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ngi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18초

Scopus에 설정된 주제분류 활용도 및 상호 연관성에 대한 고찰 (Assessing the Utilization and Interrelatedness of Scopus Subject Categories)

  • Kim, Eungi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51-272
    • /
    • 2019
  • 본 연구는 Scopus의 분류시스템에서 설정된 주제분류의 활용도와 상호연관성을 조사했다. 연구 수행의 범위는 2017년도 Scopus 색인에 포함된 저널의 대 주제 분류 및 소 주제분류를 포함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Scopus의 주제 분류별 활용도에서의 빈도수나 주제분류간 상호연관성에서도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이 가운데 대 주제분류활용률과 상호연관성의 양상은 의학과 사회과학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고 다양하게 나타났다. 한편, 소 주제분류에서는 "2700 General Medicine"이 상호연관 측면에서 최고의 다양성을 보여주었다. 이외에 쌍을 이루는 소 주제분류 간의 동시 빈도수 분석에서 특징적인 상호연관성을 보이는 경우들을 발견하였는데 같은 분야의 주제어가 비슷한 연관성, 분야는 다르지만 주제가 연결된 연관성, 주제어간 상,하위범주의 연관성의 경우들이다. 소수의 소 주제분류간에는 매우 유사한 주제어를 사용한 경우들도 있었다. 이러한 주제분류별 활용도와 주제분류간의 상호연관성들이 보여주는 다양한 양상들로 인해 연구수행에 있어서 대 주제분류뿐만 아니라 대주제 분류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소 주제분류까지도 면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의학 저널에서 사용되는 구조적 초록의 소표제들에 관한 분석 (Abstracts in Medical Science Journals: An Analysis of Subheadings in Structured Abstracts)

  • Kim, Eungi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99-216
    • /
    • 2016
  • 본 논문은 의학분야 논문가운데 구조적 초록만을 선별하여 소표제들을 분석함으로서 문헌정보학 관점에서 의학분야의 논문초록양식에 소표제의 의미를 논의하였다. 다양한 의학분야 가운데 암, 윤리, 유전학, 감염성 질환, 신경과, 소아과, 면역학, 정신의학 및 심장학의 9개 세부분야를 선택하였고, PubMed 데이터베이스에서 샘플 데이터로 출판된 논문초록 정보를 추출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는 최근 초록인 2010년부터 2015까지 5년 동안 출판된 초록들로 제한하였다. 연구는 추출된 샘플들의 양상과 구조적 형식에서 사용된 소표제들의 변종과 변종의 빈도 수 등을 분석하였다. 요약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다수의 세부 의학분야에서 출판되는 논문들은 구조적 초록이 아닌 비구조화 초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2) 의학분야의 논문에서는 소표제 항목을 평균적으로 4.1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으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부제는 OBJECTIVES(목적), METHODS(방법), RESULTS(결과), CONCLUSIONS(결론)이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 제기된 문제점들과 보고된 소표제 분석결과가 의료과학 저널 편집자와 의학 및 문헌정보학자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국내외 문헌정보 학술지에 나타난 공동연구자수에 관한 연구 (Team Size Patterns of Korean and International Journal Articl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Kim, Eungi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429-44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문헌정보학 학술지들에서 나타나는 협업 범위를 저자수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세트를 위해, 2010-2016년도에 발간된 논문으로서 문헌정보분야와 관련된 국외학술지중 Scimago Journal Rank (SJR)에 기재된 최상위권 30개와 4개의 국내 문헌정보분야와 관련된 학술지를 선택하였다. 국내 학술지 저자 정보들은 RISS 데이터베이스에서 수집하였고 국외학술지 저자 정보들은 Scopus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학술지의 경우 문헌정보 학술지에서는 단독저자부터 3인 공저자 까지가 가장 흔한 저자협업 정보임을 보여주었다. 국외 학술지는 저자협업이 국내학술지보다 더 다수의 경우가 많았다. 특별히, 국내의 경우 단독저자가 가장 흔했는데 국외 학술지에서는 2인 공저가 가장 흔했다. 연구분야를 살펴보면 도서관 관련 분야에서는 단독저자가 가장 흔하였고 과학/기술 분야는 3인 공저가 가장 흔하였다. 결론적으로 문헌정보학 분야에서는 연구분야의 다양성으로 인해 저자수도 상당히 다양해 질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연간 인용 횟수 증가율에 기반한 문헌정보학 학술지 논문 목록의 순위화에 관한 연구 (Producing Top LIS Journal Paper List Based on the Yearly Citation Growth Rate)

