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radiol concentration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1초

흰쥐 착상시기에 자궁내 난소 홀몬 수용체와 Prostaglandin 및 cAMP 농도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ncentrations of Receptors for Ovarian Steroids, Prostaglandins and cAMP in Uterine Tissue during the Period of Implantation in Rats)

  • 윤미정;유경자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4권1호
    • /
    • pp.43-49
    • /
    • 1987
  • In the present study, hormonal changes in uterine tissue and circulation were evaluated during the implantation period in ra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 by which implantation takes plac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Concentrations of serum estradiol and progesteron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n days 4 and 5. 2. Concentration of estrogen receptor reached maximum on day 5 when implantation normally occurred in rats. On the other hand, progesterone receptor was gradually decreased, reaching the lowest on day 5. 3. Uterine PGs and cAMP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n day 5. 4. Uterine PGs and cAMP concentrations in implant site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in non-implant sites. It is, therefore, concluded that prostaglandins and cAMP in uterine tissue as well as circulating ovarian steroid hormones were increased during the period of implantation, suggesting that these hormones might be actively involved in the process of implantation in rats.

  • PDF

Effects of Al and Cd on Vitellogenin mRNA Induction by Estradiol-17$\beta$ in the Primary Culture of Hepatocytes in the Rainbow Trout, Oncorhynchs mykiss

  • Hwang, Un-Gi;Park, Kie-Young;Kang, Ju-Chan;Pyung Chin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85-186
    • /
    • 2001
  • Recently, industrial activities have increased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sulfur and nitrogen oxides, resulting in acidification in the environments. In addition, acidification accelerates the mobilization of metals that are toxic to fish and increases their concentrations in the aquatic environment. Increased metals may interfere with reproductive physiology in fish. Al and Cd are such metals that impaired the preduction of Vitellogenin (VTG), a egg yolk precursor proteins. (omitted)

  • PDF

녹용 추출물 투여가 골다공증 유발 Rat 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I. 녹용 추출물 투여가 골다공증 유발 Rat 의 혈청내 호르몬, Ca, P, ALP 수준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Effects of Antler Extract in Osteoporosis-Induced Rats I. Effects of Antler Extract on Hormones, Ca, P and ALP Levels in Osteoporosis-Induced Rats)

  • Kim, S. K;Kim, S. W.;Kim, M. S.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9-188
    • /
    • 2000
  • 본 연구는 골다공증유발 rat에 녹용추출물의 투여가 예방 및 치료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양측 난소를 적출한 후 골다공증이 유발된 rat에 암, 수녹용 추출물 625, 1,250 mg/kg을 5 주간 투여하면서 혈청중 estradiol, progesterone, calcitonin, osteocalcin 농도와 Ca, P 및 ALP 함량변화등을 조사하였다. 1. 난소적출 후 골다공증이 유발된 rat에 암, 수녹용 추출물 625mg/kg, 1,250 mg/kg을 각각 투여했을 때 혈청내 estradiol 수준은 난소적출군이 20.80$\pm$1.86~40.50$\pm$pg/$m\ell$로서 정상대조군의 49.50 :t2. 70-50.80 :t3.13 pg/$m\ell$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p<0.05). 2. 골다공증 유발 rat 에 암 수녹용 추출물 625 mg/kg, 1,250 mg/kg을 각각 투여했을 때 혈청중 progesterone 수준은 정상대조군의 50.90$\pm$3.63~53.40$\pm$2.74 ng/$m\ell$에 비하여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골다공증 유발 rat 에 암, 수녹용 추출물 625 mg/kg, 1,250 mg/kg을 투여했을 때 혈청중 calcitonin 수준은 정상대조군의 0.64$\pm$0.03~0.68$\pm$0.04 pg/$m\ell$에 비 하여 약간 높은 증가를 나타냈으며 특히, 난소적출군은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감소를 나타냈다. 4. 골다공증 유발 rat 에 암, 수녹용 추출물 625 mg/kg, 1,250 mg/kg을 각각 투여했을 때 혈청중 osteocalcin 수준은 정상대 조군의 0.28$\pm$0.02 ~0.31$\pm$0.02 ng/$m\ell$에 비하여 약간 높은치를 나타냈다. 한편, 암, 수녹용 추출물의 처리군의 osteocalcin 치는 암컷녹용 추출물처리군이 약간 높았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5. 골다공증유발 rat에 암, 수녹용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혈청중 Ca, P 함량은 각각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약간 높은 치를 나타냈으며, 난소적출 무처치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p<0.05). 6. 골다공증유발 rat에 암, 수녹용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혈청중 ALP 함량은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증가치를 나타냈으며, 암, 수사슴녹용 추출물의 처리군중 대조군과 FA1,250 처리군과 MA625 처리군간에 유의한 변화가 인정되었다 (p<0.05). 위의 결과들에서 암, 수녹용 추출액은 난소제거후의 estrogen의 감소를 억제시키고 골소실을 억제하므로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17β-Estradiol의 CHO 세포 항 증식작용에 대한 fulvestrant의 효과 (Fulvestrant Does Not Have Antagonistic Effect on 17β-estradiol's Anti-proliferative Action in Cultured Chinese Hamster Ovarian Cell Line)

