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ter

검색결과 2,595건 처리시간 0.023초

재생자원 유래 퓨란계 에폭시 화합물의 합성 및 접착 특성 (Synthesis of Renewable Resource-derived Furan-based Epoxy Compounds and Their Adhesive Property)

  • 이재성;이상협;정재원;김백진;조진구;김현중
    • 접착 및 계면
    • /
    • 제11권2호
    • /
    • pp.41-49
    • /
    • 2010
  • 탄소 중립형 친환경 접착소재로서, 퓨란기를 함유하는 에폭시 단량체(8, 9)를 설계하고 합성하였다.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리파이너리 공정을 통해 쉽게 얻을 수 있는 퓨란과 메틸 아크릴레이트를 출발물질로 하여 Diels-Alder 반응을 통하여 이중고리 뼈대를 합성하였다. 이후 에스테르 작용기를 알코올로 환원한 후 에피클로로하이드린과 반응하여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새로운 퓨란계 단량체(8, 9)를 합성하였다. 구조는 $^1H$ and $^{13}C$ NMR으로 확인하였으며, UV 경화형 단량체로서의 기본적인 성질인 광경화 속도 및 광경화율은 Photo-DSC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선형가변 미분변환기(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former transducer LVDT)와 UV Spot curing 장비를 통해 화합물의 경화 수축율을 측정하여 화합물의 분자구조가 경화수축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각 합성 화합물을 폴리카보네이트 피착재 사이에 도포하고 광경화 후 lab shear test를 수행한 결과 3 MPa 이상의 전단강도를 보임으로써 재생자원 유래 신규 화합물이 접착소재로서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발육 및 조직에 따른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 bner)) 에스테라제 동위효소 (Esterase Isozymes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H bner), with Development and Tissues)

  • 강성영;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9-185
    • /
    • 1998
  •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 bner))의 생리적 요인이 에스테라제 변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전기영동을 이용한 동위효소 분석이 이루워졌다. 또한 각 동위효소의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기질 및 억제제에 따라 반응성을 분석하였다. 총 28개의 에스테라제 동위효소들이 10%비변성 전기영동에서 분리되었다. 이들 동위효소들은 양극으로 이동거리 증가에 따라 E1에서 E28까지 명명되었다. 파밤나방의 발육단계에 따라 에스테라제 동위효소는 변이를 보였다. 유충과 용이 성충에 비해 많은 수의 에스테라제 동위효소를 보였고, 알이 가장 적은 수를 나타냈다. 특히 E1과 E2는 1령충에서 특이하게 발현되는 도우이효소들이 있다. 서로 다른 조직간에도 에스테라제 동위효소 변이를 보였다. 혈림프와 지방체에 비해 표피와 소화관 조직에서 더많은 수의 에스테라제가 발현됐다. E1-E6 동위효소는 표피조직에 E10, E11, E25, E26 및 E27은 소화관조직에, 그리고 E18은 혈림프에 각각 특이한 에스테라제 동위효소들이었다. 조사된 haphtyl ester계통의 에스테라제 기질들 중에서 $\alpha$-naphty1 propionate가 모든 에스테라제 동위효소에서 가장 높은 반응성을 보였다. 이들 동위효소는 에스테라제 억제제(exerine, dichloroves, moncrotophs 및 paraox-on)에 대한 반응에 따라 E10과 E24는 콜린에스테라제, E4, E9,E17, E19, E21 및 E23은 아릴에스테라제 및 나머지 20종은 카르복실에스테라제로 각각 판명되었다.

  • PDF

이중금속시안염 촉매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제조 및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탄의 물성 (Synthesis of Polyester Polyols by Using Double Metal Cyanide Catalyst and Physical Properties of Polyurethanes Produced by the Polyols)

  • 김인기;서현숙;하창식;박대원;김일
    • 청정기술
    • /
    • 제14권1호
    • /
    • pp.29-34
    • /
    • 2008
  • 폴리올 주 사슬에 에스테르기를 도입하기 위한 방법으로 산화프로필렌 (propylene oxide, PO)과 무수 프탈산(phthalic anhydride, PA)의 공중합을 이중금속 시안염 촉매 존재 하에서 수행하였다. 이중금속 시안염 촉매는 이 공중합에 매우 효율적인 촉매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 공중합에 대한 반응성비는 변형 Kelen $T{\ddot{u}}d{\ddot{o}}s$ 식을 이용하여 구한 결과 $r_1(PA)\;=\;0$, $r^2(PO)\;=\;0.248$이었다. 주 사슬에 함유되어 있는 PA의 함량이 1.0, 2.1, 7.52, 11.42 mol%인 4가지 폴리을 시료를 이용하여 경질부 함량이 19 wt%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제조하였다. PA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신율은 낮아졌으며, 인장강도와 인장탄성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PO와 PA를 공중합 하여 폴리올에 도입되는 PA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폴리우레탄의 물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상용화제 Poly(styrene-co-maleic anhydride) 첨가에 따른 고충격 폴리스티렌 (HIPS)/Thermoplastic Urethane (TPU) 블렌드의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ties of High Impact Polystyrene (HIPS)/Thermoplastic Urethane (TPU) Blend with Poly(styrene-co-maleic anhydride) as a Compatibilizer)

