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commia ulmoides oliver leaf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두충나무(Eucommia ulmoides Oliver) 잎과 껍질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hanolic extracts of 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er) leaf and bark)

  • 김동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3호
    • /
    • pp.259-265
    • /
    • 2020
  • 두충나무(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er)의 잎과 껍질로 부터 얻어진 5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두충나무 잎과 껍질 추출물의 수율은 각각 8.1±0.31과 17.4±0.89%,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64.1±3.35와 42.4±2.38 ㎍ GAE/m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4.0±3.15와 36.7±3.18 ㎍ QE/mg으로 나타났다. 두충나무 잎과 껍질 추출물은 농도에 비례하여 양이온라디칼, 유리라디칼과 아질산염을 소거하였고, 환원력을 증가시켰으며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였다. 두충나무 잎과 껍질 추출물의 ABTS 양이온라디칼 소거에 대한 EC50값은 각각 560.6±17.65와 1,357.4±8.45 ㎍/mL이었고, DPPH 유리라디칼 소거에 대한 EC50값은 각각 574.2±14.70과 2,103.1±108.59 ㎍/mL로 나타났다. 또한 두충나무 잎과 껍질 추출물의 환원력에 대한 EC50값은 각각 319.9±13.42와 705.9±26.08 ㎍/mL였고, 아질산염 소거에 대한 EC50값은 각각 2,329.2±35.11과 5,467.6±243.92㎍/mL로 나타났다. 두충나무 잎 추출물은 74.8 ㎍/mL의 농도에서, 껍질 추출물은 177.2 ㎍/mL의 농도에서 linoleic acid의 과산화를 각각 70.0 및 79.1% 억제하였다. 두충나무 잎 추출물은 껍질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고 있었다.

두충으로부터 분리한 Iignan glycoside 의 ACE 활성 억제 (ACE Inhibitory Lignan Glycosides Isolated from Eucommia ulmoides Oliver)

  • 주옥수;남상해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98-704
    • /
    • 2009
  • 두충 (Eucommia ulmoides Oliver)으로부터 항고혈압 활성을 가진 유효물질을 분리하였으며, 두충의 잎, 껍질 및 줄기를 건조한 것과, 건조한 후 붉은 것에 대하여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을 실험하였다. 두충으로부터 분리 한 유효물질은 pinoresinol-4,4'-di-O-${\beta}$-D-glucoside (PG)와 dehydrodiconiferyl alcohol 4,${\gamma}$'-di-O-${\beta}$-D-glucoside (DAG)였으며, 이들은 각각 껍질과 잎에 많이 함유되 어 있었다. 즉 pinoresinol-4,4'-di-O-${\beta}$-D-glucoside (PG)는 자연 건조한 껍질에 135.12 mg%, 붉은 껍질에 163.94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dehydrodiconiferyl alcohol 4,${\gamma}$'-di-O-${\beta}$-D-glucoside (DAG)는 자연 건조한 잎에 117.43 mg%, 붉은 잎에 133.93 mg%로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ACE 억제활성은 볶은 잎, 말린 껍질 및 볶은 껍질을 10 mg/ml씩 처리하였을 때, 각각 77.49, 75.52 및 75.36%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두충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인 pinoresinol-4,4'-di-O-${\beta}$ -D-glucoside (PG)와 dehydrodiconiferyl alcohol 4,${\gamma}$'-di-O-${\beta}$-D-glucoside (DAC)를 1${\sim}$10 mg/ml 처리하였을 때에 는 67.1${\sim}$85.25% 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IC_{50}$값은 각각 0.6${\pm}$0.2, 0.5${\pm}$0.2 mg/ml 였다. 이것은 PG와 DAG가 두충에서 분리한 천연물임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두충 추출물이 DNCB로 유발된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과 산화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ucommia ulmoides Extracts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nd Oxidative Damage Induced by Repeat Elicitation of DNCB)

