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clidian distance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초

WSN기반의 인공지능기술을 이용한 위치 추정기술 (Localization Esti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시우쿠마;전성민;이성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C권9호
    • /
    • pp.820-827
    • /
    • 2014
  • One of the basic problem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WSNs) is the localization of the sensor nodes based on the known location of numerous anchor nodes. WSNs generally consist of a large number of sensor nodes and recording the location of each sensor nodes becomes a difficult task. 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application environment, the nodes may be subject to mobility and their location changes with time. Therefore, a scheme that will autonomously estimate or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sensor nodes is desirable. This paper presents an intelligent localization scheme, which i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based localization scheme used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unknown nodes. In the proposed method, three anchors nodes are used. The mobile or deployed sensor nodes request a beacon from the anchor nodes and utilizes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of the beacons received. The RSSI values vary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and the anchor nodes. The three RSSI values are used as the input to the ANN in order to estimate the location of the sensor nodes. A feed-forward artificial neural network with back propagation method for training has been employed. An average Euclidian distance error of 0.70 m has been achieved using a ANN having 3 inputs, two hidden layers, and two outputs (x and y coordinates of the position).

컬러 카테고리 맵을 이용한 수정된 지역적인 색변환 (Modified Local Color Transfer with Color Category Map)

  • 하호건;경왕준;김대철;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9권3호
    • /
    • pp.67-73
    • /
    • 2012
  • 지역적인 영상의 색변환이란 영상에서 특정 색을 포함하는 영역을 추정하고 이를 원하는 색으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기존방법에서는 색차만을 이용해서 바꾸고자 하는 색을 포함하는 영역을 추정하고 이를 변환하였다. 따라서 변환되는 색 주변에서 원하지 않는 색결점(color artifact)이 나타나게 되었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이러한 색결점을 줄이기 위해 컬러 카테고리 맵과 수정된 color influence map을 결합한 지역적인 색변환 방법을 제안하였다. 컬러 카테고리 맵은 모든 색을 사람의 인지를 기반으로 11가지의 컬러 카테고리로 나눈 것으로서, 컬러 정보만을 이용해서 먼저 바꾸고자하는 색을 포함한 입력 영상의 지역 영역을 대략적으로 추정한다. 다음으로, 수정된 color influence map을 이용하여 인접한 영역의 색을 고려한 색변환 정도를 계산한다. 기존의 방법처럼 단순히 동일한 가중치를 주는 색차보다는 밝기와 색도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주어 수정된 color influence map을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각각의 컬러 카테고리 맵과 수정된 color influence map에 가중치를 결합하여 지역적인 영상의 색변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과 기존의 색변환 방법의 결과 영상을 비교해 보았으며, 제안한 방법에서 색결점이 적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obust Face Recognition under Limited Training Sample Scenario using Linear Representation

  • Iqbal, Omer;Jadoon, Waqas;ur Rehman, Zia;Khan, Fiaz Gul;Nazir, Babar;Khan, Iftikhar Ahmed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7호
    • /
    • pp.3172-3193
    • /
    • 2018
  • Recently,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linear representation based approaches are very effective and efficient for image classification. One of these linear-representation-based approaches is the Collaborative representation (CR) method. The existing algorithms based on CR have two major problems that degrade their classification performance. First problem arises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available training samples. The large variations, caused by illumintion and expression changes, among query and training samples leads to poor classification performance. Second problem occurs when an image is partially noised (contiguous occlusion), as some part of the given image become corrupt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also degrades. We aim to extend the collaborative representation framework under limited training samples face recognition problem. Our proposed solution will generate virtual samples and intra-class variations from training data to model the variations effectively between query and training samples. For robust classification, the image patches have been utilized to compute representation to address partial occlusion as it leads to more accurate classification results. The proposed method computes representation based on local regions in the images as opposed to CR, which computes representation based on global solution involving entire images. Furthermore, the proposed solution also integrates the locality structure into CR, using Euclidian distance between the query and training samples. Intuitively, if the query sample can be represented by selecting its nearest neighbours, lie on a same linear subspace then the resulting representation will be more discriminate and accurately classify the query sample. Hence our proposed framework model the limited sample face recognition problem into sufficient training samples problem using virtual samples and intra-class variations, generated from training samples that will result in improved classification accuracy as evident from experimental results. Moreover, it compute representation based on local image patches for robust classification and is expected to greatly increase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for face recognition task.