  • 김현희;박형철;민계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3-180
    • /
    • 2014
  • 에스트로겐은 조직세포의 유형과 이들의 생리적 상태에 따라 세포증식을 촉진 또는 억제 시킬 수 있으며, 주로 에스트로겐 수용체(ER)에 의해 매개되는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작용한다. 이 연구는 특히 유방암세포에서 ER에 대한 길항제로 잘 알려진 fulvestrant (Ful)가 CHO 세포주의 증식 및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에 대한 $17{\beta}$-estradiol (E2)의 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다양한 농도의 E2, Ful 및 E2 plus Ful의 처리기간에 따라 세포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Cell proliferation 분석에서, 6-10일의 처리기간 동안 E2는 1 ${\mu}M$의 농도까지는 세포증식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15-40 ${\mu}M$에서는 처리기간의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현저히 세포증식을 억제하였다. 흥미롭게도 Ful 또한 1 ${\mu}M$의 농도까지는 세포증식에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10-40 ${\mu}M$에서는 농도 및 시간 의존적인 세포증식 억제효과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Ful은 10일 동안 E2와의 혼합처리에서 E2에 의한 세포증식 억제효과를 감소시키기 보다는 오히려 증대시켰다. 따라서 Ful은 CHO 세포에서 E2의 항 증식작용에 대한 길항적 효과를 갖지 않음을 제시한다. 한편, E2 및 Ful에 의한 DNA 분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TUNEL assay에서 20 ${\mu}M$의 E2로 처리된 CHO 세포주에서는 DAPI로 염색된 거의 모든 핵에서 TUNEL 양성반응이 나타났으며, 40 ${\mu}M$ Ful 및 20 ${\mu}M$ E2 plus 40 ${\mu}M$ Ful로 처리된 CHO 세포주에서는 TUNEL 양성반응을 보였으나, E2 처리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Ful이 CHO 세포에서 E2의 항증식작용에 대한 길항적 효과를 갖지 않으며, E2와 Ful에 의한 세포증식 억제와 DNA 분절을 통한 세포사멸 관련기전은 다른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매개됨을 시사한다.

흰쥐 뇌하수체전엽 배양세포에서 GnRH 및 난소호르몬에 의한 $LH{\beta}$ subunit 유전자 발현 조절에 관한 연구 (Regulation of Luteinizing Hormone Release and Subunit mRNA by GnRH and Ovarian Steroids in Cultured Anterior Pituitary Cells)

