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phausiacea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 동해에 출현하는 명태(Gadus chalcogrammus)의 위내용물 조성 (Diet of the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in the East Sea, Korea)

  • 고아름;이수정;양재형;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456-463
    • /
    • 2020
  • The diet of the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was studied by examining the stomach contents of 864 individuals. Using gill nets, samples were collected monthly from January to December 2017 in Jugwang, Sokcho, Yangyang, Uljin, Ganggu, and Gampo, Korea. The specimens ranged in total length (TL) from 16.6 to 75.2 cm. G. chalcogrammus fed mainly on Euphausia pacifica (Euphausiacea) and less on Cephalopoda, Pisces, Mysidacea, and Macrura. The results indicated that G. chalcogrammus is a specialist feeder, feeding mainly Euphausiacea. With growth, however, its diet shifted from Euphausiacea to Cephalopoda, Macrura and Pisces. Smaller individuals (<40.0 cm TL) consumed mainly Euphausiacea. The proportion of Euphausiacea decreased with increasing body size, whereas the consumption of Cephalopoda and Macrura increased gradually.

Stylocheiron abbreviatum (Euphausiacea, Crustacea): A New Record from the Korean Waters

  • Suh, Hae-Lip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5권3호
    • /
    • pp.255-257
    • /
    • 2012
  • The euphausiid crustacean Stylocheiron abbreviatum G. O. Sars, 1883 has been found in the southern waters of Jeju Island, Korea. This species is the third member of the genus Stylocheiron and the twelfth of the family Euphausiidae identified in Korean waters. Using descriptions of this species, a key to Korean euphausiids is presented.

한국 연근해에 출현하는 태평양참다랑어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in Korean waters)

  • 조헌주;이성일;김두남;이미경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5권1호
    • /
    • pp.20-28
    • /
    • 2019
  • The feeding habits of Pacific bluefin tuna, Thunnus orientalis were analyzed using samples by large purse seine fishery in Korean waters from 2012 to 2017. The number of samples was 1,274 and the fork-length (FL) ranged from 34.6 to 218.0 cm. According to %IRI, the Important main prey items of immature individuals (below 91.4 cm in FL) were Pisces, Cephalopoda and Euphausiacea and those of mature individuals were Cephalopoda and Pisces. T. orientalis showed ontogenetic changes in prey item that Pisces was dominated in size class of 30-89 cm (FL), Cephalopoda in 90-179 cm (FL), and Pisces above 180 cm. As for seasonal changes in prey item, Cephalopoda was dominant in spring and Pisces was dominant in summer, autumn and winter. %F, %N, %W and %IRI cluster analysis divided area into three groups: Group A was dominated by Pisces; Group B was dominated by Cephalopoda, and Group C was dominated by Euphausiacea.

한국 서해에 출현하는 문치가자미(Pseudopleuronectes yokohamae)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Marbled Flounder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in the West Sea in Korea)

  • 노태형;최동혁;이승환;권대현;한경호;김맹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583-589
    • /
    • 2022
  • The feeding habits of the marbled flounder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were studied using 384 specimens (10.7-52.3 cm in total length) collected from the West Sea, Korea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21. P. yokohamae ate mainly polychaeta and gastropoda, incuding teleostei, caridea, euphausiacea, amphipoda and brachyura. The mean number of preys per stomach (mN/S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mean weight of prey per stomach (mW/ST) increased as the total length increased. P. yokohamae ate mainly teleostei in spring and winter. P. yokohamae ate mainly euphausiacea in summer and mainly polychaeta in autumn.