  • 손미예;남상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517-1522
    • /
    • 2007
  • 두충(잎, 껍질, 줄기)의 추출물이 DNCB로 감작된 4주령 BALB/c mouse 암컷에 유도된 접촉성 피부염의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림프절, 비장 및 흉선의 무게는 두충 투여군이 DNCB 대조군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두충 부위별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귀의 무게는 두충 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과 비교하여 무게에 함량 변화가 있었다. 두충의 부위별 추출물을 1,000 mg/kg 농도로 투여하면 귀의 무게는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까지 낮아졌으며, 귀의 두께는 두충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시간이 경과할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MDA 함량은 DNCB 대조군과 두충 투여군을 비교하였을 경우에, 간 조직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염증이 발생한 귀 조직에서는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 NO 함량은 SW, ST 및 BT 그룹에서 염증이 억제되어 대조군과 마찬가지로 측정되지 않았다.

미세먼지(PM2.5)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두충(Eucommia ulmoides Oliver) 잎의 in vitro 뇌 신경세포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Eucommia ulmoides oliver leaves against PM2.5-induced oxidative stress in neuronal cells in vitro)

  • 김민지;강진용;박선경;김종민;문종현;김길한;이효림;정혜린;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23-43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두충 잎의 분획물을 이용하여 미세먼지(PM2.5)로 유도한 in vitro 뇌 신경세포 독성에 대한 항산화 활성 및 세포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EFEL은 우수한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냈으며, 지질과산화물 억제활성에서 양성대조군인 catechin과 동일한 농도에서 유사한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EFEL은 미세먼지로 유도된 해마세포(HT22), 뇌신경세포(MC-IXC) 및 미세아교세포(BV-2) 내의 ROS 수준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주었으며, 세포 생존능을 증가시킴으로써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미세먼지로 활성화된 BV-2에서 EFEL은 세포 활성화와 관련된 세포막 수용체인 TLR4와 p-JNK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세포 사멸에 관여하는 caspase-3 활성화 전 단계인 procaspase-3와 세포 생존 경로에 관여하는 p-Akt 발현의 증가된 수준을 나타냈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써 증가된 TNF-α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EFEL의 생리활성 물질을 HPLC로 분석한 결과, rutin과 chlorogenic acid가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두충 잎의 아세트산에틸 분획물은 우수한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냄으로써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으며, 미세먼지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서 사멸 및 염증반응을 조절하여 뇌 신경세포를 보호하였다. 이를 고려할 때, EFEL은 미세먼지로 유도된 염증성 뇌신경세포 관련 질환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녹차와 두충 잎 추출물 처리에 따른 콩나물의 생장 및 형태적 특징 (Growth and Morphological Charactersistics of Soybean Sprouts Treated with Leaf Extracts of Thea sinensis L. and Eucommia ulmoides Oliver)

  • 강진호;박철종;윤수영;전승호;허창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16
    • /
    • 2005
  •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식물잎 추출물과 같은 천연물질을 처리한 콩나물이 시판되고 있다. 녹차잎 추출물을 처리한 콩나물과 상대적으로 세근형성을 더욱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두충잎 추출물의 처리호과를 비교하고자 녹차잎과 두충잎 추출물에 침종하여 재배한 콩나물의 재배일수에 따른 세근형성, 생장 및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두충잎과 녹차잎 추출물 처리 모두 풍산나물콩과 소원콩 보다는 준저리에서 하배축 길이가 7cm 이상의 비율이 현저히 낮은 반면, 발아는 되었으나 4cm 이하의 비율을 현저히 증가 시켰다. 이들 추출물 처리에 대한 하배축, 뿌리 및 전체길이, 하배축 중간과 hook부분 직경, 각부위 및 전체 생체중에 대한 품종별 반응도 하배축 구성 비율과 유사하였다. 2. 두충잎과 녹차잎 추출물 처리 모두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하배축 길이가 4~7cm, 4cm 이하 및 미발아개체의 비율 감소로 7cm 이상의 비율이 증가되었다. 하배축, 뿌리 및 전체길이, 하배축 중간과 hook부분 직경, 하배축과 뿌리 무게의 증가로 전체 생체중은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증가되었다. 3.녹차잎 추출물 처리에 비하여 두충잎 추출물 처리에서 세근형성이 지연되고 개체당 형성된 세근수도 적고 재배일수가 길어질수록 증가정도가 적었다. 하배축과 뿌리 길이, 하배축 굵기, 개체당 전체생체중에서도 녹차잎 추출물보다는 두충잎 추출물 처리에서 작고 적어 콩나물 생장에 대한 억제효과는 두충잎 추출물 처리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Eucommiae Cortex on Osteoblast-like Cell Proliferation and Osteoclast Inhibition

