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ergreen ground cover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6초

서울시내 동절기 상록성 지피식물식재 현황에 관한 조사연구 (Studies on the Present Status of Evergreen Ground-Cover Plants in Winter of Seoul)

  • 이정석;방광자;곽병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5
    • /
    • 1991
  • The current status of evergreen ground-cover plants as of in the winter months in 50 places selected at random in Seoul was assessed to see how they are at the present, and the following matters of evergreen ground-cover plants were observed to be common aspect of them today during the year of 1989 and 1990 and in winter of Seoul. 1. Ground-cover area in 50 different places of Seoul was 36% of the green area, and the evergreen ground-cover area was 3% of total ground-cover area. As the result, most of ground cover plants founded to be zoysia grasses. 2. Total number of evergreen ground-cover plants species was 24, and the species most frequently found were Juniperus chinensis and horizontalis, Buxus koreana, Liriope platyphylla var. nana. Taxus cuspidats, Rhododendron lateritium, Pleioblastus pygmaea, Poa pratensis in that order of the number of plasces assessed, and sere Poa pratensis, Agrostis tennuis, Liriope platyphylla, Buxus koreana, Juniperus chinensis and horizontalis, Taxus cuspidata. var. nana, Rhododendron lateritium in the order of area planted. 3. Woody plants included 9 species and occupied 16% in the area, also introduced plants included 14 species and occupied 79% in the area. As introduced evergreen grasses occupied, almost of evergreen ground-cover herbs, planting of evergreen ground-cover herbs and native plants are thought to be desirable. 4. Flowering plants of 16 species were found to be 16% of the total evergreen ground-cover area. 5. The ratio of topographical difference, such as plain versus slope for planting site, was 82 and 18% respectively, and sunny versus shady and intermediate places were 72, 15 and 13% respectively. 6. Although appearance of plants was generally fair, poor and drying plants were assessed 33% for the number of places planted, and 11% for the area. It seems to be necessary to manage those plants to their growth characteristics, and desiable to introduce various plant species adaptable to the winter climate of Seoul and grow for the winter landscaping purpose. 7. The poor use and lack of evergreen ground-cover plants are regarded to be deficient in the valus and reconization of them, particularly in the landscaping works. It is therefore considered important to bring out pertinent measures against these inadequate situations.

  • PDF

중부지방 상록지피식물의 조경적 이용 -광이 월동중의 엽색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Utilization of Evergreen Ground Covers in Central Region of Korea as Landscape Materials -Focusing on the Changes in Leaf Color Related with Light during Winter-)

  • 남유경;김명회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2호
    • /
    • pp.1-7
    • /
    • 2011
  • 본 연구는 중부지방에서 동절기간에 적용 가능한 상록지피식물의 이용을 확대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광조건에서의 생장변화를 조사하였다. Nandina domestica는 동절기 동안 광조건에 관계없이 음지에서 높은 엽록소값을 나타냈다. 이후 4월에는 서울의 반포지역에서 엽록소 값이 광조건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북풍에 노출되어 있는 과천지역에서는 양지에서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잎이 모두 낙엽 되었다. Ophiopogon japonicus는 지역에 관계없이 2월에 양지보다 음지에서 엽록소값이 두 배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L과 b값도 조사기간 동안 음지조건에서 높게 나타났다. 4월에는 반포지역에서 광조건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과천지역에서는 양지에서 동절기 동안 엽색이 탈색되었다. Pachysandra terminalis는 조사지역과 기간에 관계없이 음지조건에서 엽록소값과 L, b값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중부지방에서 상록지피식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음지조건의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차광처리가 상록지피식물의 내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Light Conditions on Wintering in Evergreen Ground Covers)

  • 김명회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6호
    • /
    • pp.61-67
    • /
    • 2010
  • 중부지방에서 동절기에 월동가능한 상록지피식물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Ajuga reptans와 Carex morrowii 'Variegata', Dianthus 'Night Star', Hedera helix 'Ivalace', Pachysandra terminalis, Sedum rupestre 등 총 6종의 실험재료를 대상으로 0, 30, 70%의 차광처리에 따른 내한성 증진실험을 실시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40% 이하의 생존율을 나타낸 Dianthus 'Night Star'를 제외하고는 차광처리에 관계없이 Ajuga reptans와 Carex morrowii 'Variegata', Sedum rupestre은 50% 이상의 생존율과 상록의 잎을 유지했다. 그러나 Hedera helix 'Ivalace'와 Pachysandra terminalis는 0% 조건에서 전부 고사하였으나 70% 광조건에서는 4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따라서 일부 내한성이 떨어지는 상록지피종들도 광조건의 조절에 따라서 상록의 잎을 유지하면서 월동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부지방 상록지피용 기린초 속의 조경용 소재 선발 (A Selection of Korean Native Sedum spp. for Evergreen Ground Covers of the Central Districts of Korea)

