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phorbia pekinensis complex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Chromosome numbers of Euphorbia pekinensis complex in Far East Asia

  • Park, Ki-Ryong;Kurosawa, Takahide;Seo, Min-Gyeong;Lee, Bo-Eun;Ahn, Soo-Kyeo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04-307
    • /
    • 2017
  • We report somatic chromosome numbers for three species belonging to the Euphorbia pekinensis complex distributed in Far East Asia. In E. pekinensis populations distributed in Korea, 2n = 28 and 56 were found, while the Japanese native E. lasiocaula was also found at 2n = 28 and 56 and the Japanese endemic E. sinanensis was found at 2n = 20. Based on the number of chromosomes, E. lasiocaula distributed in Japan supports treatment as a variety of E. pekinensis rather than as a different species, while E. sinanensis should be recognized as a distinct species rather than as a variety of E. pekinensis. In the same populations of E. pekinensis and E. lasiocaula, diploid and tetraploid individuals were found, and the diversity of these chromosome numbers was consistent with the morphological diversity of these populations, suggesting the future evolutionary potential of this species.

한국산 흰대극(Euphorbia esula)과 섬흰대극(E. maackii)의 유전적, 형태적 분화 (Genetic and morphological divergence of Euphorbia esula and E. maackii in Korea (Euphorbiaceae))

  • 정한진;박기룡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67-274
    • /
    • 2012
  • 흰대극과 섬흰대극의 형태적, 유전적 분화를 알아보기 위해 두 종의 14개 자연 집단으로부터 12개의 형태형질과 11개의 동위효소 유전좌위를 조사하였다. 흰대극복합체의 유전적 다양성 측정치(A=1.63, P=44.83, $H_e$=0.198)는 기존의 동북아산 암대극과 두메대극의 보고와 유사하며, 한국산 붉은대극과 대극보다는 약간 낮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비록 대부분 두 종사이의 형태형질의 측정범위가 중복되나 흰대극과 섬흰대극은 형태형질의 조합에 의해 구별되며, 이를 기초로 한 전형질도는 한국에 두 종이 분포함을 지지해주고 있다. 하지만 동위효소 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두 종이 구별되지 않았으며, 이와 같은 두 자료의 불일치는 두 종이 최근에 분화 하였거나 종간 형질이입에 의한 교잡에 의해 이와 같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추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