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patilin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1초

섬애쑥(Artemisia argyi H.)의 부위별 영양화학성분 (Nutritional Chemical Composition in the Different Parts of Artemisia argyi H.)

  • 하기정;이용호;김낙구;손길만;노치웅;정희록;허호진;정창호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155-164
    • /
    • 2012
  • 경남 남해에서 재배되고 있는 섬애쑥의 식품 및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도 제고를 위하여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섬애쑥의 일반성분을 잎, 줄기 및 뿌리 부위별로 조사한 결과 조단백질은 각각 19.87, 6.14, 5.68%로 나타났고, 조지방은 4.56, 1.30, 1.20%이었으며, 조섬유는 16.80, 29.70, 29.45%로 나타났다. 섬애쑥의 주요 무기성분은 K, Ca, Mg으로 나타났으며, 잎에서 K과 Ca의 함량이 각각 4,270.24, 617.64 mg/100g으로 뿌리보다 2배 이상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리당은 잎과 뿌리에는 sucrose와 glucose가, 줄기에서는 glucose와 fructose가 검출되었다. 총아미노산은 17종이 분리되었으며, 잎의 총아미노산 함량이 4,864.11 mg/100g으로 가장 높았으며, 줄기는 1,953.99mg/100g, 뿌리는 1,601.73mg/100g 순으로 나타났다. 부위별 주요아미노산으로 잎과 줄기에서는 proline(963.91 및 407.52mg/100g)과 aspartic acid(577.38 및 299.17mg/100g)이었고, 뿌리에서는 glutamic acid(206.34mg/100g)와 arginine(193.23mg/100g)이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잎, 줄기 및 뿌리 모두 linoleic acid($C_{18:2}$), behenic acid($C_{22:0}$) 및 palmitic acid($C_{16:0}$)가 주요 지방산으로 나타났으며, 생리활성 성분으로서의 부위별 eupatilin과 jaceosidin 함량은 잎에서 35.0과 107.63mg/100g으로 줄기와 뿌리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처리 방법을 달리한 섬애약쑥 에탄올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Ethanol Extract from Artemisia Argyi H. Using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 강재란;강민정;최명효;변희욱;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3-3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전처리 조건(음건, 숙성, 덖음)과 추출 용매 중 에탄올의 혼합비율(30, 50, 70, 90%)에 따른 섬애약쑥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여, 최적의 전처리 조건 및 추출용매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추출물의 수율은 음건쑥추출물에 비해 숙성쑥과 덖음쑥 추출물이 더 높았고, 에탄올 농도에 따른 경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색도는 L, a, b값 모두 음건쑥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열처리 시간이 가장 길었던 숙성쑥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덖음쑥, 숙성쑥, 건조쑥 순으로 높고 에탄올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그 함량 또한 증가하였다. 총 페놀, jaceosidin, eupatilin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덖음쑥, 숙성쑥, 건조쑥 순으로 높았으며, 전반적으로 50%와 70% 에탄올 추출물이 30%와 95%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덖음쑥 추출물이 음건쑥과 숙성쑥 추출물에 비해 높았는데,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덖음쑥 70% 에탄올 추출물이 77.71%로 유의하게 가장 높았으며,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덖음쑥 30%, 50% 및 70% 에탄올 추출물이 96%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섬애약쑥은 음건한 것을 덖음 처리를 한 후 50%~70% 에탄올로 추출할 때 유효성분의 함량과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가열온도(加熱溫度)에 따른 애엽(艾葉)의 성분변화(成分變化) 및 생리활성(生理活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udy For Changes In Components And Activities Of Artemisiae Herba. At Various Processing Temperature)

