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upseong(Town-castl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임진왜란이후 밀양도호부 읍성의 공간구조 변화 (Change of Miryang-Dohobu Eupseong(Town-castle)'s Spatial Structure Sinc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 권순강;이호열
    • 건축역사연구
    • /
    • 제22권2호
    • /
    • pp.43-54
    • /
    • 2013
  • Compared to Early Chosun Dynasty, the spatial structure of most local Eupseongs of Korea had a standardized change with the expansion and spread of the Rye-hak(禮學:a study of confucius Rite). Meanwhile in the process of rebuilding Eupseongs there was a tendency of reloc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offices(官衙) and its attached facilities in terms of functions and use. Although it was PyeongSanseong Miryang Eupseong had an unreasonable spatial structure locating Gaeksa(客舍; accommodation house for visitors) in the middle of the local government office complex, and Dongheon(東軒;main office building) in the east of it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owever with the reorganization of spatial Structure of local Eupseong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Gaeksa was moved to the foot of Adongsan where commanded a fine view of river. Dongheon was moved to the center of Eupseong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its auxiliary organizations. It was because road system and administrative efficiency had a serious effect on deciding the loc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office and its attached facilitie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Hyangchoeng(鄕廳), having been out of Eupseong, also was moved to the independent location within Eupseong separate from Dongheon and Gaeksa. It seemed to take into account the autonomy of Hyangchoeng. Dongheon, Gaeksa, and Hyangchoeng which are the crucial facilities of Milyang Eupseong were arranged at each angular point of big triangle. In order to enhance the administative efficiency, the attached administrative facilities were arranged surrounding Dongheon and Hyangchoeng. The spatial structure of Milyang Eupseong in the late Choseon dynasty was of great difference from that of uniformly organized system of early Choseon Period. It was because the development of administrative function, the pursuit of efficiency, and commercial progress had a great impact on the change of urban space.

영암읍성(靈巖邑城) 소고(小考) (A Study on the Yeongam Eupseong (Town Fortress))

  • 김영필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5호
    • /
    • pp.47-61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and change of building Yeongam eupseong and characteristics and construction method of its spatial stru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eongam eupseong was built for the same purpose of national border defense against the invasion of Japanese army as other Eupseongs were built and it was found first in the literature in the era of King Munjong of Joseon Dynasty with the scale of three gates and 4,369 cheok of castle wall. Such a scale was continued and in particular, according to flat structure, road network and gate position shown in the map, the form and road system of Yeongam eupseong before the 19th century were mostly identical with the current ones. Second, castle wall was built over foundation by using talcum after leveling the foundation soil and castle wall can be divided into outer wall, filling part and inner wall from the section. Outer wall was constructed by inserting and layering pebbles with big irregular stone, filling part was made with talcum and riprap and inner wall with soil in several layers by keeping gradient. This building method showed common features in inserting and layering pebbles for outer wall, use of protruded base and section form compared to Jeollado Eupseong.

조선시대 결성읍성(結城邑城) 연구 (A Study on Gyeolseong-Eupseong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 김회정;이정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6호
    • /
    • pp.7-22
    • /
    • 2010
  • This study includes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and data on the Gyeolseong Eupseong, a coastal castle town of the Joseon Period. During the process of building the Gyeolseong Eupseong, Eupchi(administrative office) was transferred to several different locations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o strengthen defensive capabilities by utilizing the locational advantages of the Seokdang Mountain Fortress, second, to secure sufficient space for holding the castle and have access to water in times of emergencies, third, to strengthen coastal defence by utilizing geographical advantages. Most of the Gyeolseong Eupseong was damag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t present, there remain only part of the castle's facilities and some facilities that were restored later in modern times; 4 building sites have been identified. Remaining and destructed buildings can be identified through old maps(the local maps of 1872) and Zirizi and Eupzi(geography books). Also identified were 2 castle gate sites where a 1,500m-long stone castle wall and an ongseong(a crescent-shaped defensive structure), 5 chiseongs, and a most were constructed. The Gyeolseong area is assumed to have been a strategic foothold to defend the west coast from the days before the Three Kingdom Period.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ny records created before the Joseon Period. Therefore, the time of the restoration of the Eupchi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records created in the late Joseon Period. Finally, excavation work needs to be done to identify the locations of the castle's facilities.

