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ers

검색결과 1,092건 처리시간 0.027초

Theoretical Study on the [3,3]-Sigmatropic Rearrangement of Allylic Esters by Comparative Molecular Field Analysis (CoMFA)

  • Yoo, Sung-Eun;Cha, OKJa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5권10호
    • /
    • pp.889-890
    • /
    • 1994
  • A comparative molecular field analysis (CoMFA) on the substituent effect of the palladium(Ⅱ) catalyzed [3,3]-sigmatropic rearrangement of allylic esters was studied to show a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electrostatic property of substituents and the reaction rate. The CoMFA result suggests that the reaction rate will increase as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of substituents increases.

Synthesis of 3-[1-(t-Butyldimethylsilyloxy)ethyl]-4-carboxymethyl-2-azetidinone Derivatives

  • 서민효;이윤영;구양모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7권4호
    • /
    • pp.314-321
    • /
    • 1996
  • Isoxazolidine derivatives 7 and 8 were synthesized from N-benzyl-C-(2-benzyloxyethyl)nitrones by 1,3-dipolar cycloaddition with ethyl crotonate. The isoxazolidine derivatives were converted to β-amino acid esters 9a and 9b by reduction with zinc in acetic acid. The β-amino acid esters were reacted with methylmagnesium bromide to give the 2-azetidinones (13a, 13b). The benzyl group of 2-azetidinones were removed by Birch reduction. The products were oxidized with PDC to give 3-[1-(t-butyldimethylsilyloxy)ethyl]-4-carboxymethyl-2-azetidinone derivatives (2a, 2c).

두메부추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Allium senescens)

  • 이미순;정미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5-59
    • /
    • 2001
  • 신선 및 동결 건조된 두메부추 잎을 연속수증기 증류추출 장치로 증류하여 얻어진 정유성분을 GC 및 GC-MS로 분석하여 신선한 시료에서 11종의 hydrocarbons 0.136ppm 9종의 aldehydes 0.278ppm, 4종의 alcohols 0.025ppm, 2종의 esters 2.328ppm, 7종의 acids 0.545ppm, 4종의 ketones 0.037ppm 및 9종의 sulfur containing compounds 0.117ppm의 총 46종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동결 건조한 두메부추 잎에서는 8종의 hydrocarbons 1.357ppm 5종의 aldehydes 0.498ppm, 3종의 alcohols 0.094ppm, 5종의 esters 0.720ppm, 2종의 acids 0.069ppm 3종의 ketones 0.163ppm 및 4종의 sulfur containing compounds 0.039ppm을 포함하여 총 30종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전자코의 분석 결과, 제1주성분 값의 기여율이 0.987을 나타내어 제1주성분이 두메부추와 부추를 총괄하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선한 두메부추는 제1주성분 값이 0.5부근에 집중된 분포를 보이고, 신선한 부추는 -0.5부근에 분포되어 있어 신선한 두메부추와 신선한 부추의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결 건조된 시료의 경우, 두메부추는 제1주성분 값 0을 중심으로 -쪽에 분포되어 있고, 부추는 +부근에 분포되어 있어 동결 건조된 시료의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도 차이가 있었다.

  • PDF

A 4-week Repeated Oral Dose Toxicity Study of Plant Sterol Esters in Sprague-Dawley Rats

  • Kim, Jong-Choon;Yang, Byung-Chul;Lim, Kwang-Hyeon;Kang, Boo-Hyon;Kim, Choong-Yong;Kim, Kab-Sik;Chung, Dae-Won;Chung, Moon-Ko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31-41
    • /
    • 2002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subacute toxicity of plant sterol esters by a 4-week repeated oral dose in Sprague-Dawley rats. The test article was administered once daily by gavage to rats at dose levels of 0, 1000, 3000, and 9000 mg/kg/day for 4 weeks. During the test period, clinical sign, mortality, body weights, food and water consumption, ophthalmoscopy, urinalysis, hematology, serum biochemistry, gross finding, organ weight, and histopathology were evaluated. A reduction in the body weight was observed in females of the 9000 mg/kg group on day 27 after the initiation of treatment, but not in males of the group. There were no treatment-related effects on mortality, clinical sign, food and water consumption, ophthalmoscopy, urinarlysis, hematology, serum biochemistry, necropsy findings, organ weights, and histopathology in any treatment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4-week repeated oral dose of plant sterol esters resulted in suppressed body weight in female rats at a dose level of 9000 mg/kg/day. In the condition of this study, target organ was not observed and the no-observed-adverse-effect level (NOAEL) was considered to be 9000 mg/kg/day for males and 5000 mg/kg/day for females.

