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iseong Sub-basi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포텐셜필드의 스텍트럼대비법을 이용한 의성소분지의 지구조 연구 (Geologic Structure of Euiseong Sub-basin from Spectrally Correlated Geopotential Field Anomalies)

  • 김원균
    • 자원환경지질
    • /
    • 제33권3호
    • /
    • pp.217-228
    • /
    • 2000
  • We use spectral correlation method to analyze gravity and magnetic anomalies of Euiseong Sub-basin for distribution of rock facies and gelogic structures. The analysis reveals distinct polarity between gravity and magnetic anomaly correlation ; intermediate to mafic intrusives, extrusives, and the Tertiary basin shows positive gravity (+G) and positive magnetic (+M) correlation. Granitic gneiss and felsic volcanics negative gravity 9-G) and negative magnetic (-M) correlation. The Palgongsan granite, felsic to mafic extrusives and Mesozoic granites are characterized by -G and + M correlation. +G and -M correlations in the sedimentary formations are interpreted by uplift of pre-Cretaceous basement rocks . The + G and + M correlation characteristics in northeastern part of Euiseong Sub-basin including the Tertiary sedimentary basin result from the uplift of crustal materials. Major axes of spectrally correlated amomalies have mostly NW-SE or NE-SW directions. The former is due to the intrusives along strike-slip faults, and the latter which is observed in sedimentary formations is related to geological structures of basement associated new insight into the boundary between Euiseong and Milyang Sub-basin.

  • PDF

항공자력의 Analytical 이상을 이용한 의송소분지의 지구조 연구 (Geologica Structure of the Euiseong Sub-basin by Anlaytic Aeromagentic Anomaly Data)

  • 김원균
    • 자원환경지질
    • /
    • 제33권3호
    • /
    • pp.229-237
    • /
    • 2000
  • The structure of Euiseong Sub-basin and boundary of sub-basins were examined by analytical aeromagentci anomaly data. Magnetic lineaments have trends of NE-SW, NWW-SEE and NEE-SWW. The NE-SW lineaments in the sedimentary formations and pre-Cretaceous basement are assoicated with the direction of expansion of basin and the lineaments in the volcanic rocks and intrusives indicate the direction of structural weakness ones such as fault, which were major gateways of igneous activities. Euiseong Subbasin is bounded by pre-existing Andong Fault, pre-Cretaceous basement in the west, NE-SW lineament from Jyungsan to Angang, and NW-SE lineament connecting southwestern boundary of Palgongsan Granite and Jeokje Fault. In particular , the NW-SE lineament , which caused upheavel of pre-Cretaceous rocks, on Jeokje Fault is inferred as a boundary between Euiseong and Milyang Sub-basins.

  • PDF

의성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에 대한 대자율 이방성연구 (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 of Cretaceous Volcanic Rocks in Euiseong Area)

  • 석동우;도성재
    • 자원환경지질
    • /
    • 제27권4호
    • /
    • pp.411-420
    • /
    • 1994
  • Euiseong sub-basin, one of three sub-basins in Kyungsang basin, consists of various sedimentary and igneous rocks of Cretaceous age. Kusandong tuff and Yucheon volcanic rocks from the sub-basin were collected for the 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 (AMS) study. Maximum directions of the AMS for Kusandong tuff and Yucheon volcanic rocks are used to detect possible source areas. Although the dispersion of the maximum directions of the AMS, mainly due to low susceptibility and/or low percent anisotropy of individual specimens, is rather large, it is possible to reveal several source areas for the volcanic rocks. Areas near the Keumseongsan and Hwasan, calderas in the study area, are identified as source areas for Yucheon volcanic rocks, while the western part of Sunamsan, another collapsed caldera in Euiseong sub-basin, is inferred to be the source area for Kusandong tuff.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determine detailed source areas for groups of Yucheon volcanic rocks of different lithologies, because of poor degree of convergence of the maximum directions of the AMS results from the volcanic rocks. It is also concluded that several episodic volcanic activities centered at Keumseongsan and Hwasan calderas were responsible for the formation of Yucheon volcanic rocks in Euseong area.