조선시대 제주읍성 관덕정 광장의 성격 (The Characteristics of Gwandeokjeong Plaza, Jeju-eupseong, in the Joseon Dynasty)

  • 김태곤;홍승재
    • 건축역사연구
    • /
    • 제30권5호
    • /
    • pp.43-52
    • /
    • 2021
  • This study examines the spatial structure of Jeju-eupseong (Town-castle) in the Joseon Dynasty. The spatial structure of Jeju-eupseong has distinctive featur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at are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typical eupseong in inland regions. This is mainly attributed to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island and the administrative system with strengthened military functions. Jeju-eupseong displays a distinctive layout of major buildings and road system with a plaza located in its center in comparison with the ones found in inland regions. Gwandeokjeong Plaza in Jeju-eupseong served as the center of Jeju's politics, administration, and culture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it, in the modernization period, has become an open public space in the heart of Old Downtown used for community gathering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distinctive spatial structure of Jeju-eupseong in comparison with eupseong in other parts of Korea. Moreover, the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Gwandeokjeong as a plaza that has not been dealt with in other studies of eupseong.

20세기 초 철도부설과 읍성해체에 따른 도시공간구조와 주변 필지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Urban Spatial Structure and Transformation of circumjacent Lot by Course of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and the Dismantlement of Eupseong in the Early 20th Century)

  • 김대중;조재모
    • 건축역사연구
    • /
    • 제28권2호
    • /
    • pp.31-40
    • /
    • 2019
  •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the existing urban system centered on urban areas began to change, the biggest factors causing urban structural changes in urban areas are construction of railroad and urban dismantling. The change process of Eupseong, in the microscopic viewpoint, can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change in the course of dismantlement of town's demarcation,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and urban expansion due to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process of urban expansion following the crumbling boundaries and structural changes. This study aimed to look at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Eupseong in the early 20th century, focusing on the demolition of the castle and the railway construction from a microscopic point of view of city.

내포지역 읍성 원형과 읍치경관의 근대적 변형 -읍성취락의 사회공간적 재편과 근대화 - (Original Form of Castle Town and Modern Transformation of Eupchi(county seat) Landscape in Naepo Area, Korea)

  • 전종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21-343
    • /
    • 2004
  • 이 글은 내포지역의 읍성 연구를 사례로 음성취락의 사회공간적 재편과 근대화에 접근한 것이다. 한반도의 서 남해안 일대는 방어상의 이유와 넓은 하안 충적평야, 해안 저지대의 농경제적 가치 때문에 다른 지역에 비해 우선적으로 읍성 축조가 이루어졌다. 내포지역은 그러한 대표적인 공간이다. 내포지역의 읍치경관 원형은 방위와 길흉의 연관성에 대한 전통적 관념이나 권력의 자연화 전략을 반영하며 일정한 원칙 하에 조형되면서도 국지적 단위의 시 공간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조선시대동안 초기 읍성이 지닌 공간성은 군사적 공간으로부터 점차 정치 행정적 중심지로 변화하여 갔다. 일제강점기가 되면, 전통시기의 읍치가 통치 행정 치소로서의 기능을 넘어 자본 축적의 중심, 경제와 교육의 거점, 촌락 공간의 중심지로 변모하기 시작한다. 내포지역에는 개항지가 설치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인의 읍성안 토지 장악은 주요 개항지의 그것보다 훨씬 더 전면적이었다. 더욱이 읍성 공간을 천한 공간으로 여기던 전통적 인식은 조선인들의 신속한 읍성 이탈을 부추긴 반면, 읍성 공간이 갖는 정치, 경제, 사회적 중심성과 서비스업에 종사함으로써 얻은 풍부한 자본력은 일본인들의 광범위한 토지 점유를 가속화한 흡입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미 1920년대부터 구읍성 일대는 통치 기능 외에 금융, 상업, 교육, 교통 기능의 중심지이자 새로운 도시 문제의 발원지로서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공간성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일제강점기 동안의 경관 변형은 기존 거주민(조선인)에 의해서가 아닌 대체 거주민(일본인)을 통해 주도되었고, 결과적으로 그것은 형태와 기능상의 변혁이었음은 물론이고 매우 급격한 사회공간적 재편이었다.