  • 이영희;이태희;김원중;김태영;윤호규;서광석
    • 폴리머
    • /
    • 제32권3호
    • /
    • pp.251-255
    • /
    • 2008
  • 본 연구는 전자 부품 운반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수지인 폴리스티렌에 금속염 화합물과 에스터계 화합물로 제조된 대전방지제를 혼합하여 대전방지성능, 기계적 강도를 높인 대전방지 재료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용화제인 Poly(styrene-co-maleic anhydride) 내의 MAH 함량을 달리하여 기계적, 열적, 그리고 전기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HIPS(75 wt%)/TPU(25 wt%) 블렌드의 상용성의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잔류 공간전하를 측정한 결과 PS-co-MAH(MAH : 25 wt%)가 첨가된 재료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잔류 전하가 발견되었으며, 인장강도도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대전 방지제를 첨가했을 때 상용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재료보다 우수한 정전기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HIPS/TPU 블렌드시 PS-co-MAH가 첨가되어 두 고분자의 계면 결합을 우수하게 하며, 대전방지제의 분산성을 좋게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식품연포장용 라미네이트 수성 감압점착제의 친환경적 적용에 대한 연구 (Design and Properties of Laminating Waterborne PSA for Eco-friendly Flexible Food Packaging)

  • 이진경;심명식;진인주
    • 접착 및 계면
    • /
    • 제17권2호
    • /
    • pp.49-55
    • /
    • 2016
  • 본 연구는 식품연포장 적층 라미네이트에 주로 사용되는 유성접착제를 대체하기 위해 아크릴 수성화방법을 활용하여 친환경적인 수성 점착제를 설계하였다. 방법으로는 음이온/비이온 그리고 인산에스테르 계면활성제들의 조합과 분자량조절제(chain transfer agent, CTA)의 양을 달리하고, 기능성단량체(functional monomer)의 종류를 달리하였다. 합성된 점착제의 가교 정도와 분자량의 영향을 각각 실험군 8종으로 점착제를 설계 합성하고 조사하였다. 그리고 별도로 분자량이 서로 다른 styrene/alpha-methyl styrene/acrylic acid (SAA) semipolymer 분산제(Mw = 13,000과 Mw = 8,600)를 기존의 계면활성제를 대신하여 사용해 감압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의 물성을 조사하였다. 합성된 10종의 감압점착제가 유연포장용 기본 물성 규격에 적합한지를 DSC, 입자크기, adhesion, 분자량의 물성 분석으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계면활성제는 음이온/비이온 조합으로, CTA는 0.2%로 기능성 단량체는 HEA, GMA를 사용한 점착제 2개의 실험군에서 유연포장에 적용 가능한 분자량과 유연성, 낮은 접착력, 작은 입자의 물성을 확인하였다.

Inhibitory Effects of Total Ginseng Saponin on Catecholamine Secretion from the Perfused Adrenal Medulla of SHRs