  • 박영재;박영배;김용석;고형균;김창환;강성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5권2호
    • /
    • pp.1-15
    • /
    • 1998
  • Purpose : The study for changes in components and acitvities of Artemisiae Herba at various processing temperature is generally regarded as a foundation in setting the optimum heat-processing temperature and for getting the maximum activities for medical usage of this herb. Methods: Therefore some experiments were performed either in vitro or in vivo and various changes were observed - the changes in the weitht of Artemisiae Herba, the changes in the relative amount of three kinds of extracts from Artemisiae Herba ( diluted ethanol extract, water extract, ether extract ), the TLC pattern of essential oil at various processing temperature, the existance of inhibitory effects both on ${\beta}$-Glucuronidase activities, and on heat-induced hemolysis, the effects on increased vascular permeability. The valid results derived from the experiments are as follows. Results: 1. The weight of Artemisiae Herba prominently decreased at 240^{\circ}C$. 2. The contents of diluted ether extract were maximum in the unprocessing condition. Those of water extract were maximum at 180^{\circ}C$ and at 210^{\circ}C$. and the changes of diluted ethanol extract at 150^{\circ}C$. 3. The TLC pattern of essential oil in Artemisiae Herba at various processing temperature showed that a component began to increase at Rf 0.56 and another component began to decrease at Rf 0.86. 4. The contents of Eupatilin in Artemisiae Herba at various processing temperature continued to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temperature rise, the extent of which was prominent at 210^{\circ}C$, and was unnoticeable at 270^{\circ}C$. 5. Inhibitory effects on ${\beta}$-Glucuronidase activities, trypsin activities and heat-induced hemolysi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density of Artemisiae Herba. Inhibitory effects on ${\beta}$-Glucuronidase activities and trypsin activities were relatively high at 180^{\circ}C$ while on the writhing syndrome and inhibitory effects on increased vascular permeability induced by acetic acid were maximum at 240^{\circ}C$. those on heat-induced hemolysis were relatively high at 240^{\circ}C$. 6. In vivo, both analgesic effects Conclusions: To maximize of the effectiveness of Artemmisiae Herba, the ideal heating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180^{\circ}C{\sim}240^{\circ}C$.

  • PDF

DA-6034 Induces $[Ca^{2+}]_i$ Increase in Epithelial Cells

  • Yang, Yu-Mi;Park, Soonhong;Ji, HyeWon;Kim, Tae-Im;Kim, Eung Kweon;Kang, Kyung Koo;Shin, Dong M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8권2호
    • /
    • pp.89-94
    • /
    • 2014
  • DA-6034, a eupatilin derivative of flavonoid, has shown potent effects on the protection of gastric mucosa and induced the increases in fluid and glycoprotein secretion in human and rat corneal and conjunctival cells, suggesting that it might be considered as a drug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However, whether DA-6034 induces $Ca^{2+}$ signaling and its underlying mechanism in epithelial cells are not known.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mechanism for actions of DA-6034 in $Ca^{2+}$ signaling pathways of the epithelial cells (conjunctival and corneal cells) from human donor eyes and mouse salivary gland epithelial cells. DA-6034 activated $Ca^{2+}$-activated $Cl^-$ channels (CaCCs) and increased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s ($[Ca^{2+}]_i$) in primary cultured human conjunctival cells. DA-6034 also increased $[Ca^{2+}]_i$ in mouse salivary gland cells and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Ca^{2+}]_i$ increase of DA-6034 was dependent on the $Ca^{2+}$ entry from extracellular and $Ca^{2+}$ release from internal $Ca^{2+}$ stores. Interestingly, these effects of DA-6034 were related to ryanodine receptors (RyRs) but not phospholipase C/inositol 1,4,5-triphosphate ($IP_3$) pathway and lysosomal $Ca^{2+}$ stor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6034 induces $Ca^{2+}$ signaling via extracellular $Ca^{2+}$ entry and RyRs-sensitive $Ca^{2+}$ release from internal $Ca^{2+}$ stores in epithelial cells.

황해쑥 수집계통의 수확횟수 별 생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Artemisia argyi according to Harvest Count)

