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rous synchronization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6초

Trials to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Ovsynch Program Under Field Conditions in Dairy Cows

  • Jeong, Jae-Kwan;Choi, In-Soo;Lee, Soo-Chan;Kang, Hyun-Gu;Hur, Tai-Young;Kim, Ill- Hwa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00-204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presynchronization with GnRH 6 days before initiation of the Ovsynch program improved reproductive outcomes in dairy cows. Additionally, postponement of initiation of the Ovsynch program for cows during the metestrus phase by 5 days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if it improved reproductive outcomes. To accomplish this, 941 Holstein dairy cows with unknown estrous cycle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an Ovsynch group (n = 768; $100{\mu}g$ gonadorelin [a GnRH analogue], $500{\mu}g$ of cloprostenol [$PGF_{2{\alpha}}$ analogue] seven days later, $100{\mu}g$ gonadorelin 56 h later and timed artificial insemination [AI] 16 h after) and a G6-Ovsynch (n = 173) that received $100{\mu}g$ GnRH followed by the Ovsynch program 6 days later. Additionally, 272 dairy cows with known estrous cycle (metestrus stage) received the Ovsynch 5 days later (Day 5-Ovsynch group, n = 272). The odds ratio (OR) for pregnancy was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using the LOGISTIC procedure in SAS. The treatment group (p < 0.001) and AI season (p < 0.05) significantly affected the probability of pregnancy, whereas farm, cow parity, calving to AI interval, and body condition score had no affect (p > 0.05). The Day 5-Ovsynch group had a higher probability of pregnancy (OR: 1.71) than the Ovsynch group, while that of the G6-Ovsynch group was intermediate (p > 0.05). Cows inseminated during winter had a higher OR (1.39) than those inseminated during spring. Overall, additional GnRH treatment 6 days before the Ovsynch did not improve reproductive outcomes, whereas postponement of the initiation of Ovsynch by 5 days for cows during metestrus improved reproductive outcomes.

Embryo transfer of dorper breed to Mongolian sheep

  • Chuluunbayar Uuganbayar;Tsolmonbaatar Boldsaikhan;Byambasaikhan Danzan-Osor;Ho-Jun Lee;Sang-Hwan Kim;Enkhbolor Barsuren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26-230
    • /
    • 2022
  • The sheep can be reproduced by natural mating as well as applied reproductive biotechnology, embryo transfer (ET). However, this method in sheep is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season, photoperiod, latitude, temperature, nutrition, and breed. In addition, there is still less research on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in small ruminants, compared to other livestock species such as cattle and pigs. Because there has been a need for an optimization and a continuous improvement of ET techniques in small ruminants.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ception rate obtained after ET in Mongolian sheep (Dorper breed). After embryo recover, code 1 and 2 embryos (morula or blastocyst stage) for ET in the present study were 63% (63/100) and 24% (24/100), respectively. Then Each single embryo was transferred to a synchronized recipient who prepared by estrous synchronization protocol with fluorogestone acetate-cloprostenol sodium.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n average conception rate and lambing rate was 35.6% (31/87) and 33.3% (29/87), respectively. Further study is still necessary, bu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ingle embryo of Mongolian sheep with the present protocol was enough to conducting ET when the genetically superior sheep were necessary to be expanded.

Effects of Bovine Somatotropin (bST) Administration Combined with Controlled Internal Drug Release (CIDR) on Embryo Quality and Pregnancy of Hanwoo (Korean Native Beef Cattle) during Commercial Embryo Transfer Program

