-188
    • /
    • 1977
  • 전작물(田作物)에 대(對)한 가리비료(加里肥料)의 효과(效果)를 검토(檢討)하고 그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하였다. 1. 작물(作物)의 종류별(種類別) 가리(加里)의 10a당(當) 평균(平均) 시비적량(施肥適量)은 각각(各各) 목초(牧草) 32, 채소(菜蔬) 22.5, 과수(果樹) 17.3, 서류(薯類) 13.3, 화곡류(禾穀類) 6.5kg이다. 최근(最近) 경제성장(經濟成長)과 더부러 목초(牧草), 채소(菜蔬) 및 과수(果樹)의 재배면적(栽培面積)이 급격(急激)히 증가(增加)하고 있어 영후(令後)의 가리비료(加里肥料) 수요(需要)는 크게 증대(增大)될 것이다. 2. 주요(主要) 전작물(田作物)에 대(對)한 평균(平均) 적정가리(適正加里) 시비량(施肥量)은 보리 6.5, 밀 6.9, 콩 4.5, 옥수수 8.1, 감자 8.9, 고구마 17.7kg/10a이다. 가리성분(加里成分) 1kg/10a당(當) 평균(平均) 증수량(增收量)은 화곡류(禾穀類)에서 4~5kg이고 서류(薯類) 46kg로서 수익성(收益生)은 서류(薯類)에서 높다. 3. 전국(全國)의 치환성(置換性) 가리(加理) 함량(含量)의 분포(分布)는 해안지대(海岸地帶) 특(特)히 남해안(南海岸)에서 높고 내륙지대(內陸地帶)에서 낮으며 산악지대(山岳地帶)는 그 중간(中間)이다. 도별(道別)로는 제주(濟州)>전남(全南)>강원(江原)>경남(慶南)의 순(順)이고 경북도(慶北道)에서 가장 낮다. 대 맥(大 麥) : 4. 월동맥류(越冬麥類에) 대(對)한 가리(加里)의 비효(肥效) 및 적량(適量)은 l차적(次的)으로 기온(氣溫)의 영향(影響)을 받으며 토양인자(土壞因子)는 제(第)2차적(次的)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토양별(土壞別) 또는 토양검정(土壞檢定)에 따른 시비량(施肥量) 결정기준(決定基準)은 기존지대별(氣候地帶別)로 설정(設定)함이 합리적(合理的)일 것이다. 5. 고온(高溫)에서는 토양(土壞) 중(中)의 가리(加里)의 방출(放出)이 촉진(促進)되어 가리(加里)에서 시용효과(施用效果)와 시비적량(施肥適量)이 남부(南部)에서 적고 저온인 북부(北部)에서 높으나 시비(施肥) 인산(燐酸)은 고온에서 고정(固定)이 촉진(促進)되어 남부(南部)에서 시비적량(施肥適量)이 많으며 질소(窒素)는 온도요인(溫度要因)보다는 강수량(降水量)의 영향이 커서 강수량(降水量)이 많은 남부(南部)에서 시비적량(施肥適量)이 극히 높은 것으로 풀이되었다. 6. 도별(道別) 평균(平均) 가리비효(加里肥效)는 남부(南部)로 갈수록 떨어지는 경향(傾向)을 보였고 경북(慶北)만이 예외적(例外的)으로 높다. 경북(慶北)은 치환성(置換性) 가리함량(加里含量)이 가장 낮을 뿐 아니라 산간지역(山間地域)의 저온권 전작지대(田作地帶)가 많은 것이 원인(原因)인 것 같다. 7. 가리(加里)의 비효(肥效)와 시비적량(施肥適量)은 연차별(年次別) 변이(變異)가 크다. 가리(加里)의 비효(肥效)는 저온의 해에 컸고(평년(平年)의 2~3배(倍)) 조해(早害)와 습해(濕害)가 있었던 해에는 적었으며 시비적량(施肥適量)은 저온으로 동해(凍害)가 있었던 해보다는 조해(早害)와 습해(濕害)가 있었던 해에서 더욱 많다. 8. 모암별(母岩別)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 함량(含量)은 결정편암(結晶片岩)>화강암(花崗岩)>수성암(水成岩)>현무암(玄武岩)의 순(順)이나 가리(加里)의 비효(肥效)는 이와 반대(反對)의 순(順)이어서 모암별(母岩別) 가리(加里) 함량(含量)과 비효간(肥效間)에는 뚜렷한 역상관(逆相關)이 있다. 9. 