  • Ha, Hyek-Yung;Ho, Jinn-Yung;Shin, Sun-Mi;Kim, Hye-Jin;Koo, Sung-Ja;Kim, In-Ho;Kim, Chung-Soo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11호
    • /
    • pp.929-936
    • /
    • 2003
  • Methanol extract (MeOH), n-hexane (Hx), chloroform ($CHCl_3$), ethyl acetate (EA), butanol (BuOH) and aqueous ($H_2O$) fractions of Eucommiae Cortex including geniposidic acid (GA), geniposide (GP) and aucubin (AU) were tested for their therapeutic efficacy on osteoporosis. The contents of GA, GP and AU in the cortex and leaf of Eucommia ulmoides Oliver were quantified by HPLC. The effect of Eucommiae Cortex on the induction of growth hormone (GH) release was studied by using rat pituitary cells. The proliferation of osteoblast-like cells increased by herbal extracts was assayed using a tetrazolium (MTT),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and [$^3H$]-proline incorporation assays. The inhibition of osteoclast was studied by using the coculture of mouse bone marrow cells and ST-2 cells. As a result, the GA, GP and AU were present in the cortex more than in the leaf of E. ulmoides Oliver. The MeOH (1mg/mL), Hx, $CHCl_3$ and EA fractions (each 20 $\mu$ g/mL) had potent induction of GH release. The $CHCl_3$ exhibited the potent proliferation of osteoblasts. The AU, GP and GA were increased proliferation of osteoblasts. In addition, GA ($IC_{50}: 4.43{\times}10^{-7}$M), AU and GP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proliferation of osteoclast. In summary, it is thought that the components in a part of the fractions of Eucommiae Cortex participate in each step of mechanism for activating osteoblast to facilitate osteogenesis, and suppress osteoclast activity to inhibit osteolysis.

Tu-Chung Leaf Meal Supplementation Reduced an Increase in Lipid Accumulation of Chickens Stimulated by Dietary Cholesterol

  • Santoso, U.;Ohtani, S.;Tanak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2호
    • /
    • pp.1758-1763
    • /
    • 2000
  • The effect of tu-chung (Eucommia ulmoides, Oliver) leaf meal on reducing lipid accumulation in chickens fed 1% cholesterol containing diet was studied. Forty male White Leghorn chickens aged 56 days were weighed and divided into four groups of ten chickens, and fed diets with or without 1% dietary cholesterol which were supplemented with 0 and 5% tu-chung. Tu-chung supplementation to the diet without cholesterol increased acetyl-CoA carboxylase (p<0.01) but decreased 3-hydroxy-3-methylglutaryl-CoA reductase activities (p<0.01) with no effect on fatty acid synthetase activities. However, its supplementation to the diet with cholesterol had no effect on these three enzyme activities as compared with the cholesterol containing diet without tu-chung. Tu-chung supplementation to the diet without cholesterol increased hepatic triglyceride (p<0.01), whereas its supplementation to the diet with cholesterol decreased it (p<0.01). Tu-chung supplementation to the diet with cholesterol decreased plasma cholesterol ester, free cholesterol, phospholipids (p<0.05) and triglyceride (p<0.01) as compared with the cholesterol containing diet without tu-chung. Supplementation of tu-chung to the diet without cholesterol decreased plasma free cholesterol (p<0.05). It is concluded that tu-chung leaf meal reduced an increase in lipid accumulation in chickens stimulated by 1% cholesterol feeding.