Analysis of cellular fatty acid methyl esters (FAMEs) for the identification of leuconostoc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 Lee, Jung-Sook;Chun, Chang-Ouk;Kim, Hong-Joong;Joo, Yun-Jung;Lee, Hun-Joo;Park, Chan-Sum;Park, Yong-Ha;Mheen, Tae-Ick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4권3호
    • /
    • pp.225-228
    • /
    • 1996
  • The cellular fatty acid methyl esters (FAMEs) analysis data obtained for clusters defined at a Euclidian distance of 17.5, in the class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described by Lee et al. (4), was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79 Leuconostoc isolates. The test strains were isolated using a selective isolation medium specific for the genus Leuconostoc. These strains were then characterized according to their fatty acid profiles. The results show that all seventy nine test strains were identified to the known Leuconostoc clusters B, C, and D. Cluster B had the highest relative amount of the saturated fatty acid 16 : 0. The saturated fatty acid 16 : 0 and summed feature 9 were found as a major components in cluster C, which had a higher level of summed feature 9 than cluster B. Cluster D is characterized by the highest relative amount of the unsaturated fatty acid 18 : 1 w9c. It is suggested that FAMEs analysis can be successfully applied in the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PDF

김치유래 젖산균의 균체지방산 분석을 이용한 분류학적 연구

  • 이정숙;정민철;김우식;이근철;김홍중;박찬선;이헌주;주윤정;이근종;안종석;박완;박용하;민태익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34-241
    • /
    • 1996
  • Two hundreds and thirty lactic acid bacteria, mostly isolated from Kimchi, including type strains were used for analysis of cellular fatty acids. The 230 test strains were recoverd in 7 major and 1 single clusters defined at Euclidian distance of 17.5. These aggregate taxa were equivalent to the genus Leuconostoc (aggregate group A, B, C and D), the genus Lactobacillus (aggregate group F), the genera Lactobacillus and Pediococcus (aggregate group E) and the genera Leuconostoc and Lactobacillus (aggregate group G). It is concluded as evident that FAMEs (Fatty Acid Methyl Esters) profile of cell can be used as a criterion in class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Additional comparative taxonomic studies need to be carried out on well chosen representative strains to determine the most appropriate methods of value.

  • PDF

Chemotaxonomic and Phylogenetic Study on the Olig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Forest Soil

  • Whang, Kyung-Soo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00년도 Proceedings of 2000 KSAM International Symposium and Spring Meeting
    • /
    • pp.150-156
    • /
    • 2000
  • Olig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forest soil showed a specific community consisting of various taxonomic groups compared with those in other soil or aquatic habitats. Based on the cell shape, the isolat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regular rod, curved/spiral rod, irregular rod, and prosthecate bacteria. The cellular fatty acids 60 oligotrophic isolates were analyzed. The 30 fatty acids which were identified or characterized are classified. At the dendrogram based on cellular fatty acid composition, four clusters(I-IV) were separated at a euclidian distance of about 50. Cluster 3 and 4-a strains were containing Q-8, these strains are accommodated in the Proteobacteria gamma and beta subdivision. The chemotaxonomic profiles of the cluster 4-a strains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ose of the genus Burkholderia. Cluster 3 wa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branched-chain fatty acids, iso-C15:0, iso-C17:1, and iso-C17:0 as the major components. These chemotaxonomy suggested the close relationship of the isolates with Xathomonas/Sterotrophomonas group. Based on the 16S rDNA sequence analysis, the two representative strains(MH256 and MA828) of cluster 3 showed the close relation to genera, Xathomonas/Sterotrophomonas, but were not included in these genera. These strains were even further away from core Xanthomonas, and clearly were seen to branch outside the cluster formed by the Sterotrophomonas maltophilia. MH256 and MA828 16S rDNA sequence was different enough to put new genus on a separate branch. The isolates with Q-10 were also studied. They are corresponded to the two large groups in Proteobacteria alpha subdivision. One was incorporated in the genus Bradyrhizobium cluster, which also includes Agromonas, a genus for oligotrophic bacteria. The strains of the other group showed high similarity to the genus Agrobacterium.

  • PDF

스티칭 영상의 객관적 영상화질의 평가 방법 (Objective Quality Assessment Method for Stitched Images)

  • 미어 사데크 빌라흐;안희준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27-234
    • /
    • 2018
  • 이미지 스티칭 기술은 일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파노라마와 같이 넓은 화각(Field of View)으로 만들어주는 기술이다. 약 20년정도 연구되어 왔으며, 최근에 특히 상용화 시스템들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제안 된 알고리즘에도 불구하고 객관적인 품질 평가 방법이 개발되지 않았으므로 알고리즘의 비교는 거의 주관적인 방식으로 만 수행되었다. 이 논문은 스티칭 또는 뒤틀린 이미지의 기하학적 및 광도 측정 왜곡을 평가하기위한 Delaunay 삼각분할방식을 사용하여 객관적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기준 이미지와 대상 이미지는 두 이미지 사이의 일치 지점을 기반으로 하는 델라 네이 - 삼각 측량에 의해 세그먼트 화되고, 평균 유클리드 거리가 기하학적 왜곡 측정에 사용되며, 측광 측정을 위한 PSNR의 평균 또는 막대 그래프가 사용됩니다. 우리는 몇 가지 테스트 이미지와 스티칭 방법을 통해 예비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이점과 적용을 입증한다.

