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yl butyrate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8초

Aspergillus kawachii 누룩으로 담금한 탁주 술덧의 발효 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kawachii Nuruks)

  • 이택수;최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44-950
    • /
    • 2005
  • Asp. kawachii균을 파종하여 만든 누룩으로 담금 한 탁주 술덧의 발효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GC와 GC/MS를 사용하여 분석 동정한 결과 ester 22종, alcohol 20종. acid 10종, aldehyde 8종, 기타 3종 등 63종의 향기 성분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향기성분 수는 담금 일에 ester 13종, alcohol 13종을 비롯한 총 32종이었으나, 발효 2일에 ester 6종, alcohol 3종을 포함한 13종이 추가 검출되어 45종으로 증가되었다. 발효 12일에는 63종으로 향기 성분수가 최대에 달하였다. Ethanol, 3-methyl-1-butanol, 2-methyl-1-propanol, benzeneethanol등 alcohol류 12종, ethyl acetate, ethyl caprylate, ethyl butyrate 등 ester류 12종, acetaldehyde, iso-butyl aldehyde등 aldehyde 3종, octanoic acid, 1,2-benzenedicarboxylic acid 등 acid 2종, 총 29종은 발효 전 과정을 통하여 검출되었다. 향기 성분의 면적비율은 ethanol이 72.18-91.32%로 발효 전 기간을 통하여 탁주 술덧에서 타 성분보다 월등히 높았다. Ethanol을 제외하고 발효 전 과정을 통하여 면적비율이 높은 성분은 ethyl caprylate, 3-methyl-1-butanol, benzeneethanol 이었다. 이외 발효기간에 따라서 2-methyl-1-propanol, 1-hexanol, 2, 3-butanediol(D.L), 1-dodecanol, 2-phenylethyl acetate, ethyl acetate, monoethyl butanoate, diethyl succinate, ethylbenzoic acid, acetic acid, iso-butylaldehyde 등의 성분도 동종 계열간의 향기성분 중 면적비율이 다소 높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GC-MS 를 이용한 전통민속소주의 향기성분 분석과 다변량통계해석 (Determination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Flavour Components in the Korean Folk Sojues Using GC-MS)

  • 이동선;박혜성;김건;이택수;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50-758
    • /
    • 1994
  • 우리나라 전통민속소주를 비롯한 중국산 카오리양츄, 스카치위스키, 일본산 소주틀 polydivinyl benzene으로 고체상추출 농축한후 GC와 GC-MS로 향기성분을 분석 하고 다변량통계해석을 적용하였다. 우리나라 민속소주에는 끊는점이 비교적 높은 ethyl succinate, ethyl pelargonate 와 같은 에스테르 향기성분함량이 높아 뒷맛을 느끼게 하는데 비하여 카오리양츄는 끊는점이 낮아 휘발성이 강한 ethyl acetate, ethyl butyrate등의 함량이 많아 처음맛이 강렬하게 느껴진다고 생각된다. 민속소주에는 furfural의 함량이 비교적 많았으며 전통민속소주에는 isopentyl acohol의 함량이 isobutyl acohol 또는 n-propyl alcohol 의 함량보다 상대적으로 많은데 비하여 카오리양츄는 n-propyl alcohol함량이 높온 차이를 보였다. 다변량통계해석학의 한 기범인 주성분분석을 적용한결과 민속소주는 제1주성분점수가 비슷하였으나 제2주성분점수는 편차를 보였으므로 전통민속소주로서외 공통점이 있으면서도 각 시료별로는 고유한 특성이 인정되었다. 주성분분석과 판별분석을 통하여 중류주 상호간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파악하므로서 분류동정 뿐만아니라 품질평가나 개선에 매우 유익한 객관적 정보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

  • PDF

Carpenter bee pheromone의 2-methyl-5(S)-hexanolide의 부분 입체선택적 합성 (The diastereoselective synthesis of 2-methyl-5(S)-hexanolide)