  • 이선아;하유미;한인송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90-97
    • /
    • 2009
  • 한국 자생 돌나물속 중 섬기린초는 상록성 식물로 중부 지방에서 겨울에 노지에서도 월동이 되므로 조경용 소재로 사용이 가능하였다. 섬기린초를 조경용 소재로 이용하기 위해 적심에 따른 생장특성을 조사하였다. 섬기린초의 적심작업에 따라 초장은 더욱 짧아져 조경용 지피식물로 사용하기 용이했으며, 신초지의 숫자는 늘어나는 경향이 나타났다. 2004년과 2005년에 실시한 연구에서 30% 적심처리를 한 섬기린초 처리구의 신초는 60% 적심처리를 한 처리구보다 초장은 더욱 길고 생장이 활발하였다. 노지에서 차광처리를 하지 않은 무처리구보다 70%의 차광처리를 한 섬기린초 처리구의 잎의 색은 진녹색이었고, 길이는 길어지고 신초의 수는 적게 되었다. 그러므로 기린초 종류 중 한국 자생식물인 섬기린초는 70%의 광을 차단하는 장소에도 식재 가능하며, 경기도 수원 지방에서 실험 결과, 내한성이 강한 편으로 중부지방에서도 상록성 조경 지피식물 소재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난대 기후대의 상록활엽수림 복원 모니터링(I) (Monitoring Restor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I))

  • 오구균;김보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79-289
    • /
    • 1998
  •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 변화를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완도수목원에 20개의 고정시험구를 1996년에 설치했다. 20개의 고정시험구는 10개의 시험구와 대조구로 구분했으며, 시험구는 적정밀도로 택벌한 후 상록활엽수를 식재했다. 시험처리전 20개 고정시험구의 식생구조는 붉가시나무, 붉가시나무와 개서어나무, 소나무 등이 우점하였고, 소나무군락과 낙엽활엽수군락에서 붉가시나무군락으로 천이되는 식생구조를 나타냈다. 시험처리시험구는 붉가시나무와 소나무가 우점하는 식생구조로 바뀌었고, 관목층과 지피층의 출현종수, 개체수, 피도 등이 증가하였다.

  • PDF

강원도 지역에서의 상록지피식물의 조경적 이용에 관한 기초적 연구(I) -증식, 내음성, 내한성, 생육량의 차이에 관하여 (Fundamental Studies on the Landscape Use of Evergreen Ground Cover Plants in KANG WON Area -Propagation, Shade Tolerance, Cold Resistance, and Growth Rate)

  • 홍종운;이기철;허범람;원경렬;임병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30
    • /
    • 1993
  •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propagation, shade tolerance, cold resistance and growth rate of evergreen ground cover plants ; Vinca minor K , Ajuga reptans L., Ophiopogon japonicus ker. f nanus hort , and Hedera helix..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It is convenient to use the growing case for rice seed to grow and transplant Vinca minor seed-ling. The most proper density of transplanting Vinea was 180 plants per 1m$^2$. At the end of growing season, the coverage came up to 90% The rooting ability of Hedera helix was best to cut from April to May (temperature 15~23˚C). The seedling length of Parthenocissus quinguefohlia were irregular and ranged from 5 cm of 200cm. 2. Ajuga reptans L., Ophiopogon j. and Vinca minor L. grew better under 50% light intensity than full sunlight. Particularly, under full sunlight and aestival high temperature, there were a few withering plants in Ajuga reptans L. , and V Vilica minor L. 3. Of Vinca minor K., Ajuga reptans L. , Ophiopogon japonicus ker. f. nanus hort. and Hedera helix. acclimatized in open field, where temperature was from -7~8˚C. There were few plants had damage in low temperature incubator to -16˚C after field acclimatization. 4.Tendrils of Parthenocissus quinguefolia strongly clung to the wire netting stone fence but intruded into the gap and cranny of the precast concrete fence and so clung to, so that it needed to install the bending net on the precast concrete fence.

  • PDF

강원도지역의 토양동결심 및 상록식물의 함수량 추이에 관한연구 (1) (Studies on the soil freezing depth and change of moisture contents in evergreen plants upon subzero temperature in)

  • 홍종운;허범양;원경열;임병춘;이기철;하상건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2-48
    • /
    • 1990
  •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oil freezing depth and pattern with freezing measuring instruments during 1988-l989 winter season in Kangwon province. Freezing measuring instrument was made with acrylic pipes which were consisted of inner and outer parts. Inner pipe was filled with 0.01 % methylene blue solution and rubber hose to protect pipe breakdown by solution freezing. Freezing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by observing discoloration of methylene blue solution. Moisture content of evergreen trees and ground cover plants was also examined in the winter season. The observed results are as follows: 1.In the land of I OOM above sea level, soil freezing depth became deeper as the sum of Accumulated degree-days of temperature below 0˚C(0˚C . day) increased: Soil freezing depth was 30-40cm at l00˚C, 42-43cm at 150˚C, and 47cm at 200˚C day 2.Soil freezing with vinyl mulching was less developed by l3cm at l00˚C with sum of subzero temperature, by l7cm at 200˚C than that of the bare ground. Soil of rich hulls mulching with 4Ocm was not frozen until soil freezing at the bare ground was developed to 25cm depth. 3.Cashmeron mulching was more effective than felt mulching in the heat insulation of soil. 4.Thawing of soil was done from the lowest part of the frozen in the ground to upward in the beginning and after that it was done from the surface of frozen soil to downward. Finally thawing was completed at the middle of frozen soil.