  • PDF

위성 영상선구조의 지질학적 응용 - 의성소분지의 경우 (Geological Application of Lineaments from Satellite Images - A Case Study of Euiseong Sub-basin)

  • 김원균;김상완;원중선;민경덕;김정우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5-36
    • /
    • 2000
  •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선구조가 지질 및 지질구조와 연관되어 해석이 가능한 지 알아보기 위하여 의성소분지에서 추출된 선구조와 지표지질 조사 결과를 비교하였다.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선구조는 N20$^{\circ}$~30$^{\circ}$E, N60$^{\circ}$~70$^{\circ}$E, N60$^{\circ}$~70$^{\circ}$W의 주방향을 보이며, 이는 단층 주향 및 절리의 방향을 대표한다. 한편 퇴적층내의 선 구조들은 밀양소분지와 의성소분지의 경계인 팔공산융기대를 경계로 이북에서는 북북동, 서북서 방향이, 이남에서는 동북동 방향의 선구조가 우세하게 나타나, 퇴적상을 기준으로 결정된 기존의 경계와 잘 일치한다. 따라서 위성영상을 이용한 선구조는 광역지질구조 및 지표지질 연구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영양소분지에 분포하는 경상누층군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Paleomagnetism of the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in the Yongyang Sub-Basin)

  • 도성재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2호
    • /
    • pp.189-201
    • /
    • 1999
  • Paleomagnetic and rock magnetic investigations have been carried out for the Cretaceous Hanyang Group, exposed in the Yongyang Sub-Basins within the Kyeongsang Basin, eastern South Korea. A total of 452 oriented core samples was drilled from 31 sits for the study. The in-situ site mean direction is more dispersed than the mean direction after bedding correction, indicating that the fold test is positive at 95% confidence level. In addition, the stepwise unfolding of the characteristic remanent magfold test is positive at 95% confidence level. In addition, the stepwise unfolding of the characteristic remanent magnetization reveals that a maximum value of k is observed at 90% unfolding. Furthermore, the rock magnetic investigations and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of the representative samples show that the main magnetic carrier of the Hayang Group is the detrital specular hematite of single and pseudo-single domain sizes with negligible contribution of pigmentary hematite grains. These results collectively imply that the ChRM direction is the primary component acquired at the time of the formation of the strata. Provided the primary nature of the ChRM, a magnetostratigraphic correlation between polarities of the studied formation and the Geomagnetic Time Scale indicates that the Hayang Group in the Yongyang Sub-Basin can be correlated to the Cretaceous Long Normal superchron. The paleomagnetic pole position from this study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Hayang group in the Euiseong the Milyang sub-Basins. Rather the paleomagnetic pole position of the Hayang Group of the study area is closer to that of the Quaternary period or present time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hypothesized that the study area might be rotated about 25$^{\circ}$ ati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Euiseong and Milyang Sub-Basins after the formation of the strata and aquisition of the ChRM, although there is not enough geologic evidence supporting the rotation hypothesis.

  • PDF

의성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지층에 대한 고지자기 연구 (A Paleomagnetic Study of Cretaceous Rocks from the Euiseong Area)