  • Kim, Eungi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45-266
    • /
    • 2018
  • 본 연구는 기존의 인용횟수를 기반으로 순위매김을 하던 방식과 달리 연도별 인용횟수증가율 (YCGR) 을 기반으로 하는 특정 방법으로 순위매김을 하여 추후의 인용가능성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순위매김 방법론을 제안한다. YCGR 기반 순위매김은 논문의 인용횟수만을 적용하지 않고 총 인용문, 왼쪽경사, 출판연도, 피크연도 및 오른쪽경사와 같은 5 가지 개별인용 관련 변수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순위를 정한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Scopus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1996년에서 2016년까지 Walters와 Wilder가 발표한 문헌정보학 저널을 기반으로 삼아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50편을 수집하였다. 이 논문들을 앞서 언급한 YCGR 측정요건들에 맞게 설정한 기울기를 측정하여 순위 매김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YCGR 순위는 논문이 추후 인용 받을 가능성의 정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며 또한 문헌정보학에서 많이 인용된 논문들의 특징과 추세를 살펴볼 수 있는 대안적 기능도 제공했다. 더 많은 경험적 분석이 필요하지만 YCGR에 기반한 순위는 다양한 연구영역의 최다 인용된 논문들 가운데서 주목할 만한 논문을 찾는 데에도 유용하게 쓰여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외 문헌정보학 저널의 키워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Keywords of International and Korean Journal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Kim, Eungi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07-22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특징 면에서 문헌정보 저널에서 나타나는 유사점과 차이점을 조사하여 다양한 문헌 정보학 연구 영역을 발견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04 년부터 2016 년까지 네 개의 한국 저널의 키워드가 RISS 데이타베이스에서 수집 되었고(http://www.riss.co.kr) 그리고 여섯 개의 국제저널의 키워드가 SCOPUS 데이타베이스에서 수집 되었다(http://www.scopus.com). 키워드의 특징은 한국 및 국제저널에 관하여서 자주 사용 되었던 키워드와 자주 사용되었던 독특한 키워드를 검증하는 연구이었다. 독특한 키워드란 한 분야에서는 나타나지만 다른 분야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키워드를 말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는 한국의 문헌정보 학의 연구주제와 연구특색을 보여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 일반적으로 한국 저널에서 사용 된 키워드는 도서관과 관련된 주제의 영역을 나타냈고, 국제 저널에 사용되는 키워드는 서지 측정법과 관련된 주제 영역을 나타냈다. 다) 빈번히 사용되었던 독특한 키워드에서도 이러한 전반적인 연구 테마를 명백히 나타냈다. 라) 어떤 키워드는 쓰이는 범위가 한 국가나 지역으로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이 연구의 중요한 시사점은 가장 자주 사용되는 키워드와 가장 자주 사용되는 독특한 키워드는 둘 다 문헌정보 학의 주제 영역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응급의료 영역 한국어 음성대화 데이터베이스 구축 (Building a Korean conversational speech database in the emergency medical domain)

  • 김선희;이주영;최서경;지승훈;강지민;김종인;김도희;김보령;조은기;김호정;장정민;김준형;구본혁;박형민;정민화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81-90
    • /
    • 2020
  • 본 논문은 응급의료 환경에서 음성인식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제 환경에서 데이터 수집 방법을 정의하고 정의된 환경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전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된 방법으로 수집되고 전사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 음성인식 실험을 진행함으로써 제안한 수집 및 전사 방법을 평가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든 음성은 기본적으로 16비트 해상도와 16 kHz 샘플링으로 저장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총 166건의 대화로서 8시간 35분의 분량이다. 수집된 데이터는 Praat를 이용하여 철자 전사, 음소 전사, 방언 전사, 잡음 전사, 그리고 의료 코드 전사를 수행하여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 텍스트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본 베이스라인 실험을 통하여 응급의료 영역에서의 음성인식 문제를 실제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데이터는 응급의료 영역의 1단계 데이터로서 향후 의료 영역에서의 음성인식 모델의 학습 데이터로 활용되고, 나아가 이 분야의 음성기반 시스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