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sential mineral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4초

장기 모니터링을 통한 독도 자연사면의 토층 변화 분석 (Long-Term Monitoring and Analysis of Changes in the Soil Layer on Dokdo)

  • 김경수;송영석;윤대성;방은석
    • 지질공학
    • /
    • 제34권2호
    • /
    • pp.163-171
    • /
    • 2024
  • 독도의 토층 변화는 독도에 대한 학술적 가치와 함께 독도의 지속가능한 보전 및 활용 측면에서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독도에 자생하는 식물 및 생물의 발달에 필수적인 토대가 되므로 독도의 토층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와 관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독도의 자연사면에 대한 토층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설치 및 관리가 간편하며, 측정이 용이한 지표침식측정계를 설치하였다. 지표침식측정계는 길이 30~50 cm, 직경 1.5 cm의 강봉 형태이며, 해풍으로 인한 부식의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작하였다. 그리고 동도와 서도의 토층분포구간을 대상으로 각각 6개씩의 지표침식측정계를 설치하였으며,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약 8년 동안 매년 1회에서 3회의 현장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결과 지표침식측정계가 설치된 동도의 토층에서는 전반적으로 미세하게 퇴적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서도의 경우 동도와 반대로 미세하게 침식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동도에 설치된 지표침식측정계는 비교적 동도의 중간 혹은 하부지역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동도의 토층 변화는 상부에 존재하는 토층에서의 풍화에 의한 침식 혹은 토사유출로 인하여 주로 퇴적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서도에 설치된 지표침식측정계는 서도의 상부 혹은 중간지역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서도의 토층에서는 풍화로 인한 침식 및 유출이 직접 발생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산화 디지털 스트리머 시스템의 벤치마크 테스트 연구 (Benchmark Test Study of Localized Digital Streamer System)

  • 신정균;하지호;서갑석;김영준;강년건;최종규;조동우;이한희;김성필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6권2호
    • /
    • pp.52-61
    • /
    • 2023
  • 육지와 인접한 연안, 그리고 천부 구조의 특성을 정밀하게 규명하기 위하여 높은 주파수 대역(80 Hz~1 kHz)의 음원을 활용하여 3.125 m 수준의 공간 해상도를 도출하는 초고해상 탄성파 탐사의 활용범위가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스트리머 시스템은 고품질의 초고해상 탄성파 자료를 획득하기 위한 필수 모듈이며 도입 비용의 절감, 유지보수 기간의 단축 등을 위하여 국산화 연구가 이루어졌다. 개발된 국산화 스트리머에 대한 기본적인 성능 검증, 현장 운용성 검토 등은 해당 연구개발 과정에서 이루어졌으나 기존에 활용되는 벤치마크 모델과의 비교분석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국산화 스트리머와 벤치마크 모델을 활용해 동시에 자료를 취득하여 자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탐해2호와 부대장비 등을 활용한 2차원 탄성파 탐사자료를 취득하고 다양한 측면에서의 분석이 이루어졌다. 국산화 스트리머에서 취득된 자료는 벤치마크 모델에서 취득된 자료와 주파수 대역별 민감도 차이가 있었으나, 음원의 중심 주파수 대역을 고려한 범위에서는 매우 높은 수준의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60 Hz 이하의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는 벤치마크 모델 대비 낮은 신호대잡음비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클러스터 에어건 등 낮은 주파수 대역의 음원을 활용한 자료취득에서는 품질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 차이를 발생시키는 원인은 세 가지(1. 스트리머 내부 발생 잡음, 2. 스트리머 예인 진동, 3. 아날로그 필터 컷 오프 주파수 대역)가 발굴되었으며 향후 제작되는 국산화 스트리머에서는 이에 대한 개선을 반영하고자 한다.

산국의 수량, 무기물 및 유효성분에 미치는 ABA와 SA의 효과 (Effect of ABA and Salicylic Acid on Yields, Mineral Contents and Active Components of Chrysanthemum boreale M.)