  • Lee, Ho-Jun;Hwang, Seongsoo;Yoon, Jong-Tae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2호
    • /
    • pp.194-199
    • /
    • 2007
  • Effects of recombinant bovine somatotropin (bST) on plasma hormonal concentration, embryo quality, and pregnancy rate were examined during the superovulation and synchronization treatment in donor and recipient cows. Hanwoos (Korean native beef cattle) were treated with controlled internal drug release (CIDR) combined with bST (CIDR+bST) or without bST (CIDR) as donor cows. The embryos recovered from donors were transferred into Holstein recipient heifers treated with bST (CIDR+bST) or without bST (CIDR) for synchroniz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IGF-I and P4 showed a positive pattern in the CIDR+bST group (r=0.44, p<0.01), but a negative pattern was shown in the CIDR group (r = -0.59, p<0.02) at day 7 of estrous cycles. Although the number of recovered, transferable, and degenerated embryos was not different, quantities of grade 1 (excellent) embryos in CIDR+bS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IDR group (p<0.01). The pregnancy rate was higher in the CIDR+bST recipient group compared to CIDR group (p<0.05), when the embryos were recovered from the donors treated with CIDR. However, the pregnancy was maintained highly in both recipient groups, when the embryos were produced by CIDR+bST treated donors. It can be concluded that bST administration combined with CIDR is an effective method for superovulation and synchronization treatment to stabilize plasma hormonal levels, to obtain excellent quality of embryos, and to get higher pregnancy rate.

Ovulation Synchronization in Water Buffaloes Guided by Milk Progesterone ELISA

  • Hoque, Md. Nazmul;Talukder, Anup Kumar;Kamal, Md. Mostofa;Jha, Ajit Kumar;Bari, Farida Yeasmin;Shamsuddin, Mohammed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5-109
    • /
    • 2011
  • Ovulation synchronization (ovsynch) has proved to increase the number of insemination in cattle by overcoming the problems of heat dete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o ovsynch in water buffaloes where heat detection is a major reproductive problem and to determine the conception rates after timed artificial insemination (TAI). Twenty cyclic buffaloes at ${\geq}$ 60 days postpartum were selected by examining 24 unobserved estrus buffaloes based on milk progesterone assay (progesterone concentration ${\geq}$ 1.0 ng/ml) from the Mymensingh district of Bangladesh. Ovsynch treatment regimen was started irrespective of the stage of estrous cycle. Gonadorelin (500 ${\mu}g$) was injected intramuscularly at Day 0 followed by Alfaprostol (8 mg) at Day 7. A second injection of Gonadorelin was given at Day 9 and TAI was done with frozen semen from Mediterranean buffalo bulls at 16~20 hours of the second Gonadorelin injection. Milk progesterone ELISA at Day 10~12 post AI confirmed ovulation in 16 out of 20 (80%) buffaloes (progesterone concentration ${\geq}$ 1.0 ng/ml). High progesterone concentration (${\geq}$ 1.0 ng/ml) at Day 10~12 and Day 22~24 of AI showed pregnancy in six out of 20 (30%) buffaloes. Pregnancy was further confirmed by ultrasonography at Day 40 in these six buffaloes. In conclusion, ovsynch followed by TAI could be applied in cyclic buffaloes for overcoming the estrus detection problems; however, more studies are needed to increase the conception rate.

Efficiency of Heatsynch Protocol in Estrous Synchronization, Ovulation and Conception of Dairy Buffaloes (Bubalus bubalis)

  • Mohan, Krishna;Sarkar, M.;Prakash, B.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6호
    • /
    • pp.774-780
    • /
    • 200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test the efficacy of induction of estrus and determine the timing of ovulation in relation to preovulatory LH and estrogen surges in cycling Murrah buffaloes subjected to Heatsynch protocol (GnRH-$PGF_2{\alpha}$-Estradiol benzoate). In experiment 1, the buffaloes (n = 10) were treated with Heatsynch protocol and observed for estrus and ovulation. In experiment 2 and 3, 30 cycling Murrah buffalo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Heatsynch protocol in terms of conception rates in summer (experiment 2) and winter (experiment 3) seasons. Fixed time A.I. was performed in all the buffaloes at 48 and 60 h post-estradiol benzoate (EB) injection. All buffaloes responded to the Heatsynch protocol with expression of estrus for which ovulations were induced in 8 buffaloes (80%). Mean time interval from the EB injection to ovulation was 50.0${\pm}$2.0 h (range 44.0 to 60.0 h). The interval from the end of LH surge to ovulation was 18.5${\pm}$2.47 h (range 8 to 26 h). The interval from end of estrogen surge to ovulation was 26.75 ${\pm}$2.07 h (range 22 to 36 h). Mean LH peak after EB injection occurred at 20.81${\pm}$1.61 h (range 14 to 28 h) and mean estrogen peak after EB injection occurred at 9.62${\pm}$1.03 h (range 7 to 16 h). Hence, the mean estrogen peak preceded the mean LH peak by 11 h. It was observed that the percentage of conceptions to total number of estruses for control buffaloes was 18 and 30 in summer and winter, respectively, whereas it increased to 26 and 40 in Heatsynch treated buffaloes in respective seasons. Th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Heatsynch treatment followed by fixed time A.I. in buffaloes for fertility improvement, especially since the incidence of silent heat in buffaloes is very high.

