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ophageal Carcinoma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31초

Clinical Outcomes of Basaloi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142 Cases

  • Zhang, Bai-Hua;Cheng, Gui-Yu;Xue, Qi;Gao, Shu-Geng;Sun, Ke-Lin;Wang, Yong-Gang;Mu, Ju-Wei;He, Ji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3호
    • /
    • pp.1889-1894
    • /
    • 2013
  • Background: Basaloid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BSCCE) is a rare and distinctive tumor with no standard treatmen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reatment in relation to prognosis of the disease. Methods: A total of 142 patients with BSCCE that underwent treatment in our hospital from March 1999 to July 2010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All patients received surgery, 42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28 patients chemotherapy. Results: There were 26 patients included in stage I, 60 in stage II, 53 in stage III and 3 in stage IV. The clinical symptoms and macroscopic performances of BSCCE did not differ from those of typical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Among 118 patients receiving endoscopic biopsy, only 12 were diagnosed with BSCCE. The median survival time (MST) of the entire group was 32 months, with 1-, 3- and 5-year overall survival (OS) of 81.4%, 46.8% and 31.0%, respectively. The 5-year OS of stage I and II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stages III/IV, at 60.3%, 36.1% and 10.9%, respectively (p<0.001, p=0.001). The MST and 5-year OS were 59.0 months and 47.4% in patients with tumors located in the lower thoracic esophagus, and 27.0 months and 18.1% in those with lesions in the upper/middle esophagus (p=0.002). However, the survival was not significantly improved in patients undegoing adjunctive therapy.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NM stage and tumor location to b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urthermore, distant metastasis was the most frequent failure pattern, with a median recurrence time of 10 months. Conclusion: BSCCE is an aggressive disease with rapid progression and a propensity for distant metastasis. It is difficult to make a definitive diagnosis via preoperative biopsy. Multidisciplinary therapy including radical esophagectomy with extended lymphadenectomy should be recommended, while the effectiveness of radiochemotherapy requires further validation for BSCCE.

Intervention Effects of Nedaplatin and Cisplatin on Proliferation and Apoptosis of Human Tumour Cells in Vitro

  • Su, Xiang-Yu;Yin, Hai-Tao;Li, Su-Yi;Huang, Xin-En;Tan, Hua-Yang;Dai, Hong-Yu;Shi, Fang-F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9호
    • /
    • pp.4531-4536
    • /
    • 2012
  • Objective: To study synergistic effects of nedaplatin and cisplatin on three human carcinoma cell lines (esophageal carcinoma cell line Eca-109, ovarian carcinoma Skov-3 and cervical carcinoma Hela). Methods: Inhibition effects were evaluated by MTT assay and cell apoptosis was detected by flow cytometry. In addition, changes of Ki-67, Bax and Bcl-2 at mRNA and protein levels were quantified by RT-PCR and Western blotting. Results: Growth inhibition in each cell lines was dose-dependent after exposure to nedaplatin or cisplatin alone. The interaction of the two drugs was synergistic at higher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median-effect principle. The inhibition rates with nedaplatin, cisplatin and combined treatment were $41.9{\pm}4.1%$, $47.4{\pm}2.9%$, $52.5{\pm}0.9%$(Eca-109), $39.0{\pm}1.26%$, $45.0{\pm}1.45%$, $56.2{\pm}1.44%$ (Skov-3) and $44.8{\pm}2.11%$, $46.9{\pm}0.99%$, $56.6{\pm}1.83%$ (Hela) respectively, with increase in apoptosis. Compared with the nedaplatin or cisplatin alone treatment group, the combinative treatment group's Ki-67 and bcl-2 mRNA (protein) expression was decreased while that of Bax mRNA (protein) was increased. Conclusion: Compared to the effects of nedaplatin or cisplatin alone at high concentrations, combination of nedaplatin and cisplatin at low concentrations proved to be much more effective for inhibition of proliferation and the induction of apoptosis in the Eca-109, Skov-3 and Hela cell lines.