  • 이경동;;양민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08-514
    • /
    • 2004
  • 우수한 자생식물자원인 산국의 수량과 유효성분을 높이기 위해 식물생장조절제 ABA와 SA를 처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꽃의 건물수량은 ABA, SA과 ABA+SA 처리구에서 무처리구보다 증가되었으며, ABA 처리구보다는 SA 처리구가 증수되었다. 2. 무기성분의 함량변화는 SA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하여 질소, 인산, 마그네슘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칼륨의 흡수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3. 아미노산함량은 SA 처리구와 ABA+SA 처리구는 ABA 처리구보다 높았다. 4. 생장조절제처리는 정유함량을 증가시켰으며, 그 반응은 monoterpenoid계 화합물보다는 sesquiterpennoid계 화합물에서 더 민감하였다. 5. Cumambrin A의 함량은 ABA 처리구에서 증가하였고, SA 처리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Nutritional Quality and Variation of Meat and Bone Meal

  • Hendriks, W.H.;Butts, C.A.;Thomas, D.V.;James, K.A.C.;Morel, P.C.A.;Verstegen, M.W.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0호
    • /
    • pp.1507-1516
    • /
    • 2002
  • Meat and bone meal is a valuable protein and mineral source in diets of production animals and contributes to the protein, energy and mineral component of diet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more accurately characterise the apparent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y of meat and bone meals produced in New Zealand and evaluate routine in vitro assays used in practise to measure meat and bone meal quality. A total of 94 commercial meat and bone meals from 25 New Zealand rendering plants over a two and a half year period were analysed for proximates, gross energy, gross amino acid content (incl. hydroxyproline, hydroxylysine and lanthionine), apparent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y, pepsin nitrogen digestibility, protein solubility and bone content. The mean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94 meat and bone meal samples was 56.8% with a range of >35% units and a coefficient of variation of 9.8%. The mean crude fat and ash content were 10.0 and 28.4% respectively. These latter components showed a large range (16 and 43%, respectively) with coefficients of variation above 22%. Amino acid digestibility between samples was highly variable with lysine and sulphur amino acids digestibility ranging between 45.8-89.0 and 38.2-85.5%, respectivel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re presented between crude protein content and individual gross amino acids, crude protein content and individual digestible amino acid content, and pepsin N digestibility and individual digestible amino acid conten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digestible amino acid nitrogen content and the crude protein content while pepsin nitrogen digestibility was not correlated to ileal amino acid nitrogen digestibility (r=-0.06). Meat meals with a high protein content had relatively low hydroxyproline and hydroxylysine levels something that was attributed to the levels of collagen from bone. The data indicated that lanthionine (formed upon heat treatment of cysteine with a hydroprotein) is not a good indicator of the heat treatment employed to meat and bone meal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to predict the apparent digestible content of amino acids from rapid in vitro assays are presented. The most selected variables included ash and crude fat content. In general the equations derived for the essential amino acids had a higher degrees of fit (R2) compared to the non-essential amino acids. The R2 for the essential amino acids ranged from 0.43 for histidine and 0.68 for leucine. These equations provide a means of more rapidly estimating the apparent ileal digestible amino acid content (protein quality) of meat and bone meal using standard analyses.

Seasonal Variation in the Nutritional Content of Mideodeok Styela clava

  • Nacional Loda M.;Lee Jong-Soo;Kang Seok-Joong;Choi Byeong-Da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9권2호
    • /
    • pp.49-56
    • /
    • 2006
  • We evaluated changes in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Mideodeok Styela clava harvested during the months of January, March, and May 2005.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leucine, and lysine were the most dominant amino acids present. Ratios of essential amino acids to nonessential amino acids were comparable to those of many fish species, with values ranging from 0.55 to 0.61 and 0.66 to 0.67 for muscle of Mideodeok from Geoje and Tongyeong, respectively. Mideodeok seems to be a suitable source of important fatty acids as it contains high level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Eicosapentanoic acid EPA; 20:5n-3 and docosahexanoic acid DHA; 22:6n-3 were the most dominant fatty acids, ranging from 20.0 to 22.3% and 16.5 to 17.9% in muscle, and 20.3 to 23.2% and 15.2 to 18.8% in tunic, respectively. The total mineral fraction of Mideodeok was 22.2-27.3% of dry matter. Sodium, calcium, magnesium, and potassium were the most dominant minerals in both muscle and tunic.