MGA Feeding System에 의한 발정 동기화 방법이 한우의 발정 발현율과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Estrus Induction Rates and Conception Rates by MGA Feeding System in Hanwoo)

  • 이명식;정영훈;박수봉;임석기;박정준;정진관;문승주;김창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7-182
    • /
    • 2006
  • 본 연구는 $MGA+PGF_{2{\alpha}}$ 투여에 의한 발정 동기화 방법이 한우의 혈청 $P_4$ 수준, 발정 발현율과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첫째로, 한우 미경산우에서 $MGA+PGF_{2{\alpha}}$ 투여가 혈청 $P_4$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우 미경산우 10두 및 프리마틴 1두에 대하여 MGA를 1일 0.5 mg을 14일간 오전 배합 사료에 섞어 급여하였으며, 19일이 경과한 후에 $PGF_{2{\alpha}}$ 25 mg을 투여하였다. MGA feeding 후 혈청 $P_4$ 농도 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MGA 급여 기간과 급여 종료 후 발정이 관찰될 때까지는 3일 간격, $PGF_{2{\alpha}}$ 투여 시, 발정 및 인공 수정 시, 인공 수정 후 15일째 및 2개월째에 혈액을 채취하였다. 한우 미경산우의 혈청 $P_4$ 수준은 MGA급여 7일 이후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투여 9일차에는 5.4 ng/ml로써 이후 상승된 상태에서 유지되었다. $PGF_{2{\alpha}}$ 투여시점인 33일차에는 7.6 ng/ml 수준으로 피크를 나타냈고, 투여 2-3일이 경과하고 발정이 발현됨에 따라 1.4 ng/ml로 급강하하는 양상을 보였다(p<0.05). 그러나 프리마틴의 경우에는 시험 기간 동안 P4수준의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다. 둘째로, 한우 미경산우 및 경산우 194두를 이용하여 상기한 $MGA+PGF_{2{\alpha}}$ 투여 방법(n=104)과 대조군으로 $PGF_{2{\alpha}}$ 투여(11일 간격 2회 투여, n=90)에 따른 발정 발현율 및 수태율을 비교하였다. 발정 발현율은 대조군인 $PGF_{2{\alpha}}$ 투여군 72.2%에 비해 $MGA+PGF_{2{\alpha}}$ 투여군에서 91.3%로써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인공 수정 후 수태율은 $MGA+PGF_{2{\alpha}}$ 투여군이 $PGF_{2{\alpha}}$ 투여군에 비해 1회 수정 수태율(51.1 vs. 59.6%), 2회 수정 수태율(77.8 vs. 84.6%) 및 전체 수태율(88.9 vs. 94.2 %)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MGA+PGF_{2{\alpha}}$를 이용한 발정 동기화 방법은 $PGF_{2{\alpha}}$ 투여법에 비해 높은 발정 동기화율 및 수태율을 나타냄으로서 한우의 번식 능력 향상에 적절히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복제 산양(진순이)의 체세포 핵이식에 의한 Re-Cloning에 관한 연구 (Re-Cloning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from a Cloned Korean Native Goat)