  • 정진태;이정훈;이윤지;오명원;장재기;박춘근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2-82
    • /
    • 2019
  • 황해쑥(Artemisia argyi Lev. et. Vnt)은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 식물로서 쑥, 산쑥과 함께 건조한 것이 애엽이라는 생약재로 쓰이며 2016년 기준 전국적으로 81 ha에서 871톤이 생산되고 있다. 주요 유효성분으로 Eupatilin, Jaceosidin 등이 있으며 위궤양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 최근에는 스티렌정 등 신약원료로 각광 받고 있다. 황해쑥은 종자번식 뿐만 아니라 포복경을 이용한 영양번식이 가능하며 현재까지 '섬애' 등 1품종이 개발되어 있으나 농가와 산업체가 요구하고 있는 수량성 또는 Eupatilin 등 성분함량이 높은 품종개발이 필요하다. 국내 연구 결과를 보면 대부분 년 1회 수확을 기준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실제로는 년 2회 수확하는 경우가 더 많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년 1회 뿐만 아니라 년 2회로도 수확하여 조사하였다. 시험재료는 AA1801 등 7계통 이며, 시비량은 10 a 당 질소 15.3 kg 인산 20 kg 가리 5 kg이고, 흑색 비닐을 피복한 후 조간 30 cm 주간 15 cm로 하였다. 시험구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하였으며 포복경을 5 cm로 잘라 4월 19일에 정식하였다. 1회 수확 시에는 8월 12일, 2회 수확 시에는 6월 17일, 9월 19일에 수확 하였다. 년 1회 수확 시 계통 별 생육특성을 보면, 초장은 202.4~231.5 cm로 평균 213.6 cm 였으며 경경은 10~12.14 mm로 평균 10.9 mm 였다. 분지수는 32.6~37.3개로 평균 35.2개 였으며 엽병장, 엽장, 엽폭은 2.4~4.2 cm, 9.3~12 cm 9.2~12.2 cm로 평균 3.3 cm, 10.7 cm 그리고 10.9 cm 였다. 전초의 생중량과 건중량은 각각 4.9~6.9 kg, 1.8~2.7 kg로 평균 5.5 kg, 2.1 kg 이였다. 특히 AA1902는 다른 계통에 비해 분지수는 적었으나 초장이 크고 경경이 굵었으며 생중량과 건중량도 가장 무거웠다. 년 2회 수확 시 전초의 생중량과 건중량은 각각 5.1~6.2 kg, 1.7~2.0 kg로 평균 5.6 kg, 1.8 kg 이였다. 수량성으로 봤을때는 AA1902는 1회 수확에 적합하며 AA1801, AA1802는 2회 수확 시 생중량과 건중량이 무거웠다. 또한 AA1903의 경우 수확 회수와 상관없이 수량성이 높은 계통으로 판단되었다. 본 자료는 황해쑥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Antiallergic Effect of Two Variant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 Shin, Yong-Wook;Bae, Eun-Ah;Lee, Bo-Mi;Min, Sung-Won;Lee, Jin-Hee;Baek, Nam-In;Ryu, Su-No;Chung, Hae-Gon;Kim, Nam-Jae;Kim, Dong-Hy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2권2호
    • /
    • pp.67-73
    • /
    • 2006
  • Antiallergic activities of two variant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J-1 (named as Sajabalssuk) and SS-1 (named as Sajuarissuk) cultivated in Ganghwado, which contain high content of eupatilin compared to those cultured by other places,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as inhibitors against allergic diseases. Ethanol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of SJ-1 and SS-1 inhibited the release of ${\beta}-hexosaminidase$ from RBL-2H3 cells, although their water extracts were inactive. These extracts potently inhibited lipopolysaccharide-induced NO production of RAW264.7. However, these extracts almost did not scavenge free radicals. Oral administration of these extracts to mice inhibite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reaction induced by IgE, and acute dermatitis induced by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However, these extracts did not inhibit chronic dermatitis. Scratching behaviors, vascular permeability, and writhing syndromes were weakly inhibited by these extract at a dose of 50 mg/kg. Based on these findings, we believe that SJ-1 and SS-1 can improve IgE-induced allergic diseases such as rhinitis and asthma.

황해쑥의 Interleukin-1β 유도 연골세포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들의 억제효과 및 마우스에서 관절염 진행 감소 효과 (Artemisia argyi H.Lev. & Vaniot Inhibits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the Interleukin-1β-stimulated Primary Chondrocytes and Attenuates Osteoarthritis Progression in Mice)

  • 박찬흠;양창열;양시영;요코자와타카코;신유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4-94
    • /
    • 2019
  • 황해쑥(Artemisia argyi H.Lev. & Vaniot)은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지닌 것으로 다양하게 보고 되었다. 그러나, 대표적인 염증 질환 중 하나인 골관절염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염증 유발 연골 세포 및 골관절염 유발 동물 모델에 미치는 황해쑥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첫째, interleukin 1 beta를 투여한 관절 연골 세포에 황해쑥 물 추출물을 투여한 후 metalloporeinase (MMP) -3 및 MMP-13의 발현을 mRNA 및 단백질 수준에서 분석 하였다. 또한, 내측 반월상 연골의 불안정화에 의해 유도 된 골관절염 마우스 모델을 사용하여 황해쑥 물 추출물의 골관절염 억제 효과를 분석 하였다. 세포 실험에서, 본 황해쑥은 MMP-3와 MMP-13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또한. 황해쑥 물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 동물의 관절 조직을 Safranin O 염색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연골 하 골판 두께의 감소 및 활막 염증 개선 효과가 관찰 되었다. HPLC를 이용한 성분 분석 결과, 황해쑥 물 추출물은 항염증 및 항관절염 활성을 가진 jaceosidin과 eupatilin을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황해쑥은 골관절염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망한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Effects of Activated Carbon on the Reduction of Benzo(a)pyrene in Artemisia argyi Extract