육계에 있어서 활성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의 급여가 영양소 이용성과 장내 미생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Live Yeast (Saecharomyces cerevisiae) on Nutrient Utilization and Changes of Intestinal Microorganism in Broiler Chicks)

  • 이현우;김인호;김춘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03-211
    • /
    • 1995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live yeast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s utilization, tibia mineral deposit and intestinal microorganism changes, a growth assay was conducted with 360 broiler chicks. Treatments were four levels of yeast as 0, 0.025, 0.05 and 0.1% in 1.83% tricalcium phosphate and two levels of yeast as 0 and 0.05% in 1.15% tricalcium phosphate.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live yeast was 45%, and 97% of it was in the pure protein form, with 46.6% of essential amino acids and 53.4% of non-essential amino acids. Growth performance was tended to increase by feeding the yea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P>.05). The protein digestibility was increased as the feeding level of yeast increased. However, digestibilities of fat, fiber, calcium and phosphorus were not affected by the yeast. Ash and calcium content of tibia were increased as the level of yeast increased. Total number of E. coli in small intestine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5) in chicks fed yeast. Total number of Lactobaci1lu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yeast feeding. The changes of microorganism in cecum had the same trend with the changes of microorganism in small intestine.

  • PDF

한국 녹차 화분의 화학적 조성과 기능성 연구 (Chemical Composition and Bioactivity of Korean Green Tea (Camellia sinensis) Pollen collected by Honey Bee)

  • 장재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9-93
    • /
    • 2018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utritional composition including proximate, amino acid, vitamin, minerals,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pollen grains collected by Apis mellifera bees, for use as a health food. The crude protein and fat content was estimated at 26.14% and 3.49%, respectively. Eighteen amino acids were identified in green tea pollen, including 8 essential amino acids and 10 non-essential amino acids. The predominant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proline and aspartic acid accounting for about 33.3% of total free amino acids. The concentration of vitamin C was the highest value of 35.7%, followed by $B_3$ and $B_2$ among the detected vitamins. The predominant minerals were potassium (790.32 mg/100g), followed by phosphorus (707.52 mg/100g) and sulfur (302.67 mg/100g), whereas copper, zinc and sodium were detected as minor elements.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accounted for 33.8% at $500{\mu}g/mL$ extract and $2.55 {\mu}g/mg$, respectively.

Comparison of quality and bioactive components of Korean green, white, and black teas and their associated GABA teas

  • Choi, Sung-Hee;Kim, Il-Doo;Dhungana, Sanjeev Kumar;Shin, Dong-Hyun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28-234
    • /
    • 2022
  • Various types of tea have been cultivated to obtain different flavors and enhance their functional propert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γ-aminobutyric acid (GABA) teas produced from commercial Korean green, white, and black teas. The concentration of total minerals was reduced in GABA green tea and GABA white tea but was improved in GABA black tea. The essential, non-essential, and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were remarkably increased in the GABA teas. The amino acid GABA content was increased by 561.00 and 294.20 times in GABA white tea and GABA black tea,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potential was not reduced, although the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decreased in GABA green tea and GABA black te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all nutritional value of commercial green, white, and black teas could be improved by processing them into GABA teas.

중년여성의 요통에 따른 골밀도 측정 (Measurement of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Middle aged Women with Low Back Pain)