  • 정수영;박희성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9-95
    • /
    • 2007
  • 본 연구는 재래 산양의 체세포 핵이식에 의하여 생산한 복제 산양(진순이)의 조직으로부터 공여 핵을 배양하여 다시 핵이식을 실시하여 재복제에 따른 융합율과 분할율, 이식 후의 수태율 등을 조사하여 재복제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여 세포는 귀 유래 섬유아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사용하였으며, 체내 성숙 난자는 성숙한 미경산 재래 산양에 과배란을 유기하여 외과적인 방법으로 난관 관류를 통해 회수하여 핵이식을 실시하였다. 핵이식란의 융합은 전기 자극 방법으로 실시되었으며, 융합이 완료된 핵이식란의 활성화 처리는 핵이식 3시간 후에 Ionomycin과 6-DMAP를 병용 처리하여 실시하였다. 복제 수정란의 체외 배양은 0.8% BSA가 첨가된 mSOF 배양액으로 $2{\sim}4$ 세포기까지 체외 배양을 실시한 다음 수란 산양의 난관에 외과적으로 이식하였다. 임신 진단은 발정일로 부터 제 30일과 60일째에 초음파 임신 진단기로 임신 진단을 실시하고, Progesterone농도는 이식 후 21일째와 63일째의 혈액을 채취하여 RIA 방법으로 검사하였다. 체세포 핵이식에 의한 재복제란(2nd)을 전기 자극에 의한 융합을 1회 실시하였을 때 융합율은 65.9%로서 복재란(1st)의융합을 51.0%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며, 2회 전기자극을 실시하였을 때는 각각 77.4 및 63.9%로서 차이가 없었으나, 3회 재복제란 융합율도 87.5%로서 복제란의 70.1%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재복제 융합란의 분할율은 56.0%로j 복제 융합란의 77.7%보다 낮았다. 재복제란을 수란 산양에 이식을 실시하여 임신 제21일과 63일째 임신 진단을 실시하였을 때 수태율을 수란 산양의 발정유기 방법에 따른 수태율에 있어서 재복제란의 21일째 수태율은 39.3%로서 복제란의 17.4%보다 높았으며, 63일째는 각각 14.3 및 13.0%로서 복제 회수에 따른 수태율의 차이는 없었다. 수란 산양의 발정 유기 방법에 있어서 제 21일째에 자연발정이 발현된 수란 산양의 수태율은 45.4%로서 인위적으로 발정 동기화를 유도한 수란 산양의 35.3%보다 높았다. 제 63일째는 각각 18.2 및 11.8%로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재래 산양의 체세포 핵이식에 의한 복제효율에 있어서는 복재와 재복제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수란산양의 발정 동기화 방법에 따른 수태율에 있어서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앞으로 재래 산양의 복제 효율 개선을 위해서는 양질 난자의 다량 확보, 산양 수정란의 체외 배양 체계 확립, 이식 기법의 개발 등에 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공핵 세포 및 발정 동기화가 복제 재래 산양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onor Cells and Estrus Synchronization on the Production of Cloned Korean Native Goat)