  • 도성재;김광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27권3호
    • /
    • pp.263-279
    • /
    • 1994
  • Paleomagnetic and rock-magnetic data of Cretaceous sedimentary and volcanic rocks from the Euiseong area indicate that the stable components of remanence are carried by single and pseudo-single domain magnetite, with the exception of the Shinyangdong Formation which has been remagnetized. The Hayang Group, except for the remagnetized Shinyangdong Formation, yields the mean characteristic direction of $D/I=22.5^{\circ}/57.2^{\circ}$ (${\alpha}_{95}=4.6^{\circ}$, N=14 sites) and the pole position is $72.0^{\circ}N$, $206.4^{\circ}E$ ($dp/dm=4.9^{\circ}/6.7^{\circ}$). The Yucheon Group shows two polarities and the mean characteristic direction of $D/I=351.2^{\circ}/60.5^{\circ}$ (${\alpha}_{95}=11.2^{\circ}$, N= 19 sites) and the pole position is $81.3^{\circ}N$, $79.0^{\circ}E$ ($dp/dm=13.0^{\circ}/17.0^{\circ}$). The mean directions of both the Hayang and the Yucheon Groups are supported by the McElhinny's fold test at the 99% confidence level and that of the Yucheon Group by a reversal test at the 95% confidence level. A magnetostratigraphic correlation between polarities of the study formations and the Geomagnetic Time Scale indicates that the Hayang Group can be correlated to the Cretaceous Long Normal Superchron (CLNS), and the Yucheon Group to the boundary between the CLNS and the Polarity Chron 33R or later boundaries between normal and reverse polarities. Comparison of the paleopoles from this study with those from the surrounding areas both within the Gyeongsang basin and in the northeastern Asia indicates that the study area was not undergone significant tectonic rotations with respect to the other parts of the Gyeongsang basin and that the Korean Peninsula was the part of the single terrane of the northeastern Asia at least since the CLNS. The Yucheon Group can be divided into four sub-groups based on the paleomagnetic data, suggesting that there were at least four times of volcanic activities in the study area.

  • PDF

의성분지 동부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산암류의 화산층서와 암석학적 연구 (Volcanic stratigraphy and petrology of Cretaceous volcanic rocks in the eastern part of the Euiseong Basin)

  • 정종옥;좌용주
    • 암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38-253
    • /
    • 2000
  • 의성분지 동부지역의 중성~산성 화산암류는 백악기 퇴적층을 기반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후기의 화강암류와 암맥에 의해 관입당해 있다. 연구지역의 화산층서는 하부로부터 안산암 용암, 데사이트질 래필리 응회암, 데사이트질 유상 용암, 유문암질 층상 응회암, 유문암질 괴상 응회암, 데사이트질 괴상 용암, 유문암질 용결 응회암 순의 층서를 나타낸다. 안산암 용암을 덮고 있는 데사이트 조성의 화산암류는 화산활동의 특성으로 인해 본 역 북서부에만 분포한다. 화산암류의 전반적인 $SiO_2$함량은 51~74 wt%이며, $SiO_2$에 대한 각 산화물의 변화 경향을 보면, $SiO_2$가 증가함에 따라 $TiO_2$, $A1_2$$O_3$, MgO, FeOT MnO, CaO, $P_2$$O_{5}$ 는 감소하고, $K_2$O는 증가하며, $Na_2$O는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고 분산된다. 이는 경상분지 남동부 유천 소분지에서 나타나는 변화 경향과 유사하다. 지구화학적 구분에 의하면 연구 지역의 화산암류는 고-K에서 중-K 칼크-알칼리 계열에 해당되며, 또한 지판의 섭입과 관련된 호상열도형 화산암의 특징을 보여준다. 주성분 원소, 미량 원소, 희토류 원소의 변화경향으로부터 살펴본 화산암류의 지구화학적 특징은 화산암류가 유사 기원 물질을 가지는 마그마들의 사장석 분별정출작용에 의한 마그마 분화과정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나타낸다. 연구 지역 화산암류의 화산층서는 안산암에서 유문암, 그리고 데사이트에서 유문암으로 분화한 최소한 2개 이상의 마그마 펄스에 의한 화산활동과 마그마의 결정분화로 설명될 수 있다.달상태가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강암의 "결"과 미세균열의 방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최대 균열 변형율과 최소 균열 변형율의 비($\varepsilon$max/$\varepsilon$min)를 계산하였다. 그 비는 2.42에서 3.43까지의 높은 값을 가지는데, 이는 연구지역의 조립질 화강암류 석재에 발달되어 있는 미세균열은 대부분이 일정한 방향성을 보이는 입자내 균열임을 시사한다.분이 일정한 방향성을 보이는 입자내 균열임을 시사한다. 화학(化學)간장은 양조(釀造)간장은 비(比)해 철분함량(鐵分含量)이 높았다. 7. 시판(市販)간장중(中)의 철분함량(鐵分含量)은 제조원(製造元)에 따라 다양하나 총질소(總窒素) 1.0으로 환산(換算)하여 평균(平均) 62.7ppm이었으며 재래식(在來式) 간장의 철분함량(鐵分含量)은 평균(平均) 37.68ppm이었다.보건관리 5.67 시간,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5.52 시간, 사업 운영관리 및 지도 4.10시간, 지역사회 조직 및 개발 3.05 시간, 보건정보체계 개발 및 수집 2.94 시간, 사업계획 수립 2.89시간의 순으로 나타났다. 5) 보건진료원의 업무영역별 수행 소요시간의 상판판계를 살펴보면 지역사펴 조직 및 개발을 위 해 소요한 시간은 사엽계획 수립 소요시간 및 보건정 보체계 관리 소요시간과 순상관관계를, 사업 계획 수립 소요시간은 지역사회 보건관리,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관리 소요시간 및 보건정보체제 관리 소요시간과 순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통상질환관리 소요시간은 지역 사회 조직 및 개발, 사업계획 수립, 지역사회 보건관리와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관리, 사업운영 관리 및 지도, 보건정보체계 관리 소요시간과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6) 보건진료원의 총 업무수행 정도를 잘펴보면 업무수행 점수의 평균은