한국 제주 연안에 출현하는 부세(Larimichthys crocea)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Large Yellow Croaker, Larimichthys crocea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 박도연;김도균;문성용;박정호;김희용;백근욱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82-187
    • /
    • 2024
  • 2021년 6월부터 2022년 5월까지 제주 연안에서 대형쌍끌이 저인망으로 어획된 부세 816개체의 위내용물 조성, 크기군과 계절군에 따른 위내용물 조성의 변화, 크기군과 계절군 간의 섭식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분석한 부세의 전장 범위는 19.8~57.4 cm였으며, 20.0~25.0 cm의 크기군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부세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57.5%의 상대중요도지수비를 차지한 어류였으며, 다음으로는 난바다곤쟁이류와 새우류가 우점하였다. 부세의 크기군별 위내용물 조성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성장함에 따라 난바다곤쟁이류의 섭식비율은 감소하고, 어류의 섭식비율은 증가하였다. 계절군별 위 내용물 조성의 변화 또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세의 동계와 춘계에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였으며, 하계에는 새우류, 추계에는 난바다곤쟁이류였다. 크기군과 계절군 간의 섭식관계를 분석한 결과, 부세는 크기군과 계절군의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Morphology of the Gastric Mill of Nyctiphanes australis(Euphausiacea, Crustacea)

  • SUH Hae-Lip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14-218
    • /
    • 1989
  • SEM observation revealed that the gastric mill of Nyctiphanes australis consists of paired cluster spines and paired lateral teeth, while the filter-press is absent. The morphology of the gastric mill was extremely constant; the numbers of both setiform processes of cluster spines and serrated spines of lateral teeth increased with increasing body length. The cluster spines of N. australis consisted of a single row of stout setiform processes but the lateral teeth comprised a large projection with small serrated spines. The cluster spines are symmetrical in setiform process distribution, however, the lateral teeth are asymmetrical in number of serrated spines.

  • PDF

한국 남해에 출현하는 반딧불게르치(Acropoma japonicum)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Glowbelly Acropoma japonicum in the South Sea of Korea)

  • 조준형;김도균;강다연;강수경;정재묵;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374-378
    • /
    • 2022
  • The feeding habits of the Glowbelly Acropoma japonicum were examined based on 849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coastal waters of the South Sea of Korea. The total length (TL) of these specimens ranged from 2.6 to 13.0 cm. A. japonicum fed majorly on Euphausia pacifica (Euphausiacea, %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 51.9). However with growth, its diet shifted from copepoda to euphausiacea. Overall, as the body size of A. japonicum increased, the mean weight of prey within the stomach (mW/ST) increased.

황해와 미국 서부연안에 서식하는 난바다곤쟁이 Euphausia pacifica (Euphausiacea, Crustacea)의 유전학적 다형성

  • 이윤;윤원득;이승환;장인권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94-195
    • /
    • 2000
  • 난바다곤쟁이는 북태평양 동부해역으로부터 베링해, 오우츠크해, 동해와 황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종으로서 형태학적 분류관점에서 동일종으로 간주되고 있다. 최근에 밝혀진 황해 개체군의 생태학적 특성에 의하면 미국 서부해역과 황해에 서식하는 두 개체군은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히 비교적 낮은 수온 (< 1$0^{\circ}C$)의 수심에서 서식하며 강력한 일주수직상승운동 (diurnal vertical migration)을 수행하는 등 많은 특성을 공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Yoon et al., in press). 본 연구는 미국 서부연안과 한국 서해에 서식하는 난바다곤쟁이 개채군의 물리, 생태, 형태학적인 공통 특성이 유전학적인 측면에서도 관찰되는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중략)

  • PDF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줄삼치(Sarda orientalis)의 위내용물 조성 (Diet Composition of Oriental Bonito (Sarda orientalis) in Coa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 김현지;정재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13
    • /
    • 2020
  • 줄삼치(Sarda orientalis)는 2015년 1월부터 12월까지 제주 주변해역에서 고등어 선망어선에 혼획된 288개체를 이용하였으며, 가랑이체장(fork length)과 체중을 각각 0.1 cm와 0.1 g까지 측정한 뒤 해부하여 먹이생물의 크기와 무게를 측정하고 최대한 종 수준까지 분석하였다. 먹이생물은 상대중요성지수비(%IRI)를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크기군과 계절에 따른 먹이조성 변화를 알아보았다. 줄삼치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어류(Pisces)였으며, 그중에서도 멸치(Engraulis japonicus)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 외 난바다곤쟁이류(Euphausiacea), 단각류(Amphipoda), 두족류(Cephalopoda)가 출현하였으나 그 양은 적었다. 줄삼치는 모든 크기군과 계절에서 어류가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이었으며, 성장하면서 먹이생물의 중량이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