  • 박희성;김태숙;정수영;박준규;이지삼;정장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7-146
    • /
    • 2006
  • 본 연구는 공여 세포의 종류, 수핵 난자의 유래 및 수란 산양 발정 동기화 조건이 복제 산양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공여 세포는 귀 유래 섬유아세포를 분리 배양하여 사용하였으며, 체내 성숙 난자는 성숙한 미경산 재래 산양에 과배란을 유기하여 외과적인 방법으로 난관 관류를 통해 회수하였으며, 배란이 되지 않은 난포란은 난포로부터 흡입 채취한 후, 22시간 동안 체외 성숙을 실시하여 사용하였다. 핵이식은 zona drilling 후, 극체와 세포질 일부분 제거를 통해 제핵을 실시하고, 핵이 제거된 난자의 위란강 내로 공핵 세포를 도입하여 실시하였다. 핵이식란의 융합은 전기 자극 방법으로 실시되었으며, 융합이 완료된 핵이식란의 활성화처리는 핵이식 3시간 후에 Ionomycin과 6-DMAP를 병용 처리하여 실시하였다. 복제 수정란의 체외배양은 0.8% BSA가 첨가된 mSOF 배양액으로 $2{\sim}4$ 세포기까지 체외 배양을 실시한 다음 수란 산양의 난관에 외과적으로 이식하였다. 임신 진단은 초음파 임신 진단기로 이식 후 제 30일과 60일에 실시하였다. 귀세포를 공핵 세포로 사용하였을 때 융합율이(63.8 VS. 26.5%) 태아 세포를 사용했을 때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총 102개의 복제 수정란을 20두에 이식하였으며, 30일에 4두(20.0%)가 임신하였으며 이중 1두가 1두의 복제 산양을 생산하였다. 수란 산양과 공란 산양간의 발정 동기화 간격(${\pm}0$ 또는 +12시간)별 수태율은 각각 18.2 및 16.7%로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수란 산양의 발정 유기 방법에 따른 수태율에 있어서 CIDR 제거 후 hCG 및 PMSG를 투여하였을 때는 25%가 수태하였으나, hCG만 투여한 수란 산양은 수태가 되지 않아 인위적으로 발정 동기화된 수란 산양을 이용하였을 때는 산자를 생산하지 못했다. 자연 발정 산양의 경우, 발정이 동기화된(${\pm}0$) 수란 산양 1두에 체내 성숙 난자를 수핵란으로 사용하여 생산한 5 개의 복제 수정란을 이식하여 149일만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복제 산양(진순이) 생산에 성공하였다. 체외 성숙 난자를 수핵란으로 사용하여 생산된 복제 수정란 5개를 이식하였으나 수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재래 산양의 체세포 핵이 식에 의한 복제 산자 생산에서 보다 효율성을 높이고 수태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건은 체내 성숙 난자를 수핵 난자로 이용하여 공란 산양과 발정이 동기화된(${\pm}0$) 자연 발정 수란 산양에 복제 수정란을 이식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Reproductive Responses of Awassi Ewes Treated with either Naturally Occurring Progesterone or Synthetic Progestagen

  • Husein, Mustafa Q.;Kridli, Rami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9호
    • /
    • pp.1257-1262
    • /
    • 2002
  • The objective was to identify the appropriate form of progesterone, which exhibits compact reproductive responses in Awassi ewes during mid to late seasonal anestrous period. Forty-eight Awassi ewe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four groups to be treated with 60 mg medroxyprogesterone acetate (MAP), 30 mg fluorogestone acetate (FGA), 40 mg FGA, or 600 mg progesterone sponges. After a 12 day period, sponges were removed and ewes were administered i.m. with 600 IU PMSG (d 0, 0 h). Five harnessed Awassi rams were turned-in with the ewes to detect heat. Ewes were checked for breeding marks at 6 h intervals for 5 day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ll ewes for analysis of progesterone concentrations. Pretreatment (d -13 and -12) progesterone concentrations were ${\leq}0.2ng/mL$ among all ewes and were indicative of seasonal anestrous period. On d 0, progesterone concentrations were elevated to $1.4{\pm}0.1ng/mL$ in ewes received progesterone sponges only and were higher (p<0.0001) than those (${\leq}0.2ng/mL$) administered MAP or FGA sponges. Progesterone concentrations returned to their basal values of <0.2 ng/mL within 24 h of sponge removal and were similar (p>0.1) among all ewes. Incidence of estrus was similar (p>0.1) among the four groups and occurred in 75% (9/12), 82% (9/11), 67% (8/12) and 58% (7/12) of the ewes receiving MAP, 30 mg FGA, 40 mg FGA and progesterone sponges, respectively. Estrous responses occurred 14.7, 20 and 13.6 h earlier in progesterone-sponge-treated ewes than those of MAP- (p<0.04), 30 mg FGA- (p<0.01) and 40 mg FGA-treated (p=0.06) ewes, respectively. Induced estrus conception rates were 50% (6/12), 55% (6/11), 50% (6/12) and 42% (5/12), out of which 4/6, 4/6, 3/6 and 3/5 lambed 151 days following d 0, and were similar (p>0.1) among ewes of the four treatment groups. Ewes that returned to estrus 16 to 20 days following d 0 were 5/12, 5/11, 6/12 and 4/12 ewes treated with MAP, 30 mg FGA, 40 mg FGA and progesterone sponges, respectively, and all lambed 169 days later. Overall lambing rates were 75% (9/12), 82% (9/11), 75% (9/12) and 58% (7/12) ewes treated with MAP, 30 mg FGA, 40 mg FGA and progesterone sponges, respectively. Results demonstrate that applications of MAP, 30 mg FGA, 40 mg FGA and progesterone sponges Awassi ewes were equally effective in induction of estrus and tended to favor both types of FGA and MAP in overall lambing rates over progesterone sponges during the seasonal anestrous period.