경남지역 둥굴레속의 Cluster 분석에 의한 종간 유연관계 (Interspecific Relationship of Polygonatum Species Collected from Gyeongnam Area Using Cluster Analysis)

  • 심재석;박정민;전병삼;강진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0-34
    • /
    • 2005
  • 경남지역 자생 둥글레속 수집종의 유연관계를 규명하여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할용하고자 47개 수집종의 12개 형질을 대상으로 주성분 분석 및 average linkage cluster 방법으로 군을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성분 분석에서 줄기형태, 줄기색깔, 엽색, 포의 형태, 화색, 화형 등 12개 주요 형질의 주성분의 고유치에 기여율은 제3주성분까지 분석하여도 전체의 79%정도 설명할 수 있어서 47개 수집종의 분류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2. 47개 수집종의 12개 주요형질을 대상으로 average linkage cluster 방법에 의한 분석치으 거리 0.7을 기준으로 군을 분류한 결과 5개군으로 분류되었다. I군은 둥굴레, II군은 용둥글레, III군은 산둥굴레 및 퉁둥굴레 특성의 중간형태를 각각 지닌 p28과 p29였으며, 제V군은 죽대로 분류되었다. 3. 경남일대 둥굴레의 특성조사와 수집종 분류결과 둥굴레와 죽대는 종간 변이가 거의 없었던 반면, 용둥굴레, 퉁둥굴레와 산둥굴레는 다양한 변이종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강 유역을 대상으로 한 GIS 기반의 유역의 유사성 평가 (Catchment Similarity Assessment Based on Catchment Characteristics of GIS in Geum River Catchments, Korea)

  • 이효상;박기순;정성혁;최석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7-46
    • /
    • 2013
  • 유역의 수문학적 유사성 평가는 계측지역의 홍수량 정보를 미계측 유역에서 활용하는 지역화 연구의 기초로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GIS 기반의 유역 특성인자를 기반으로 대표적인 수문학적 거리산정법을 활용하여 금강유역의 25개 소유역을 대상으로 유역 그룹화를 수행하고, 이를 유황곡선의 관련 계수(저류계수, 갈수계수, 홍수계수, 풍수계수, 유황계수, 하상계수)를 바탕으로 한 결과와 비교하여 유역 유사성 평가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수문학적 거리산정을 위하여 영국의 FEH(Flood Estimation Handbook)에서 제안하는 유클라디안 거리법을 적용하였으며, 유황관련계수의 군집화를 위하여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계층적 군집분석의 Ward법을 적용하였다. 유역 그룹화를 수행한 결과 유역특성인자를 반영한 수문학적 거리(유사성 척도)에 의한 그룹은 총 3개(H1, H2, H3)이며, 유황관련계수에 의한 그룹은 총 4개(F1, F2, F3, F4)로 분류되었다. 두 그룹들을 대응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H1그룹의 7개 유역 중 6개 유역과 H3의 모든 유역이 F1그룹과 대응하였고 H2그룹의 5개 유역 중 4개 유역이 F2그룹과 대응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유사성 척도에 의한 유역 그룹화가 효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단지역 대기 중 PCBs의 오염농도 및 발생원 추정 (Source Estimation and Concentration Levels of PCBs in Ambient Air of an Industrial Area)

  • 김경수;송병주;박석운;김종국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85-389
    • /
    • 2005
  • 공단지역 대기 중 PCBs의 오염 수준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화 및 반월 공단 지역에서 PCBs를 측정하였다. 총 농도 및 WHO-TEQ 농도는 각각 $2,080{\sim}5,820$ (중앙값 2,760) $pg/m^3$$0.19{\sim}1.01$ (중앙값 0,42) $pgTEQ/m^3$으로 검출되었다. 동족체 조성에 있어서는, 고염소화 동족체(6염화물에서 10염화물까지)의 존재 비율이 다른 지역의 일반 대기시료에 비하여 높았다. 측정된 대기 시료를 PCBs의 발생원으로 알려진 소각로 배가스 및 Aroclor시료와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군집분석을 행하였다. 각 동족체 중 각각의 이성질체의 비율을 입력변수로서 이용하였다. 그 결과, 공단지역 대기 시료는 발생원으로 입력한 시료들과는 거리가 먼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되었다. 이것은 시화와 반월 공단 지역의 대기 시료는 지금까지 알려진 소각로 배가스나 Aroclor의 영향보다는 지역적인 특정 발생원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이성질체의 패턴 비교를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지역의 PCBs 발생원을 밝히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모니터링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