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imation of Landfill Volum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항공LiDAR 자료를 이용한 생활폐기물매립장의 가용한도 추정 (Estimation of Maximum Volume in Landfill Site Using Airborne LiDAR Measurement)

  • 변상철;최명규;김진광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47-554
    • /
    • 2010
  • 본 연구는 생활폐기물매립장의 용적량을 산출함으로써 매립장을 향후 계속하여 언제까지 사용할 수 있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계획용적량을 산출하기 위해서 매립장의 설계 당시의 수지지도 및 계획도 등을 사용하였고, 현재까지의 매립 용적량은 최신의 항공측량장비인 항공 LiDAR 장비를 이용하여 매립량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현재의 매립 용적량과 지난 수년 간의 반입량, 그리고 그간의 침하량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잉여용적량으로 계산한 대항지역의 매립 가용 년도는 2045년까지로 나타났다.

폐기물 직매립 금지 및 온실가스 배출권을 고려한 매립단가 산정 (Estimation of Landfill Unit Cost Considering Prohibition of Direct Landfill and Greenhouse Gas Emission Right)

  • 정시용;천승규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1153-1166
    • /
    • 2024
  • The calculation of the waste landfill unit price at the S landfill located in I city was analyzed in two cases: Method A by statistical techniques and Method B by reflecting policy variables such as the prohibition of direct landfilling of household waste and the right to emit greenhouse gases. As a result, in the case of method B, the landfill unit price increased by 34.1% to 57.6% depending on the type of waste compared to method A. By landfill unit price composition, landfill work cost, operation and management cost, greenhouse gas emission rights transaction cost, and resident support fund increased by 61.0%, 68.3%, 63.5%, and 34.1% to 57.6%, respectively. Therefor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fill, which requires more than 30 years of mid- to long-term operation and management even after the end of the landfill, policy variables should be identified periodically for stable landfill operation and management. In addition, periodic activities to calculate the landfill unit cost are considered necessary, such as predicting the amount of landfill waste and deriving additional future cost factors such as greenhouse gas emission rights.

매립지 정비에 의한 순환이용 가능량 산정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Resource Recovery Potentials by Landfill Mining)

  • 이소라;이우진;이영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26권1호
    • /
    • pp.5-12
    • /
    • 2018
  • 최근 지자체에서는 매립지 사용에 관한 갈등과 사용종료 시점을 앞두고 논란이 이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대체 매립지 마련이나 기존 매립지의 수명연장 합의를 이끄는데 난항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매립지 정비를 통하여 기 매립된 폐기물과 향후 매립될 폐기물의 순환이용 가능량을 산정하고, 매립지의 용량을 확보하도록 기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피증가율, 중량비, 겉보기밀도를 주요 파라미터로 결정하고, 기존 사업 사례를 통해 그 값을 산정하였다. 기존 사업 지역(아산시, 예천군, 안동시)에서의 부피증가율의 평균값은 1.42로 산정되었다. 중량비의 경우 세 지역의 토사류 평균값은 45.6%로 산정되었고, 가연성 폐기물과 불연성 폐기물의 비율은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통계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산정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겉보기밀도는 두 지역 평균값을 이용하였으며 가연성, 불연성, 토사류별로 각각 0.35톤/$m^3$, 1.40톤/$m^3$, 1.58톤/$m^3$으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주요 파라미터들과 제시된 방법론을 통해 사례 연구로 청주매립지의 순환이용 가능량을 분석하였다. 기 매립된 폐기물을 정비하여 순환이용함으로써 새로 확보될 매립용량은 기존 매립지 용량 대비 45%에 해당되었다. 또한 매년 반입되는 물량을 선별하여 가연성분은 에너지화하고, 소각재, 불연성 및 토사류만 재매립할 경우 청주시의 매립지 사용연한이 20년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구축한 방법론은 특정 매립지를 선정하여 순환이용 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매립폐기물의 겉보기밀도와 체적환산계수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Volume Conversion Factor and Apparent Density of Wastes Buried in Landfill)

  • 조진우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33-40
    • /
    • 2020
  • 최근 대규모 택지개발 현장에서 굴착공정 중 매립폐기물이 발견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발생된 매립폐기물을 환경적으로 처리하기 전에는 대상지역의 개발사업을 진행할 수 없으며, 매립폐기물에 대한 처리대책을 수립하여 환경적이고 경제적으로 처리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매립폐기물의 처리에 있어 단가 산정의 기본적인 계수가 되는 매립폐기물의 겉보기밀도와 체적환산계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역의 사용종료 매립지 10지점에서 매립폐기물을 채취하여 물리적성상을 분석한 후, 성상별 및 혼합폐기물의 겉보기밀도를 측정하였다. 매립폐기물의 겉보기밀도와 체적 환산계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매립폐기물의 겉보기밀도로부터 유추한 체적환산계수와 실측한 체적환산계수, 경험식에 의한 체적환산계수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겉보기밀도로부터 유추한 체적환산계수, 경험식에 의한 체적환산계수, 그리고 실측한 체적환산계수는 일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겉보기밀도와 체적환산계수에 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