한우 인공수정시 rbST 투여가 수태 및 분만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bST Administrations at Artificial Insemination on Conception and Parturition Rates in Hanwoo)

  • 한만희;최선호;최연호;김현종;조상래;최창용;류일선;손동수;연성흠;우제석;권응기;윤기영;장병선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7-184
    • /
    • 2005
  • 본 연구는 정상 및 저수태 한우에 rbST를 투여하였을 때 수태 및 분만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축은 성빈 한우 383두와 임상적으로는 정상이나 3회 이상 수정시켜도 수태가 되지 않는 저수태 한우 79두, 총 462두를 시험에 공시하였다.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시험구 배치는 5개의 처리구, 즉 T1(무처리, 2ml의 생리 식염수), T2(rbST 250mg 수정시 1회 미근부에 투여), T3(rbST 250mg: 수정시 및 수정후 $10\~14$일째 2회 투여), T4(rbST 500 mg: 수정시 1회 투여) 및 T5(rbST 500mg: 수정시 및 수정후 $10\~14$일째 2회 투여)로 나누어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호르몬과 병행 처리구는 Day 0일에 GnRH 100 ug/cow를 견갑부에 피하주사하고 Day 7일째 $PGF_2{\alpha}\;25mg/cow$를 주사하여 황체를 퇴행시키고, Day 9일째 GnRH 100ug/cow를 주사하여 배란 동기화를 유도하여 시험에 공시하였다. 1. 정상 한우에 인공수정시 rbST를 T1, T2, T3, T4 및 T5로 처리하였을 때, 1회 수정 수태율은 대조구$(52.4\pm9.72\%)$에 비하여 $T2(67.5\pm18.48\%)$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저수태우에서는 대조구$(39.3\pm12.89\%)$보다 $T4(63.3\pm5.77\%)$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태율을 나타냈다.(p<0.05). 또한, 정상 한우의 분만율에 있어서는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저수태우에서는 $T4(46.7\pm11.55\%)$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성적을 나타냈다(p<0.05). 2. Ovsynch 방법으로 발정을 유기하여 인공수정시 rbST를 T1, T2, T3, T4 및 T5로 처리하였을 때, 1회 수정 수태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T2에서 $12.5\%$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저수태우에서는 $T4(80.0\%)$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태 율을 나타냈다(p<0.05). 3. 정상 한우에 인공수정시 rbST를 T1, T2, T3, T4 및 T5로 각기 처리하였을 때, 임신 기간은 평균 $282.7\~284.8$일이었고, 또한 생시체중의 비교는 평균 $25.1\~25.9kg$으로서 처리 구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송아지의 암수 성비는 T4 처리구(18두 vs. 9두)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저수태 한우의 평균 임신 기간은 $280.4\~289.3$일로서 정상우와 비교했을 때 비슷한 결과를 보였고, 또한 생시 체중의 조사 결과에서도 평균 체중이 $23.0\~26.6kg$으로서 각 처리구간에도 유의성은 없었다. 송아지의 암$\cdot$수의 성비는 T4 처리구(2두 vs. 8두)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상 및 저수태 성빈 한우에 rbST를 투여한 후 수태율과 분만율을 조사한 결과 인공수정시 정상우에서는 rbST를 250mg 1회 투여, 그리고 저수태 한우에 있어서는 rbST를 500mg을 인공수정시 1회 투여하였을 때가 다른 처리구에서 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인공수정시 일정량의 rbST투여는 한우의 수태 및 분만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