  • Jang, Seok-Jeong;Lim, Hyo-Jeong;Lim, Dong-Yoo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5권2호
    • /
    • pp.176-190
    • /
    • 2011
  • There seems to be some controversy about the effect of total ginseng saponin (TGS) on the secretion of catecholamines (CA) from the adrenal glan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GS can affect the CA release in the perfused model of the adrenal medulla isolated from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SHRs). TGS (15-150 ${\mu}g/mL$), perfused into an adrenal vein for 90 min, inhibited the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etylcholine (ACh, 5.32 mM) and high $K^+$ (56 mM, a direct membrane depolarizer) in a dose- and time-dependent fashion. TGS (50 ${\mu}g/mL$) also time-dependently inhibited the CA secretion evoked by 1.1-dimethyl-4 -phenyl piperazinium iodide (DMPP; 100 ${\mu}M$, a selective neuronal nicotinic receptor agonist) and McN-A-343 (100 ${\mu}M$, a selective muscarinic M1 receptor agonist). TGS itself did not affect basal CA secretion (data not shown). Also, in the presence of TGS (50 ${\mu}g/mL$), the secretory responses of CA evoked by veratridine (a selective $Na^+$ channel activator (50 ${\mu}M$), Bay-K-8644 (an L-type dihydropyridine $Ca^{2+}$ channel activator, 10 ${\mu}M$), and cyclopiazonic acid (a cytoplasmic $Ca^{2+}$-ATPase inhibitor, 10 ${\mu}M$) were significantly reduced, respectively. Interestingly, in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TGS (50 ${\mu}g/mL$) and N${\omega}$-nitro-L-arginine methyl ester hydrochloride [an inhibitor of nitric oxide (NO) synthase, 30 ${\mu}M$], the inhibitory responses of TGS on the CA secretion evoked by ACh, high $K^+$, DMPP, McN-A-343, Bay-K-8644, cyclopiazonic acid, and veratridine were considerably recovered to the extent of the corresponding control secretion compared with the inhibitory effect of TGS-treatment alone. Practically, the level of NO released from adrenal medulla after the treatment of TGS (150 ${\mu}g/mL$) was greatly elevated compared to the corresponding basal released level.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GS inhibits the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stimulation of cholinergic (both muscarinic and nicotinic) receptors as well as by direct membrane-depolarization from the isolated perfused adrenal medulla of the SHRs. It seems that this inhibitory effect of TGS is mediated by inhibiting both the influx of $Ca^{2+}$ and Na+ into the adrenomedullary chromaffin cells and also by suppressing the release of $Ca^{2+}$ from the cytoplasmic calcium store, at least partly through the increased NO production due to the activation of nitric oxide synthase, which is relevant to neuronal nicotinic receptor blockade, without the enhancement effect on the CA release. Based on these effects, it is also thought that there are some species differences in the adrenomedullary CA secretion between the rabbit and SHR.

GC-MS 및 HPLC를 이용한 대추발효주의 유리 아미노산 및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Free Amino Acids and Flavors in Fermented Jujube Wine by HPLC and GC/MS)

  • 전명숙;김순진;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79-784
    • /
    • 2012
  • 통대추(JW1), 대추과육(JW2), 대추과즙(JW3)에 효모를 사용하여 만든 대추발효주의 제조과정 중 유리 아미노산과 향기성분을 HPLC와 GC-MS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ysteine등 18종의 유리 아미노산이 검출 되었고 시험구별 총량은 각각 통대추구(JW1)가 141-210 ppm, 과육구(JW2)가 147-342 ppm, 과즙구(JW3)가 336-362 ppm이었다. 이 중 다량 검출된 유리 아미노산은 proline, aspartate, glutamate, arginine이었다. 한편 향기성분은 ethyl alcohol, iso-butyl alcohol, n-butyl alcohol, iso-amyl alcohol, n-amyl alcohol, phenethyl alcohol의 alcohol류 6종, ethyl acetate, hexyl acetate, ethyl caprylate, phenethyl acetate의 ester류 4종, diethylacetal, furfural, benzaldehyde의 aldehyde류 3종이 검출 되었으며 이 중 ethyl alcohol(30.50-33.95% peak area), benzaldehyde(2.55-15.97% peak area), iso-amyl alcohol(1.04-14.73% peak area), furfural(0.07-15.28% peak area), phenethyl acetate(0.78-9.28% peak area)가 많이 검출 되었다.