  • 김창미;박일선;유경자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28
    • /
    • 1994
  • 흰쥐의 뇌하수체 전엽배양세포에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을 처리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GnRH농도에 비례하여 luteinizing hormone(LH)의 분비가 증가하였으며, 2시간까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GnRH를 처리하였을때 ${\alpha}$ subunit mRNA의 농도는 증가하지 않았으나 $LH{\beta}$ subunit mRNA의 농도는 GnRH 농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GnRH 처리후 6시간 이후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최종농도가 $2{\times}10^{-10}M$이 되도록 GnRH를 처리하였을 때 $LH{\beta}$ subunit mRNA 농도가 2.7배 정도 최대로 증가하였다. 또한 estradiol을 단독으로 또는 GnRH와 동시에 처리하였을때 LH분비가 증가하지 않았으나 progesterone을 GnRH와 동시에 처리하였을때 LH분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LH{\beta}$ subunit mRNA의 농도는 estradiol및 progesterone을 단독으로 또는 GnRH와 동시에 처리하였을때 난소호르몬 농도에 의존적으로 $LH{\beta}$ subunit mRNA의 농도가 증가하였다. Estradiol에 의한 $LH{\beta}$ subunit mRNA의 증가양상은 estrogen 길항제인 LY117018에 의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GnRH는 steady state $LH{\beta}$ subunit mRNA 농도에 영향을 미치므로써 LH분비 및 LH subunit 생합성을 조절하며 난소호르몬은 뇌하수체에 직접 작용하여 LH분비 및 LH subunit 생합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 PDF

Estradiol Valerate에 의해 유도된 다낭성난소와 CHO세포에서 NGF발현 (Expression of NGF in Estradiol Valerate-Induced Polycystic Ovary and CHO Cells)

  • 최백동;정순정;정문진;임도선;이수한;김승현;고아라;김세은;강성수;배춘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41권2호
    • /
    • pp.109-116
    • /
    • 2011
  • 다낭성 난소증후군(polycystic ovary syndrome, PCOS)은 내분비 및 대사장애로 호르몬 불균형 상태를 야기하여 가임기 여성의 불임 및 여러 합병증을 유발한다. 폐경기 여성의 호르몬대체 치료에 사용되는 estradiol valerate (EV)는 과다 투여 시 PCOS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경성장인자(nerve growth factor, NGF)는 발생 중인 신경세포의 생존과 성숙을 조절하는 인자로 난소에서도 합성되고, EV 처리에 의해 유도된 다낭성난소(polycystic ovary, PCO)에서 발현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난소유래 세포인 CHO 세포주와 다낭성 난소를 이용해 호르몬 불균형 상태인 PCOS 진단 시 NGF가 생물학적 표지인자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CHO 세포에 EV 2 mg과 3 mg 처리는 초기에 세포증식을 억제했으나 1 mg 처리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실험 시 최적농도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농도별 EV 처리에 따른 CHO 세포의 형태학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CHO 세포에 EV 처리 후 NGF mRNA 및 단백질 발현은 대조군에 비해 30분 후 크게 증가하였고, 다수의 난포낭이 관찰된 PCOS 조직에서도 정상군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EV 처리 후 난소에서 유도되는 NGF 과발현은 비정상적 난포발달을 유도하는 인자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며, 다낭성난소 진단 시 표지인자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극동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성비와 성장에 미치는 수온 및 estradiol-17β의 효과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Estradiol-17β on the Sex Ratio and Growth of the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 김대중;이남실;김신권;이배익;성기백;김경길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454-145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양식산 극동산 뱀장어, Anguilla japonica, 에서 고비율로 암컷 친어를 확보할 목적으로 실뱀장어(평균 전장: 6.5 cm)를 estradiol-17${\beta}$ (E2) 투여구와 일반사료(E2-free) 투여구로 나누어 사육수온 별(20, 24 및 $28^{\circ}C$) 조건에서 4개월간 사육하여 성비조사와 성장변화를 실시하였다. 조사한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수온 영역에서는 E2-free 실험구에서는 암컷 비율의 변화가 없었으나, E2 경구투여에 의한 자성화율은 높은 수온($28^{\circ}C$)에서 소폭 증가하였다. 특히, 수온 $24^{\circ}C$ 실험구에서 E2 경구투여 개체가 E2-free 개체보다 성장곡선이 낮게 나타났으며, 혈중 E2 농도는 E2 투여를 종결한 후(178일)에도 여전히 유의적으로 높게 존재하였다. 따라서 E2 투여에 의한 자성화 유도 효과는 높았지만, 장기간 투여시 성장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극동산 뱀장어에서 사육조건 중 수온에 의한 암컷으로의 성분화 효과는 확인 할 수 없었으며, 다른 환경인자(사육 밀도, 염분 등)의 관련성도 이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가임신 흰쥐 자궁조직 분화에 미치는 난소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영향 (The Effect of the Ovarian Steroid Hormone on the Differenciation of the Pseudopregnanct Rat Uterus)