  • 장재혁;이상준;김정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1호
    • /
    • pp.25-29
    • /
    • 1994
  • Ethyl acetoacetate를 빵효모가 환원해 생산한 ethyl-(S)-3-hydroxy-butyrate(2a)를 키 랄 출발물질로 하여 수목에 피해를 끼치는 해충인 carpenter bee의 수컷이 분비하는 성 페로몬인 cis-2-methyl-5-hexanolide(1)을 diastereomer로 합성하였다. 역합성적 분석을 통한 합성계획으로부터 T-Goal로 Wittig반응을 잡고 출발물질을 환원하여 얻은 알데히드 4와 triethyl 2-phosphonopropionate(7)을 Horner-Emmons반응시켜 ${\alpha},{\beta}$-불포화 에스테르 5를 얻은 뒤 catalytic hydrogenation과 lactonization을 시켜 carpenter bee 페로몬 1을 전체수율 37%로 쉽고 간단하게 합성하였다.

  • PDF

용해도 파라미터에 의한 막과 esters 간의 친화도 예측 (Prediction of Affinity between Membrane and Esters Using Solubility Parameter)

  • 송근호;이광래
    • 멤브레인
    • /
    • 제24권6호
    • /
    • pp.484-490
    • /
    • 2014
  • FASs로 표면 개질한 소수성 막을 이용하여 수용액으로부터 에스테르 성분을 분리/농축 가능성을 알기 위하여, FASs (Fluoloalkyl-silanes-coupling agent)의 용해도 파라미터를 구하여 에스테르와 물의 용해도 파라미터와 비교하였다. FASs의 용해도 파라미터는 ${\delta}_t=16.9$이었으며, 에스테르(ethyl acetate ${\delta}_t=18.1$, propyl acetate ${\delta}_t=18.0$, ethyl propionate ${\delta}_t=17.9$, butyl acetate ${\delta}_t=17.4$, ethyl butyrate ${\delta}_t=17.0$)의 용해도 파라미터와 비슷하였다. 그러나, 물의 용해도 파라미터는 ${\delta}_t=47.8$이었으며, FASs의 용해도 파라미터(${\delta}_t=16.9$)와는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FASs로 표면 개질한 소수성 막이 물 보다는 에스테르 성분에 매우 큰 친화도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FASs로 표면개질한 알루미나 막을 통한 이들 에스테르 성분들의 투과플럭스에 대한 실험치는 용해도 파라미터에 의해 예측한 투과플럭스 크기의 순서와 거의 동일하였으며, 용해도 파라미터에 의한 투과플럭스 예측은 천연 향의 수용액으로부터 향의 주성분인 에스테르 성분을 분리/농축하는 데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사과 성숙(成熟) 및 저장중(貯藏中) 향기성분(香氣成分)의 변화(變化) -제일보(第一報). 과실(果實) 성숙중(成熟中) 향기성분(香氣成分)의 동정(同定) 및 정량(定量)- (Changes of Volatiles from Apple Fruits during Maturity and Storage -Part. I. Ident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Volatiles in the Fruits-)

  • 심기환;손태화;김명찬;강신권;박석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1호
    • /
    • pp.14-20
    • /
    • 1984
  • 우리 나라에서 비교적 생산량이 많은 사과과실 3품종(Fuji, 홍옥, 국광)을 대상으로 향기성분을 분리 및 동정하고, 또한 성숙시기별로 향기성분의 함량변화를 측정하였다. 향기성분은 30종 이상 분리되었고 그 중 ester 23종, alcohol 9종 및 aldehyde 2종을 동정하였다. 성숙중 향기성분의 종류와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1-butanol, isobutyl butyrate, 2-pentanol, ethyl valerate 및 hexanal 등의 함량이 많았다.