  • PDF

GIS에 의한 경북-대구지역 구성암류의 지질시대별 및 암종별 분포율 (Areal Distribution Ratios of Constituent Rocks with Geologic Ages and Rock Types by GIS in the Gyeongsangbug-Do and Daegu Areas)

  • 윤현수;이진영;양동윤;홍세선;김주용;이상헌
    • 암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8
    • /
    • 2010
  • 암석자원의 산업화 및 개발계획시 지질정보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ArcGIS 9.2를 사용하고 1 대 250,000 수치지질도 및 수치지형도를 기초로 하여 경북-대구지역 구성암류의 지질시대별 및 암종별 분포율을 도출하였다. 경북지역은 모두 10개의 지질시대별로 구분되며, 그 중에서 백악기, 선캠브리아기, 쥬라기, 제4기, 시대미상 및 제3기의 순으로 분포율이 감소한다. 이들은 도합 96.30%를 가져 그 대부분을 이룬다. 암종은 모두 86개이며, 그중 16개가 다소 우세하다. 여기에는 영남편마암복합체의 율리층군과 화강편마암, 소백산편마암복합체의 흑운모편마암, 시대미상의 화강암, 쥬라기의 대보화강암, 영양소분지의 가송동층과 도계동층, 의성 소분지의 낙동층, 춘산층과 중성 내지 염기성 화산암, 밀양소분지의 진주층, 진동층과 안산암 및 암산암질 응회암, 불국사관입암류의 각섬석화강암과 흑운모화강암 그리고 제4기의 충적층이 해당된다. 이들은 도합 64.04%를 가지며, 그 중 대보화강암의 13.14% 외에는 모두 2.07-6.53%의 좁은 범위의 분포를 이룬다. 기타 70개의 암종은 0.01-1.94%의 비교적 작은 분포를 이룬다. 이와 달리 대구지역은 백악기와 제4기로만 구분되며, 각각 86.05%와 11.39%의 분포를 이룬다. 암종은 모두 12개이며 그 중 7개에서 뚜렷이 우세하다. 이에는 진주층, 칠곡층, 함안층, 진동층, 안산암 및 안산암질 응회암, 각섬석화강암 그리고 충적층이 해당되며, 도합 93.04%를 가진다. 그중 안산암 및 암산암질 응회암이 37.40%로 크게 증가하며, 나머지 암종도 3.25-17.39%의 비교적 넓은 분포범위를 이룬다. 기타 5개의 암종은 0.22-1.81%의 작은 분포를 이룬다.