  • 김성례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2권2호
    • /
    • pp.155-161
    • /
    • 1995
  • The present investigation has been undertaken to elucidate the differentiation mechanism the uterus which is the environment of the embryo development, by demonstrating the role of ovarian steroids hormone in the decidualization of the pseudopregnant rat uterus. To determine the effect of ovarine steroids and artificial stimulation (trauma) on the differenciation of the uterine endometrium and decidualization for implantation, attempt was made to measure concentrations of serum estradiol($E_2$), progesterone($P_4$) and nuclear $P_4$ receptor in the traumatized and non-traumatized uterine tissue of the pseudopregnant rat.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ings : The concentration of serum $E_2$ on day 9(implantation stage) was similar in both of intact pseudopregnant rat(47.63pg/ml) and normal pregnant rat(40.71pg/ml). And among the treated groups, $E_2$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the $E_2$ treated group in comparision with intact control group(relative value; 73.27%). The concentration of serum $P_4$ was also highest in the $P_4$ treated group(23.12pg/ml). Relative value of $P_4$ treated group in comparision with intact group(24.88pg/ml) was 92.93%. The nuclear $P_4$ receptor levels in the artificial traumatized groups were higher compared with the non-traumatized control groups. This study, therefore, clearly demonstrates that the methods for inducing pseudopregnant (vagina tapping;120/min) and inducing decidualization(oil injection; 0.1ml/uterine horn) appear to be effective, $P_4$ appears to be effective in the differenciation of the uterine endometrial tissue for the implantation process. Concentration of serum $P_4$ seems to be well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the nuclear $P_4$ receptor during the early embryo development. These results seem to be well correlated with ALPase activities in the normal and pseudopregnant rat uterus shown in the previous study.

  • PDF

육성기 제한급이가 산란생산성 및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

  • 김상호;장병귀;최철환;서옥석;이상진;류경선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3년도 제20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99-100
    • /
    • 2003
  • 육성기 제한급이가 산란생산성과 사료효율, 계란품질 및 호르몬 농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1일령 갈색 산란계 1,080수를 공시하여 70주령까지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제한시기는 6주령부터 (T1)와 12주령부터(T2) 실시하였는데 18주령 이후 자유채식을 실시하였다. 산란생산성과 사료효율은 T1이 가장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란품질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호르몬 농도변화는 체중 및 산란 개시시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산란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 PDF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초대 배양 간세포의 Vitellogenin합성에 미치는 Bisphenol A의 영향 (Effects of Bisphenol A on Vitellogenin Synthesis in the Hepatocyte Primary Culture in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여인규;최미경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80-185
    • /
    • 2000
  • 플라스틱의 원재료로 이용되는 bisphenol-A (BPA)가 vitellogenin (VTG)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넙치의 간세포를 초대 배양하여 조사하였다. 간세포는 2일간 사전 배양을 하였으며, estradiol-$17\beta(E_2)$ 및 BPA를 배양액에 동시 첨가하였다. 간세포는 6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회수하여 SDS-PAGE로 분석하였다. BPA는 농도 의존적으로 총 단백질에 대한 VTG 비율은 증가하였으며, $10^{-6}M$$10^{-5}M$의 농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특히, BPA $10^{-5}M$의 농도에서의 총 단백질에 대한 VTG 비율은 26.36%로 $E_2$만을 첨가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E_2$와 BPA를 단독 또는 동시에 첨가하여 유도된 VTG합성은 배양액에 tamoxifen$(10^{-6}M)$을 첨가함으로서 $E_2$를 첨가한 대조군의 약 80%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그리고, in vivo에서 $E_2$에 의해 유도된 VTG합성은 in vitro에서 간세포를 6일간 배양함에 따라 $E_2$를 첨가한 대조군의 약 22%까지 억제되었다. 이러한 감소효과는 BPA의 농도 의존적으로 지연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넙치에서의 BPA는 $E_2$ receptor와의 반응을 통한 에스트로겐 작용에 의해 VTG합성을 유도하고, 난황형성기에서의 VTG 합성을 장시간 지속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