  • Lee, Sung-Hoo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37-544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Artemisia argyi has a long history as an effective treatment for various diseases. The detection of environmental pollutant benzo(a)pyrene, a known human carcinogen, in the leaves of Artemisia argyi is cause for concern. For medicinal plant extracts, both a reduction of benzo(a)pyrene as well as the maintained effectiveness of the compound are important.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an optimized process for the addition and filtration of activated carbon to reduce benzo(a)pyrene and change the contents of the indicating substance(jaceosidine and eupatilin). Methods: Artemisia argyi EtOH extract containing 36 ppb of benzo(a)pyrene was added to 0.1, 0.5, 1.0, and 1.5% (w/w) of activated carbon for 120 min and filtered using an activated carbon filter 1, 2, 3, and 5 times respectively. The content of benzo(a)pyrene and indicating substances in Artemisia argyi extract were then measured with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luorescence and UV detectors). Results: As the amounts of activated carbon powder and filtering cycles increased, the content of benzo(a)pyrene in the Artemisia argyi extract decreased. However, when activated carbon powder 1.5% was added to the extract, and when the activated carbon filter was filtered five times, the results were reduced by 15% and 30~40% respectively.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 for reducing benzo(a)pyrene was adding 1.5% of activated carbon powder. This resulted in reducing benzo(a)pyrene by 83% and indicating substances by about 4%. Conclusions: Here we present a process for reducing benzo(a)pyrene in Artemisia argyi extract using activated carbon to reduce toxicity and minimize the loss of active ingredients. This approach has potential application within a manufacturing process of various medicinal plant extracts.

사자발쑥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Extracts)

  • 양현갑;김혜진;김해수;박수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50-26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에 응용 가능한 천연 소재를 찾고자, 사자발쑥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효과 및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측정하였다. 사자발쑥 추출물의 수득율의 경우 50% 에탄올 추출물은 23.92%,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2.66%, 아글리콘 분획은 1.60%으로 나타났다. 사자발쑥 추출물의 free radical 소거능력($FSC_{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12.27{\mu}g/m$)에서 비교적 큰 소거활성을 나타내었고, 활성산소 소거활성($OSC_{50}$)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0.33{\mu}g/mL$)에서 비교물질로 사용한 L-아스코르빅산($1.50{\mu}g/mL$)의 총항산화능보다 약 5배 더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나머지 추출물 역시 비교물질과 비슷한 활성을 보였다. 또한, $^1O_2$으로 유도된 적혈구의 광용혈 실험에서 추출물의 ${\mu}g/mL$ 농도 범위($5{\sim}50{\mu}g/mL$)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25{\mu}g/mL$의 농도에서 아글리콘 분획은 비교물질인 (+)-${\alpha}$-토코페롤과 비교했을 때, 약 3 배정도 높은 세포보호활성을 나타내었다. 사자발쑥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IC_{50}$)은 $29.20{\mu}g/mL$로 미백제로 알려진 알부틴($226.88{\mu}g/mL$)보다도 약 7배 정도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사자발쑥 추출물의 항균활성 측정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MIC는 Gram (+) 세균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화장품에 사용되고 있는 방부제인 methyl paraben 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천연 방부제, 항균제로서 역할이 충분히 기대된다. 항산화 활성과 항균활성 및 미백효과가 뛰어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TLC 및 HPLC 크로마토그램을 통한 다양한 성분의 peak 중에서 2개의 peak (TLC, AP 1-1 및 AP 1-3)를 확인하였으며, LC/ESI-MS/MS의 negative ion 모드에서 HPLC peak 1 (AP 1-3)은 분자 이온 $[M-H]^-$이 m/z 329.1, HPLC peak 2 (AP 1-1)는 m/z 343.3로 나타났다. 따라서 AP 1-1은 eupatilin으로, AP 1-3은 jaceosidin 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사자발쑥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과 더불어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으로부터 미백효능 그리고 피부 상재군에 대한 항균활성 등 기능성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큼을 시사된다. 추가적으로 화장품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활성 성분을 이용한 피부 흡수 증진 시스템 개발과 제형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반응에서 섬애약쑥 추출물의 간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Sumaeyaksuk (Artemisia argyi H.) Extract on LPS-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

  • 김동규;강민정;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282-1288
    • /
    • 2016
  • 본 연구는 섬애약쑥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물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및 간 염증에 대한 보호효과를 세포수준에서 확인하였다. 세포독성이 없는 $100{\sim}400{\mu}g/ml$의 농도 범위에서 섬애약쑥 추출물은 HepG2 세포에서 nitric oxide (NO)와 reactive nitrogen species (ROS)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간염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cytokine인 M-CSF와 IL-8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직접적인 간 손상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인 AST와 ALT의 발현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해서 섬애약쑥물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는 $200{\sim}400{\mu}g/ml$의 범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간 염증의 개선 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단서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