경북 의성군 금성면 제오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천연기념물 제373호) - 산상, 자연사적 가치 및 보존 방안 - (Dinosaur Tracksite at Jeori, Geumseongmyeon, Euiseonggun, Gyeongsangbukdo, Korea(National Monument No. 373) - Occurrences, Significance in Natural History, and Preservation Plan -)

  • 백인성;김현주;강희철;임종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1호
    • /
    • pp.268-289
    • /
    • 2013
  • 천연기념물 제373호 경북 의성군 금성면 제오리의 공룡발자국화석 산지를 대상으로 화석산지의 위치 및 규모, 층서, 퇴적층 특성, 산출화석, 퇴적구조와 지질구조 등 화석 이외의 특이 지질기록, 관련 연구문헌, 자연사적 가치, 보존 및 관리 상태 등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와 분석이 이루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이 화석산지의 발달규모 및 자연사적 중요성, 보존 및 관리 상태 등에 따른 가치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 화석산지의 보존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오리 화석산지는 의성소분지에 분포하는 앨비안(백악기 전기 말)의 시기를 갖는 경상누층군 사곡층이 분포하는 지역으로, 이 화석산지에는 12개의 용각류 보행렬, 10개의 조각류 보행렬 및 1개의 수각류 보행렬 등을 포함한 300여 개의 공룡 발자국이 보존되어 있다. 공룡발자국화석층은 판상으로 발달한 중립 내지 세립의 장석사암층과 이를 피복하는 이암박층, 엽층으로 교호하는 세립사암 내지 실트스톤과 이암, 셰일질 이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룡 발자국은 판상의 장석사암층 내에 간헐적으로 협재하는 엽층으로 교호하는 세립사암 내지 실트스톤과 이암 내에 보존되어 있고, 대부분 하흔의 상태로 나타난다. 이 발자국화석층은 건조 내지 아건조성 기후 조건에서 건기와 우기가 반복적으로 발달하는 계절성 기후하의 충적평원의 층상범람퇴적층으로 해석된다. 공룡발자국화석층 표면에는 북동 주향의 인장단열들이 밀집하여 발달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이 화석산지에서 관찰되는 공룡발자국들은 외견상 여러 층준에 걸쳐 산출되는 것처럼 보인다. 이 화석산지의 자연사적 가치는 1) 국내에서 공룡화석 산지로서는 처음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이 된 학술사적인 의미, 2) 1,600여 $m^2$의 좁은 범위 안에 다양한 종류의 공룡발자국이 300여 개 보존되어 있는 국내에서 매우 드문 높은 공룡발자국 산출밀도, 3) 단층의 발달 특성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현장 교육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지는 공룡발자국층에 수반된 인장단열 밀집 기록 등으로 요약된다. 이와 같은 제오리 화석산지의 가치를 시민 및 지역사회와 효과적으로 공유하기 위해 고환경 복원도와 화석층에 수반된 정단층 산상 설명 등을 비롯한 그림과 사진 등을 활용한 설명문의 입체화가 필요하며, 화석산지를 소개하는 소책자의 발간과 함께 화석산지의 자연사 및 사회적 가치에 대한 지역사회 홍보 및 계도가 필요하다. 이와 함께 탐방객들의 안전을 위해 이 화석산지 전면을 지나는 도로를 현재의 위치에서 최소한 10m 정도 남측으로 이동시켜, 탐방객들의 안전한 관찰을 도모함은 물론 체험학습의 공간 확보 및 차량통행에 의한 진동의 영향을 저감시키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