  • PDF

Comparisons of microhabitat use of Schlegel's Japanese gecko (Gekko japonicus) among three populations and four land cover types

  • Kim, Dae-In;Choi, Woo-Jin;Park, Il-Kook;Kim, Jong-Sun;Kim, Il-Hun;Park, Daesi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4호
    • /
    • pp.198-204
    • /
    • 2018
  • Background: The effective use of habitats is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adaptation of a species to the local environment. Although habitats exhibit a hierarchical structure, including macro-, meso-, and microhabitats, the relationships among habitats of differing hierarchy have not been well studied.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quantitative measures of microhabitat use of Gekko japonicus from three field populations in Japan: one at Tsushima Island, one at Nishi Park, Fukuoka, and one at Ohori Park, Fukuoka. We investigated whether land cover type, a higher hierarchical habitat component, was associated with quantitative microhabitat use, a lower hierarchical component, in these populations. Results: The substrate temperature where we located geckos (SubT) and the distance from the ground to the gecko (Heigh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populations. In particular, SubT on Tsushima Island was lower than it was in the other two populations. Irradiance at gecko location and Heigh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land cover types. In particular, Height in evergreen needleleaf fores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deciduous broadleaf forest. Furthermo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population and land cover type were observed for the SubT and Height variables. Conclusions: The quantitative measures of microhabitat use of G. japonicus varied with population and land cover type, which exhibit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n microhabitat use variab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er hierarchical habitat components can affect the quantitative measures of lower hierarchical microhabitat use in nocturnal geckos.

극궤도 기상위성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의 지면피복 분류 (Classification of Land Cover over the Korean Peninsula Using Polar Orbiting Meteorological Satellite Data)

  • 서명석;곽종흠;김희수;김맹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8-146
    • /
    • 2001
  • 이 연구에서는 극궤도 기상위성인 NOAA/AVHRR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의 지면 피복을 분류하였다. 일주기 기상위성자료로부터 구름이 없는 상태의 지면상태 자료를 획득하기 위하여 10일 간격 최대치 합성법 자료를 작성하였으며 27개의 10일주기 식생지수 자료들(겨울철 12, 1, 2월 자료 9개 제외)로부터 4개의 식생 계절성 자료를 작성하였다. 또한 위성자료로부터 분석한 연 최고 및 연평균 지면온도, 그리고 지형고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각 지면 피복에 대한 특성 자료 수집이 어렵기 때문에 여기서는 2단계 무감독 분류법을 이용하였다. 즉, 초기 입력자료는 신경망 기법의 일종인 SOFM을 이용하여 군집화한 다음 결정나무를 이용하여 각 군집을 분류하였다. 최종 분류 결과는 식생지수의 시계열과 지상 자료로 검증한 결과 대도시, 농지, 낙엽수림 및 상록수림 등 우리 나라의 지면 피복을 개략적으로 잘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연구 (A Study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Dongbaekdongsan(Mt.) in Jeju-do, Korea)

  • 곽정인;이경재;한봉호;송지호;장종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41-25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동백동산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m{\times}20m$ 조사구 20개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과 DCA ordination, 평균상대우점치를 분석한 결과 종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감탕나무(동백나무)군집, 종가시나무-구실잣밤나무-동백나무군집, 종가시나무-동백나무군집, 종가시나무-동백나무-곰솔군집, 곰솔-종가시나무군집 등 총 5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동백동산 암괴기반에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림 지역은 교목층에서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우점하고 하층에 동백나무가 우점하는 식생구조이었고 일정 토심을 유지하는 지역은 교목층에서 곰솔이 우점하였다. 곰솔군집은 동백동산이 제주도기념물로 지정되기 이전 훼손된 지역 중 일부 토심이 유지되는 지역에 식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동백동산은 구실잣밤나무와 종가시나무가 우점하는 식생과 곰솔이 우점하는 식생 모두 향후 종가시나무-동백나무 군집으로의 천이가 예상되었다. Shannon의 종다양도지수는 상록활엽수군집에서는 1.0268~1.0717이었고 곰솔군집이 1.2102로 가장 높았다. 상록활엽수 10종의 상재도가 80% 이상이었으나 향후 교목층을 형성할 수 있는 구실잣밤나무와 생달나무는 출현빈도와 우점도가 낮았다. 고령의 동백나무가 모든 조사구에서 출현했는데 과거 숲이 훼손될 시에도 신성시 여겨져 보호되어 왔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동백동산은 기존의 제주도 상록활엽수림과는 다른 식생구조를 보여 천이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태이었고 과거 훼손 영향으로 다른 상록활엽수림과 다른 식생구조와 천이경향을 일부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동백동산은 지속적 관찰이 요구되며, 식생이 안정될 수 있는 기간이 흐른 뒤에 천이방향과 군집특성을 규명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