  • 강점덕;김종봉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28
    • /
    • 2001
  • 본 연구는 2000년 7월 20일부터 2001년 1월 12일까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가톨릭병원 건강검진센타에서 골다공증 검사를 시행한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령은 50~59세가 66.0%로 가장 많았고, 평균연령은 56세이고, 49세 이하는 정상군이 18.7%, 50~59세는 골감소군 83.4%, 60세 이상은 골다공증군이 36.4%로 각각 가장 많았으며, 요추부의 평균골밀도는 연령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었지만 유의하지 않았다. 요통유무는 요통이 있다가 76.0%로 많았고, 요통이 있다는 골다공증군 90.9%, 요통이 없다는 정상군이 43.7%로 각각 유의하게 많았으며 (p<0.05), 골밀도는 요통이 있다가 1.00g/$cm^2$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좋아하는 식품은 채소류가 62.0%로 많았고, 생선류는 요통군과 비요통군에서 정상군이 각각 33.3%, 57.1%, 채소류는 요통군과 비요통군에서 골다공증군이 각각 85.0%, 100.0%로 각각 가장 많았고, 골밀도는 요통군에서 채소류가 0.71g/$cm^2$로 각각 유의하게 낮았으며 (p<0.05), 비요통군에서도 채소류가 0.82g/$cm^2$로 낮았지만 유의하지 않았다. 혈액형은 B형은 요통군과 비요통군에서 골다공증군이 각각 50.0%, O형은 요통군과 비요통군에서 정상군이 각각 44.4%, 42.9%로 요통군이 많았고, 골밀도는 요통군과 비요통군에서 O형이 각각 가장 유의하게 높았다(p<0.05). 골밀도(BMD)는 평균골밀도(BMD)는 0.79g/$cm^2$, 요통군에서 0.90~0.99g/$cm^2$는 정상군이 77.8%, 0.60~0.69g/$cm^2$는 골다공증군이 50.0%로 각각 가장 많았고, 골밀도는 요통군과 비요통군에서 골밀도 수치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높았다(p<0.05)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요추골밀도의 관련성 있는 요인은 연령, 결혼상태, 운동시간, 좋아하는 식품, 칼슘(Calcium), 골밀도의 표준편차인 T값이다(P<0.05). 요통과 골밀도의 관련변수별 상관관계에서 연령과 요통유무, 알카리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 몸무게와 체질량지수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p<0.01), 몸무게와 신장, 알카리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와 칼슘(Calcium), 골밀도와 폐경유무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p<0.05), 연령과 폐경유무, 골밀도, 골밀도의 표준편차인 T값, 골밀도와 좋아하는 식품, 알카리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는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1).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요추골밀도의 관련성있는 요인은 연령, 운동시간, 좋아하는 식품, 칼슘(Calcium), 골밀도의 표준편차인 T값이고,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의 50대가 66.0%로 가장 많아 폐경유무에서 폐경이다는 골감소군이 83.3%로 가장 많았으므로 폐경 후 기간이 길수록 요추골밀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본 연구에서는 의미 있는 설명 변량이 되지 못했다. 요통과 골밀도의 관련변수별 상관관계에서 연령, 요통유무, 폐경유무, 칼슘(Calcium), 인(Phosphorus), 알카리포스파타제(Alkaline phosphatase)가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된다.

  • PDF

경기도 고양지역 육상 및 하천골재의 부존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Land and River Aggregates Distribution in Goyang City, Korea)

  • 이호일;변욱환;고경태;염승준;지상우;조환주;신승원;이진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54권5호
    • /
    • pp.535-547
    • /
    • 2021
  • 골재는 필수적인 건설자재로 골재의 수요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각 시군에 따라 부존 특성이 다르며, 골재 자체의 사용물량과 그 중량으로 인해 원거리에서 조달이 힘들다는 특성으로 인해 1993년부터 지역별 골재자원조사가 시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골재수급의 안정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매년 실시하는 시군단위 골재자원조사의 일환으로 2020년 경기도 고양시를 조사지역으로 선정하고 시추조사를 수행하여 골재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다. 고양시는 동쪽으로 높은 지대를 형성하고 남서부 일대는 한강을 따라 넓은 평지가 발달하는 지형을 보이며, 국가하천인 한강과 18개의 지방하천이 발달하고 있다. 시추조사를 통해 고양시의 충적층의 심도는 남쪽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경향을 보이며, 골재 부존량은 비교적 많은 편이지만 부존 심도가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양시의 충적층 심도의 변화 및 골재 부존량의 변화는 18개의 소규모 하천의 상류에서 하류로 이어지는 퇴적특성의 영향보다는 한강의 활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특성은 서해안에 인접한 시군에 대한 골재분포와 비교적 유사한 경향을 보여준다. 따라서 서해안과 접하는 지역은 전반적으로 서해로 유입되는 비교적 큰 하천을 주변에서 골재 부존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