두충잎 추출물 처리농도가 콩나물의 생장 및 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ucommia ulmoides Oliver Leaf Extract Concentration on Growth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s)

  • 강진호;박철종;윤수영;전승호;김희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7-20
    • /
    • 2005
  • 생장조절제가 아닌 천연물을 이용한 콩나물의 세근형성과 생장을 조절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세근의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두충잎 추출물의 처리농도(0, 5, 10%)가 콩나물 (풍산나물콩, 소원콩, 준저리)의 세근형성, 생장 및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처리농도를 5%에서 10%로 증가할 경우 하배축 길이가 7 cm 이상의 비율은 감소하는 반면, 하배축 길이가 4 cm 이하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하배축 길이가 7 cm이상의 비율은 풍산나물콩과 소원콩에 비하여 준저리에서 가장 낮았던 반면, 하배축 길이가 4 cm 이하의 비율은 7 cm이상의 비율과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2. 세근형성 비율은 풍산나물콩과 소원콩에서 처리효과가 미미한 반면, 준저리에서는 10%의 두충잎 추출물 처리에서 아주 낮았다. 한편 개체당 세근수는 공시품종 모두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소원콩, 풍산나물콩, 준저리 순으로 적어졌다. 3. 콩나물의 전체 길이는 차이가 없었던 풍산나물콩과 소원콩보다는 준저리에서 짧았으며, 공시품종 모두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하배축 직경은 품종간 반응에서 이와 유사하였으나,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굵어지는 경향이었다. 4. 개체당 전체생체중은 주로 하배축 생체중의 증가로 소원콩에서 가장 많았으며, 풍산나물콩, 준저리 순으로 적어졌다. 전체생체중은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하배축 생체중의 감소로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다양한 물질처리에 의한 콩나물의 세근형성 및 생장 (Lateral Root Formation and Growth of Soybean Sporouts Treated with Various Solutions)

  • 강진호;박철종;윤수영;전승호;홍동오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10
    • /
    • 2005
  • 콩나물의 품질은 세근형성 정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면서도 세근형성 억제용 BA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을 탐색하고자 풍산나물콩, 소원콩, 준저리 종자를 이용하여 녹차와 두충 잎, 옥수수 종자 추출물과 현재 콩나물 생산에 이용되고 있는 황토와 키토산이 콩나물의 세근형성, 생장 및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품성이 높은 하배축 길이가 7 cm 이상의 비율은 풍산나물콩과 소원콩보다 준저리에서 현저히 낮았던 반면, 상품으로 출하가 불가능한 하배축 길이가 4 cm 이하의 비율은 이와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은 여타 처리보다는 두충잎 추출물 처리에서 가장 현저하였다. 2. 두충잎 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소원콩에서는 세근이 대부분 형성되나, 풍산나물콩, 준저리 순으로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여타 처리에서는 품종간 차이가 없었다. 세근형성 개체의 세근수는 두충잎 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가장 적었으며, 키토산 처리를 제외한 여타 처리에서는 소원콩에서 가장 많았던 반면, 준저리에서 가장 적은 경향을 보였다. 3. 준저리에서 가장 짧았던 콩나물 길이는 녹차잎 추출물 처리에서 가장 길었던 반면, 두충잎 추출물 처리에서 가장 짧았다. 이러한 길이의 차이는 하배축과 뿌리 모두의 차이에 기인되었다. 4. 준저리에서 가장 적었던 개체당 전체생체중도 콩나물 길이와 유사한 길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