수체계가 홍주성의 입지와 공간구조 변천과정에 미친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Water System on the Location and Spatial Structure of Hongju-seong)

  • 이경찬;강인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2-24
    • /
    • 2020
  • 본 연구는 홍주목 읍치 일대의 물(水) 공간과 연계하여 홍주성의 형성·변천과정과 더불어 조선 후기 홍주읍성의 공간구조와 축성방식이 지니는 특성을 해석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조선시대 홍주목 읍치 일대의 수체계는 남에서 북으로, 서에서 동으로 흐르는 가지형 구조의 자연하도를 기반으로 인공적으로 조성된 성안물길과 연못(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양한 문헌기록, 발굴조사 결과 및 지도자료 등에 대한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수체계가 홍주성의 조영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고려시대 이후 조선 후기에 이르는 홍주성은 큰 위치 변화 없이 금마천과 용봉천을 외수로 삼고 홍성천과 월계천을 중심으로 한 환포형의 지형구조와 하천 합수부의 내측(汭)에 형성된 소규모 침식분지를 이용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홍주성의 입지특성은 고대 중국과 한국에서의 물길을 고려한 도시 입지선정 방법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둘째, 홍주성 일대 수체계의 골격을 형성하는 홍성천과 월계천, 소향천 등은 다양한 측면에서 홍주성의 입지와 축성방식, 물 관련시설, 읍성 공간구조 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홍주성 내외부의 미지형구조는 월계천 및 홍성천의 하도특성과 어우러져 홍주성의 토지이용 및 읍치시설 배치형태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홍주읍성에서는 물을 고려한 다양한 비보조치가 이루어졌다. 홍성천과 금마천 사이의 숲 조성, 조선 후기 읍기(邑基)를 방해한다 하여 이루어진 남문 폐쇄 등은 그 대표적인 조치의 일환으로 이해된다. 넷째, 월계천의 영향으로부터 읍성 또는 읍내 시가구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찍부터 성안물길을 설치하여 물길을 분지시키거나 연못(池)을 조성하는 등 인공 배수시설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특히 홍주성의 축성방식과 관련하여 수해로부터 성벽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가 이루어졌다. 고려시대 토성과 일체화된 조선시대 석성 구조, 조선 후기 북문지 일대의 퇴축 성벽, 서벽과 동벽에서 보이는 외벽과 내벽 사이의 석렬이나 와편층을 활용한 성벽 축조방식은 그 대표적인 방법이었다.

조경기사 필기시험 중 한국조경사 문제의 출제 경향 (The Tendency of the Written Test Questions for the History of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in National Qualification Test of a Landscape Engineer)

  • 소현수;임의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9-102
    • /
    • 2015
  •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간 축적된 국가기술자격검정 조경기사 필기시험 중 조경사 과목의 문항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조경사 문제의 출제 경향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제공한 출제기준은 조경사를 구성하는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에서 최근 '서양의 조경'에 대한 문항의 출제 비율이 낮아진 반면에 '한국의 조경'에 대한 문항의 출제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둘째, '한국의 조경'에 대한 문항에서 약 30여 종의 전통수종과 11가지 유형의 전통조경 시설물이 포함되는 전통조경요소가 다루어졌다. 또한 역사서, 지리서, 실학서, 원예서, 문집 및 기타, 정원도 및 회화자료로 분류되는 전통조경 관련 기록물 25개가 제시되었다. 다음으로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궁원의 조영 시기와 관련된 왕, 별서의 조영자나 소유자, 기록물의 저자, 중국 문인으로 구성되는 인물들이 문항에 등장하였다. 셋째, '한국의 조경'에 대한 문항 중에서 선사시대와 발해시대에 해당하는 문제는 없었으며 조선시대에 집중 분포되었다. 이에 조선시대로 한정하여 고찰한 전통공간 사례지는 별서가 가장 많았고, 도성 궁궐, 주택, 누 정 대, 서원 순서였으며, 읍성과 사찰의 사례지는 낙안읍성과 용주사뿐이었다. 넷째, 조선시대 전통공간과 관련하여 사례지의 조성 시기, 조영자, 입지 특성, 건축 구조, 평면 형태, 정원 구성 요소에 대한 세부적 내용 파악이 요구되었다. 또한 한국조경사 교재 9권으로부터 문항에서 추출한 전통공간 사례지의 출현 여부를 검토한 결과 동춘당, 풍암정사, 십청정, 곡수대, 유상대, 심곡서원은 등장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통해서 보편성이 결여된 지엽적 사실에 대한 정보를 묻는 문제, 조경사 교재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정보와 대상지가 포함된 문제 등과 같은 한국조경사 기출문제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