  • PDF

Seibel 포도즙 알코올 발효 및 저장 중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Seibel Grape Must during Alcohol Fermentation and Aging)

  • 고경희;장우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91-499
    • /
    • 1999
  • A great variety of the volatile metabolic by-products was formed in yeast cell during alcohol fermentation. The seibel grape (Vitis labrasca) which was grown in the Southern Korea used for win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during alcohol fermentation and aging at 12$^{\circ}C$.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Schizosaccharomyces pombe were inoculated and fermented in seibel grape must.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logarithmic, stationary and death phases were extracted, concentrated and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GC/MS).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a Hewlett-Packard 5890 II Plus GC which was equipped with Supelcowax 10 fused silica capillary column (60m$\times$0.32mm$\times$0.25${\mu}{\textrm}{m}$ film thickness) wall coated with polyethyleneglycerol. The scan detection method allowed the comparison of the spectrum from the chromatogram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to those in data Wileynbs base library. Among the volatile compounds collected by ether-hexane extraction method, the evolution of 20 main compounds, such as 9 esters (ethyl butyrate, isoamyl acetate, ethyl caproate, n-hexyl acetate, ethl caprylate, ethyl caprate, diethy succinate, ethyl hexadecanoate, 2-pheneethyl acetate), 4 alcohols (3-methyl-1-butanol, 1-hexanol, 1-heptanol, benzoethanol), 4 ketones and acids (2-octanone, caproic acid, caprylic acid, capric acid), 2 furan and phenol (2,6-bis(1,1-dimethyl ethyl)phenol, 2,3-dihydrobenzofuran) were observed during alcohol fermentation and aging. The production of the esters during alcohol fermentation with S. cerevisiae was higher than those of Sch. pombe. The sensory scores of the aged wine samples in aroma,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PDF

Kluyveromyces lactis에 의한 유청으로부터 과일향 성분의 생성 (Formation of Fruit Aroma Compounds from Whey by Kluyverumyces lactis)

  • 김소미;이형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36-541
    • /
    • 1991
  • 유당발효 효모인 Kluyveromyces lactis ATCC 8585를 이용하여 유청에서 과일향 풍미성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3차에 걸처 NTG를 처리하고 geraniol의 항균력에 내성을 지니는 변이주 중 모균주에 비해 yeasty-flavor는 약하나 fruity-flavor가 강한 변이주를 선발하고 K.lactis 450 K라 명명하였다. 3일간 배양시킨 발효액을 pentane-dichloromethane(2:1)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oleoresin을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한 결과, 모균주보다 변이주가 더 많은 종류와 양의 향기성분을 생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New Synthesis of 2-Substituted Imidazo[2, 1-b]thiazoles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 Mahfouz, A.Abdel Aziz;Elhabashy, F.M.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9-13
    • /
    • 1990
  • 4, 5-Diphenyl-2-mercaptiomidazole (I) was reacted with hydraziodyl halides IIa-d togive the S-alkyl derivatives III-a-d. Cyclization of IIIa-d afforded imidazo[2, 1-b]-thiazole derivatives Vla, b and VII. Treatment of 1 with a-chloroethylacetoaccetate (IV) gave ethyl 2(4, 5-diphenyl-2-imidazolinylthio)-3-keto-butyrate (V). Compound V coupled with benzendiazonium chloride to give the corresponding phenylhydrazo compound IIId. On heating V with polyphosphoric acid, cyclization took place and 2-acetyl-5, 6-diphenyl-imidazo [2, 1-b] thiazol-3-one (VIII) was obtained. The compound VIII was condensed with aromatic aldehydes to yield the cinnamoyl derivatives 1Xa, b.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ompounds IIIa-d, V, VIa, VII were examined.