모재별(母材別)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 함량(含量)은 충적토(沖積土)>잔적토(殘積土)>홍적토(洪積土)>곡간충적토이며 가리비효(加里肥效)는 곡간충적토에서 만이 현저히 클 뿐 그 외(外)의 모재간(母材間)에 는 분명(分明)한 차이(差異)가 없다. 10. 가리(加里)의 비효(肥效)와 적량(積量)은 토성(土性) 차이(差異)에 의(依)하여 크게 달라서 가리비효(加里肥效)는 사질(砂質)쪽에서 높고 가리적량(加里適量)은 식질(埴質) 쪽에서 높다. 특(特)히 사질(砂質)인 양토(壤土)와 사양토(砂壤土)에서는 적량(適量)을 초과(超過) 시비(施肥)했을 때 감수(減收)가 크다. 11. 가리시용(加里施用)에 의(依)해서 평균적(平均的)으로 출수일(出穗日)이 1.7일(日) 지연되고 간장(稈長)은 4.4cm가 증대(增大)되며 주당수수(株當穗數)(0.3)와 1,000립중(粒重) 및 저엽비율(租葉比率)이 증대(增大)된다. 콩 : 12. 콩의 가리비효(加里肥效)는 곡류작물(穀物作物) 중(中)에서 가장 적으나 신개간지(新開墾地)에서는 가리(加里) 8kg/10a 시용(施用)으로 자실중(子實重)이 28kg/10a까지 증수(增收)된다. 13. 모암별(母岩別) 가리비효(加里肥效)는 현무암(玄武岩)제주(濟州)>수성암(水成岩)>화강암(花崗岩) 및 석회암(石灰巖)의 순(順)이며 연차별(年次別) 변이폭(慶異幅)도 크다. 옥수수 : 14. 치환성(置換性) 가리함량(加里含量)이 많은 토양(土壞)에서는 옥수수의 가리비효(加里肥效)는 떨어지나 절대수량(絶對收量)이 높기 때문에 오히려 가리(加里)의 시비적량(施肥適量)은 가리함량(加里含量)이 높은 경우에 높다. 15. 옥수수에 대(對)한 가리비효(加里肥效)는 인산(燐酸)의 시비수준(施肥水準)과 교호작용(交互作用)이 인정(認定)되어 인산(燐酸)의 적량(適量) 시용하(施用下)에서 가리(加里)의 비효(肥效)도 크고 적량(適量)도 높다. 서 류(薯類) : 16. 감자는 가리(加里)보다도 질소(窒素)의 요구량(要求量)이 더 많으며 이 때문에 감자가 스스로 토양가리(土壤加里)의 흡수능력(吸收能力)이 큰 것 같다. 17. 감자의 수량(收量)은 식양토(埴壤土) 보다는 사양토(砂壤土)에서 높고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 함량(含量)이 높을수록 높다. 그러나 가리(加里)의 비효(肥效)는 사질토(砂質土)보다는 식양토(埴壤土)에서 높고 전토양(田土壤)보다는 답토양(畓土壤)과 같은 불량환경(不良環境) 조건(條件)에서 더욱 크다. 18. 고구마에서는 질소(窒素)와 인산(燐酸)의 요구량(要求量)은 비교적 낮고 흡비력(吸肥力)이 강(强)하여 불량토양(不良土壤)에서도 상당히 높은 수량(收量)을 얻을수 있으나 가리(加里)의 시비적량(施肥適量)과 시비효과(施肥效果)가 매우 크다는 것이 특징(特徵)이다. 19. 고구마에 대(對)한 가리(加里)의 시비효과(施肥效果)는 토성별(土性別)로 차이(差異)가 크며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 함량(含量)이 낮은 사질토(砂質土)에서도 충분량(充分量)의 가리(加里)를 시용(施用)했을 때는 비효(肥效)가 크게 나타나 수량(收量)이 토양(壤土) 및 식양토(埴壤土)에 비하여 높아진다. 20. 신개간지(新開墾地)와 같이 척박한 토양(壤土)에서도 충분량(充分量)의 가리(加里)를 시용(施用)했을 때는 숙전(熟田)과 대등(對等)한 수량(收量)을 올릴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