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cuation Regulation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5초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피난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cuation Planning in the Multiplex Cinema)

  • 소은탁;송병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47-155
    • /
    • 2005
  • As multiplex theaters are increasing rapidly in number, concerns over the evacuation process in case of fire emergency are also increasing. The study investigates the users' awareness and recognition of evacuation route by the method of questionnaire, and analyzes the users' behavior in choosing the route by the simulation program called Simulex. Among others, findings indicate a vast majority of the users are unaware of the proper route in the emergency, yet anticipate to evacuate by it, instead of the entry/exit route that they are familiar with. This aspect, however, can be useful to provide the proper route of evacuation for the users, if an appropriate information is given that the entry/exit route is also used as an emergency egress. The simulation shows heavy congestion at the closer evacuation route from the exit, and distinctly less traffic at the farther means of egress. Based on this natural phenomenon, it is suggested that the emergency stair should be nearby and aligned with the exit from auditorium. Although the present building regulation only requires a minimum dimension at each route, there is a need to widen the passageway that is likely to be recognized easily and subsequently overcrowded in case of fire emergency.

초고층 피난안전설계 기준 개선을 위한 국내외 피난관계법령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High-rise building Egress Safety Rule in Countries for improvement of High-rise evacuation safety design criteria)

  • Hwang, EunKyung;Park, SuRoh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429-43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피난안전설계 기준 개선을 위하여 국내외 피난관계법령에 대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국내 피난관계법령기준 개선사항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 수용인원에 대한 피난용량을 산정하도록 하며, 2이상의 출구 요구시 1개 출구접근 불가할 경우에도 피난용량의 50%이상을 충족하도록 해야 한다. 두 번째, 계단 또는 출구간 이격거리 기준 규정을 통해 이방향 피난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세 번째, 막다른 복도 및 통로에 대한 길이제한을 규정해야하며 이는 스프링클러 유무에 따라서도 제한의 차등을 두어야 한다. 네 번째, 피난안전구역과 엘리베이터 및 계단의 경우 안전한 피난경로를 확보하며 피난유도를 하여야 하며, 피난층 이외의 층에서도 수평방향의 피난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별도의 피난안전구역 마련이 필요하다.

건축물 피난규정간 문제점 분석을 통한 법령 개선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A Suggestions for Building Regul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Problems among the Building Evacuation Laws)

  • 황은경;김대희;조정훈;황금숙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05-114
    • /
    • 2007
  • 최근 건축물이 대형화, 고층화, 복합화됨에 따라 재난사고에 대한 재실자의 인명안전과 재산보호를 위해 건축물 피난설계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기술적 기준에 의한 사양적 관련법령 규정이나 건축주나 건설설계자 등 관계자의 인식부족 등으로 인해 화재시 재실자의 피난에 대한 고려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국내의 피난관련 규정이 건축법과 소방법으로 양분화되어 있어 지속적인 법 개정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법과 소방법간의 피난관련 규정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향후 건축물 피난관련 법령의 개정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노인요양시설 피난계획 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form of the Evacuation Planning in the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 김윤정;김석준;윤명오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3-22
    • /
    • 2009
  • The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has a weak point for evacuation from the fire because most of all the users are suffering from a dementia or paralysis. When it comes to night shift, it is much difficult to get them evacuated due to the lack of staffs. In addition to that, the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has such a strict control system for access that does not have a utility for escape opening. That is why they need the differentiated evacuation planning.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oint at issues on the present conditions of law, system, and evacuation plans for the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that has some difficulties because of impaired functions of residences. This study dealt with the point at facilities and operations of the emergency evacuation system. First of all, for the point at the facilities, I found that it need to be consider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ho has any difficulties of the self evacuation. And the established regulation did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losed area of the nursing home for the elderly. The second, for the point at the operation of the institutions, it is pointed that there seems to be a lack of ways to manage to a emergency situation and educations on the operation staff. And the last, for the point at the operation, the requirement for the managers of fire prevention facilities are similar to that of a normal building. Furthermore there is a lack of corporation with the fire station.

  • PDF

고층 공동주택의 피난특성 및 관련 법규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cuation Character and Regulation for High-rise Apartment Buildings in Korea)

  • 이용재;이범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3-21
    • /
    • 2000
  • 공동주택이 등장한 이래 지속적으로 고층화하고 있다. 한편 고층 공동주택의 화재위험성 및 화재로 인한 피해의 규모는 더욱 증대되고 있으며 많은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안전을 위한 현재의 방법론과 법규정은 최소한의 규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층 공동주택에서의 화재시 피난 특성을 분석하고, 한국 미국 일본의 피난관련 법규정의 분석을 통해 그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결과적으로 화재로 인한 예측되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법규정 및 실질적인 피난안전성능에 관한 검토가 필요하다.

  • PDF

민방위 대피시설 계획 및 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3 - 군사위협에 따른 고려 요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ning of Civil Defense Shelter and Design 3 - Focusing on Considerations Related to Military Threat -)

  • Park, Namkwu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97-106
    • /
    • 2015
  • 현재 한국은 북한이 보유한 재래식무기, 핵무기, 화생방무기 등의 다양한 공격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공격들에 의해 국민들에게 발생 될 피해는 추정만 가능하고 정확한 예측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북한의 군사위협에 정부지원 대피시설은 대상, 설치범위, 예산, 표준도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일괄적으로 사업이 진행되나, 공공용 대피시설의 경우는 특별한 규정이나 원칙 등이 없이 다양한 시설을 대상으로 지정하기 때문에 군사위협에 대한 방호는 전혀 기대할 수가 없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군사위협에 대하여 파악하여 공공용 대피시설의 계획 및 설계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 및 제안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고층 아파트 피난설계기준 비교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 연구 (A Study on Identifying Problems b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High-Rise Apartment Evacuation Design Codes)

  • 황은경;서동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6호
    • /
    • pp.47-52
    • /
    • 2017
  • 최근 영국 그린펠타워 화재사건으로 인해 범정부차원에서 고층 건축물 화재안전대책이 다각적으로 모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피난기준을 도입하기 이전에 각 개별법령에 산재되어 있는 고층 아파트 피난기준 비교분석을 통하여 현행 피난기준의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고층건축물 피난기준 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고층건축물 피난관련기준은 크게 건축법, 주택법, 초고층 재난관리법, 소방 시설법 등이 있었으며, 이외에도 지방자치단체에서 별도 자체 기준을 마련하여 운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주요 피난기준을 비교분석한 결과 각 개별법령 관련 기준 상이, 법령규정이외 추가기준 운용, 피난기준의 실효성 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이들 대부분은 단일 건축물에 여러 가지 기준 적용시 나타나는 문제로, 향후 관련 기준 개선을 위해서는 관련 부처간 협의가 매우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