  • PDF

새로운 심관관류 영상 화합물로서 $^{99m}Tc$-Ethyl-3-Isocyano-butyrate의 합성, 표지 및 체내동태에 대한 연구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Biodistribution of $^{99m}Tc$-Ethyl-3-Isocyanobutyrate as a New Myocardial Perfusion Agent)

  • 이명철;조정혁;이동수;임상무;오승준;정수욱;이경한;정재민;정준기;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23-232
    • /
    • 1993
  • Technetium labeled isonitrile analogues are widely used as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agents. We synthesized and characterized a new isonitrile compound, ethyl 3-isocyanobutyrate(EIB). Proton and $^{13}C$ NMR spectroscopy and thin layer chromatography with a $C_{18}$ coat was performed. EIB was easily labeled with $^{99m}TcO_4^-$- with sodium dithionite. The labeling efficiency measured by RP-HPLC was over 95%. The labeled product was stable with dilution in normal saline and with prolonged incubation at room temperature. There was no formation of secondary products or free $^{99m}TcO_4^-$. In vivo kinetics study of $^{99m}Tc$ (I) labeled EIB in rabbits showed adequate myocardial uptake, good contrast against lung background, and relatively rapid liver clearance. The heart to lung ratio was over 2.5 and the heart to liver ratio was approximately from 0.4 to 5 at 60 minutes post injection. Hepatic clearance of $^{99m}Tc-MIBI$ was faster ($t_{1/2}$=6 minutes) than that of $^{99m}Tc-MIBI$. In vivo kinetics observed in dog was similar to that in rabbit but there was faster gallbladder filling, and thus lower liver background. SPECT imaging of the canine myocardium showed favorable imaging characteristics. However, biodistribution in mice demonstrated a myocardial % injected dose/organ of less than 0.1%. This was thought to be due to interspecies difference in plasma esterase activity. In human plasma, $^{99m}Tc$ ( I ) labeled EIB was stable for at least 2 hours, without production of secondary products by HPLC. We conclude that ethyl 3-isocyanobutyrate may be a potential new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agent and deserves further investigation as to its usefulness for clinical use.

  • PDF

Kefir에서 분리한 Streptococcus thermophilus LFG를 이용한 우유 및 산양유 요구르트의 품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Cow Milk and Goat Milk Yogurts Fermented by Streptococcus thermophilus LFG Isolated from Kefir)

  • 임영순;이시경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87-795
    • /
    • 2013
  • Kefir제품으로부터 slime생성력이 우수한 Str. thermophilus LFG를 분리하여 이 유산균과 상업균주인 Str. thermophilus TH3 및 Str. thermophilus LFG와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LB12 혼합균주로 산양유 및 우유를 이용하여 발효유를 제조하고 제품특성을 조사하였다. 젖산 함량은 산양유 발효유(743.9-1043.8 mg/100 g)가 우유 발효유(441.6-709.9 mg/100 g)보다 높았다. 저장 중 발효유의 생균수는 Str. thermophilus LFG로 배양한 발효유에서 가장 높았다. 점도는 우유 및 산양유 발효유에서 Str. thermophilus LFG 균주를 사용한 발효유에서 가장 높았으며 Str. thermophilus TH3를 사용시에 가장 낮았다. 우유 및 산양유 발효유의 syneresis는 Str. thermophilus LFG를 이용한 발효유가 9.6-16.1%이었으나 Str. thermophilus TH3를 발효시킨 발효유는 28.2-31.8%이었다. 산양유의 향기성분으로 acetone, ethylbutanoate, ethyl-3-methyl butyrate, ethyl-2-butenoate, ethylhexanoate 등이 분리되었으며, 우유의 향기성분으로는 ethylbutanoate, acetone, 2-heptanone, acetoin 등이 분리되었다. 산양유 및 우유 발효유에서 acetic acid, butanoic acid, butanol, diethylcarbinol, acetone, diacetyl, decane, 2-methyl-3-pentanone, hexanal, 2-heptanone, acetoin, benzaldehyde, dimethyldisulfide, dimethyltrisulfide 등 14개의 성분이 검출되었다. 관능평가에서 Str. thermophilus LFG로 발효시킨 산양유 발효유가 우유 발효유보다 전반적인 기호도와 조직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혼합균주를 사용한 발효유에서 가장 높았으며 풍미특성도 향상 시키는 효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