한국인의 식이를 통한 보존료의 일일 추정섭취량 평가 (Assessment of Estimated Daily Intakes of Sorbates, Benzoates, and Esters of $rho-Hydroxybenzoic$ Acid for Average Consumers in Korea)

  • 윤혜정;조양희;박주연;이창희;박성관;조영주;한기원;이종옥;이철원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3-60
    • /
    • 2001
  •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르빈산 덴 소르빈산 칼륨, 안식향산 및 그 염류, 파라옥시안식향산에테르류의 섭취량을 평가하고자 “199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와 “식이섭취량 보고서”의 일인당 일일식품섭취량과 보존료의 실제 농도분석치를 이용하여 각 보존료의 일일추정섭취량을 구하였다. 조사된 보존료의 일일추정섭취량은 소르빈산 및 소르빈산 칼륨의 경우 소르빈산으로서 0.22mg/kg bw/day, 안식향산 및 그 염류는 안식향산으로서 0.004mg/kg bw/day 였으며, 일일섭취허용량 (ADI)에 대한 비율은 각각 0.88%, 0.30%, 그리고 0.04%로 나타나 추정된 한국인 평균소비자의 소르빈산 및 소르빈산 칼륨, 안식향산 및 그 염류,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류의 섭취량은 ADI의 1% 미만으로 나타나 매우 안전한 수준으로 사료된다.

  • PDF

유화제가 호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ulsifiers on the Quality of Steamed Bread)

  • 황성연;엄익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77-983
    • /
    • 1999
  • 유화제가 호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monoglyceride, lecithin, diacetyl tartaric acid esters of mono- and diglyceride, sugar ester를 소맥분에 각각 1%씩 첨가하여 호화도, Alveogram 특성, 제빵실험, crumb softness 및 관능적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소맥분의 호화개시온도는 $63.80^{\circ}C$였으나 각종 유화제를 첨가한 것은 $59.40{\sim}62.95^{\circ}C$로 낮아졌다. 그러나 그밖의 물리적 호화특성은 유화제의 종류에 따라 달랐는데 1% sugar ester를 첨가한 것의 최종 점도와 set back값이 가장 낮아, 호빵의 노화를 억제하는데 sugar ester의 효과가 클 것으로 예측되었다. Alveograph에서 diacetyltartaric acid esters of mono- and diglyceride의 P값(tenacity)이 가장 높았지만 L값(extensibility)이 가장 낮았다. 이는 diacetyl tartaric acid esters of mono- and diglyceride의 첨가가 반죽의 강화효과는 크지만 반죽의 신장성을 떨어뜨린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72시간 저장후 crumb softness를 측정한 결과 1% monoglyceride를 첨가한 것이 가장 좋았고, 종합적 관능검사 결과도 제일 높게 나타났다.

  • PDF

저질중의 프탈산 에스테르와 아디피산 분석 (Determination of Phthalic Acid Esters and Adipate in Sediment Samples)

  • 명승운;장윤정;윤성호;조현우;김명수
    • 분석과학
    • /
    • 제15권4호
    • /
    • pp.360-364
    • /
    • 2002
  • 환경시료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검출되는 8종의 프탈산 에스테르 및 아디피산을 1999년에서 2001년 사이에 국내 저질 (11개 지점)에 대하여 5회씩 측정하였다. 저질시료는 완전히 건조시킨 후 디클로로메탄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초음파세정기로 추출한 후 GC/MS의 SIM 모드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저질에서 DEP, DBP 및 DEHP만 검출되고 다른 프탈레이트는 검출되지 않았다. 저질의 경우는 DEHP가 27.3~63.6% 검출빈도를 나타냄으로써 제일 빈번히 검출되었고, 또한 이 물질은 평균 측정농도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81.7~427.6 ng/g).

토마토 향기성분의 동정 (Identification of Flavor Components in Tomato Fruit)

  • 손태화;천성호;최상원;문광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3호
    • /
    • pp.292-297
    • /
    • 1988
  • 토마토 과실의 향기성분을 생체흡착법, 파쇄흡착법 및 연속 수증기증류법으로 추출하고 GC와 GC-MS에 의해 동정하였다. 생체흡착법으로 추출한 향기성분은 80여 종 이상이 분리되었고 그 중 alcohols 10종, aldehydes 6종, ester 3종, ketones 4종, phenol 1종, acid 1종으로 총 25종을 동정하였다. 파쇄흡착법으로 추출한 향기성분은 100여종 이상이 분리되었고 그중 alcohols 12종, aldehydes 6종, Ketones 5종, esters 5종, phenols 2종, hydrocarbon 1종, acid 1종으로 총 32종이 동정되었다. 연속수증기증류법으로는 향기성분 300여종 이상을 분리하였고 그 중 alcohols 19종, ester 9종, hydrocarbons 13종, aldehydes 8종, Ketones 9종, phenols 2종, lactones 2종, furans 2종, acid 1종, oters 2종으로 총 67종이 동정되었다. 연속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동정한 성분 중 아직까지 MS에 의해 동정되지 않은 성분들은 hydrocarbons 11종, aldehydes, Ketones 및 other 각각 2종, alcohol, ester, lacton 및 furfural 각각 1종으로 총 21종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