천연 에센셜 오일의 주요 구성물질 분석과 항산화 및 항균 효과에 관한 연구 (Major Compound Analysis and Assessment of Natural Essential Oil on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 신유현;김현정;이진영;조영제;안봉전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44-135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산업에 이용 중인 천연 에센셜 오일 8종(라벤더, 티트리, 로즈마리, 주니퍼베리, 편백, 싸이프러스, 시더우드, 파인)을 가지고 물리 화학적 분석과 생리활성 및 항균효과를 실험하였다. 라벤더오일의 경우 에스테르 성분인 linalyl acetate가 48% 함유되어 있었으며, 5,000 ppm의 농도에서 22.36%의 항산화능을 보였다. 티트리 오일의 경우 0.5% 농도에서 43.94% 항산화능을 보였으며 항균효과 또한 뛰어났다. S. aureus, S. epidermidis, S. mutans, C. albicans 균에 각각 6, 3.5, 6.5, 5 mm의 저해환이 측정되어 매우 우수한 품질의 에센셜 오일임이 확인되었다. 편백 오일의 경우 pH가 2.64로 가장 산성도가 높았으며, 세스퀴테르펜 성분이 19.20%로 확인되었다. 시더우드 오일의 경우 샘플 중 비중과 굴절률이 가장 높았으며 전체성분의 99.73%가 세스퀴테르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5,000 ppm 농도에서 39.68% 항산화능을 보였다. 특히 1% 농도에서 P. acnes, P. ovale, C. albicans 균에 각각 3.5, 6, 6 mm의 저해환이 측정되어 매우 탁월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반면 세스퀴테르펜 함량이 증가할수록 비교적 항산화능도 높게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어서 성분조성보다는 각각의 항산화 성분 유무에 따라 항산화능이 결정된다고 판단되며, 마찬가지로 항균력 또한 테르펜의 성분조성보다는 각각의 항균성분의 유무에 따라 항균력이 결정된다고 사료된다.

Interaction between Renin-Angiotensin and Endothelium-Derived Nitric Oxide Systems in Two-Kidney, One Clip Hypertensive Rats

  • Ahn, Hyun-Tack;Nah, Kook-Joo;Lee, Jong-U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30권1호
    • /
    • pp.33-41
    • /
    • 1996
  •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endothelium-derived nitric oxide (NO) in the control of renin release and to examine if NO is implicated in the development of two-kidney, one clip (2K1C) hypertension. Male Sprague-Dawley rats $(150{\sim}200\; g)$ were constricted at the left renal artery. They were then supplemented with $N^{G}-nitro-L-arginine\;methyl\;ester\;(L-NAME,\; 5mg/100\;mL)$ or with L-arginine hydrochloride (400 mg/100 mL) in the drinking water. The control group was supplied with normal tap water. The sham-clipped rats were operated as in 2K1C rats except for that no clip was made. The kidneys were taken to examine in vitro release of renin at days 7 and 14 following clipping the renal artery. Northern blot analysis was also done to assess the expression of renin gene in the kidney. In sham-clipped rats, L-NAME caused a sustained increase of the blood pressure, whereas L-arginine was without effect. Neither L-NAME nor L-arginine-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in 2K1C rats. Plasma renin concentration (PRC) measured on day 28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mong the L-NAME, L-arginine and control groups either in 2K1C or in sham-clipped rats. Renin contents (RRC) in the clipped kidney were increased, while those in the contralateral kidney were decreased. The release of renin in vitro from cortical slices was also enhanced in the clipped kidney, whereas it was attenuated in the contralateral. Comparing the RRC and in vitro release, the latter was more rapidly decreased than the former in the contralateral kidney. The renin mRNA levels in the contralateral kidney were almost at their nadir at days 7 and 14 in 2K1C rats. It is suggested that NO does not affect the development of 2K1C hypertension in which the renin-angiotensin system has been activated. The data also confirm that RRC and renin gene expression are increased in the clipped kidney and suppressed in the contralateral kidney in 2K1C rats.

  • PDF

폐(廢)리튬이온전지(電池) 양극활물질(陽極活物質)의 황산(黃酸) 침출용액(浸出溶液)에서 PC88A에 의한 Ni 및 Li의 용매추출(溶媒抽出) (Solvent Extraction of Ni and Li from Sulfate Leach Liquor of the Cathode Active Materials of Spent Li-ion Batteries by PC88A)

  • 안재우;안효진;손성호;이기웅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1권6호
    • /
    • pp.58-64
    • /
    • 2012
  • 리튬이온전지 양극활물질의 황산침출액으로부터 니켈과 리튬을 분리 회수를 위하여 PC88A를 사용하여 니켈 및 리튬의 용매추출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용액상의 pH, 추출제의 농도 및 상비 변화 등 니켈과 리튬의 추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에 대한 추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평형 pH가 증가할 수록 니켈 및 리튬의 추출율 및 분리계수값이 증가하였고, pH 8.5에서 25% PC88A에 의해 니켈의 경우 99.4%, 리튬의 경우 28.7%의 최대 추출율을 보였다. 이 경우 분리인자값은 411.6을 나타내었다. McCabe-thiele 도표 분석 결과로 부터 니켈의 경우 상비(A/O) 1.5에서 3단으로 99%이상 추출이 가능하였다. 한편 탈거액으로 황산을 사용하였고, 최적의 Ni의 탈거를 위해서 필요한 황산농도는 50-60 g/L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