p53 변이, Cyclin D1의 과발현, Ki67 지수, 세포분열지수가 식도의 편평상피암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Influences of p53 Mutation, Cyclin D1 Over Expression, Ki67 Index, Mitotic Index on the Prognosis of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 이해원;조석기;성숙환;이현주;김영태;강문철;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2호
    • /
    • pp.835-843
    • /
    • 2005
  • 배경: 분자학적 표지자들과 식도암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아직 뚜렷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p53, Cyclin D1과 Ki67 지수 등 종양 표식자가 국내 식도암 환자에서 수술 후 얻어진 식도암 조직의 병기, 악성도, 임파선 전이 여부 등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가를 알아보고 이를 이용해 향후 국내 식도암 환자에 대한 예후 분석 및 치료방침 결정 그리고 조기발견에 이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 분자학적 표지자들의 임상적용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3월부터 수술 후 조직절편이 보존된 12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직절편의 파라핀을 제거한 뒤에 p53 변이, Cyclin D1의 과발현, Ki67 지수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시행하였으며 조직슬라이드상에서 세포분열지수를 구하였다. 이 결과와 임상적인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환자의 생존 및 재발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환자의 성별, 나이, 병기, 종양 크기, 타장기 전이 여부, 국소적인 재발 여부와 p53의 변이, Cyclin D1의 과발현, Ki67 지수, 세포분열 지수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Ki67 지수는 40 미만인 경우와 40 이상인 경우로 나누었을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생존기간에 있어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11) 다른 표지자들은 생존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높은 Ki67지수는 식도의 편평상피암의 예후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표지자들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번의 연구를 통해 분자학적인 지표들이 임상적으로 가치 있는 인자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고령의 국소 진행된 식도암환자에서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n Elderly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Esophageal Carcinoma)

  • 정배권;강기문;이경원;강정훈;김훈구;이원섭;채규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7권2호
    • /
    • pp.84-90
    • /
    • 2009
  • 목 적: 국소 진행된 식도암으로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고령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병리학적 편평상피세포암으로 확인 된 65세 이상의 식도암 환자 중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받은 2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환자의 병기는 IIa 8명(28.8%), IIb 10명 (35.7%), III 10명(35.7%)이었다. 방사선치료는 6 MV 또는 10 MV X-선으로 45~63 Gy (중앙값: 59.4 Gy)를 분할 조사하였다. 항암화학요법은 방사선치료 시작과 동시에 Cisplatin 75 mg/$m^2$을 제1일에 정주하였고, 5-FU는 1,000mg/$m^2$을 제1일에서 제4일까지 4일간 지속적 정주하여 방사선치료 동안은 3주 간격으로 2회 시행하였고, 방사선치료 후 2회의 항암화학요법을 추가 시행하였다. 결 과: 추적관찰기간은 3~72개월(중앙값: 19개월)이었다.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 후 치료 반응은 완전관해가39.3% (11명), 부분반응은 50.0% (14명), 무반응이 10.7% (3명)로 치료 반응률은 89.3% (25명)이었다. 전체 환자의 1, 2, 3년 생존율은 각각 55.9%, 34.6%, 24.2%이었고 중앙 생존기간은 15개월이었다. 완전관해, 부분반응, 무반응의 종양 반응을 보인 환자들의 2년 생존율은 각각 46.2%, 33.%, 0%이었다. 생존율과 관련된 예후인자로서 병기와 방사선치료 후 종양 반응이 유의하였다. 치료에 의한 합병증으로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결 론: 고령의 국소 진행된 식도암환자에 대한 동시 항암화학방사선치료는 심각한 부작용 없이 비교적 효과적이었다.

Prognostic Value of PLCE1 Expression in Upper Gastrointestinal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Cui, Xiao-Bin;Peng, Hao;Li, Su;Li, Ting-Ting;Liu, Chun-Xia;Zhang, Shu-Mao;Jin, Ting-Ting;Hu, Jian-Ming;Jiang, Jin-Fang;Liang, Wei-Hua;Li, Na;Li, Li;Chen, Yun-Zhao;Li, Fe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2호
    • /
    • pp.9661-9666
    • /
    • 2014
  • Background: A number of studies have identified a shared susceptibility locus in phospholipase C epsilon 1 (PLCE1) for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and gastric cardia adenocarcinomas (GCA). However, the results of PLCE1 expression in esophageal and gastric cancer remain inconsistent and controversial. Moreover, the effects on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remain undetermined.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precise quantific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PLCE1 expression and the risk of ESCC and GCA through meta-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Eligible studies were identified from PubMed, Wanfang Data, ISI Web of Science, and the Chinese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databases. Using RevMan5.2 software, pooled odds ratios (ORs) with 95% confidence intervals (CIs) were employed to assess the association of PLCE1 expression with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relative to ESCC or GCA. Results: Seven articles were identified, including 761 esophageal and gastric cancer cases and 457 controls. Overall, we determined that PLCE1 expression was associated with tumor progression in both esophageal cancers (pooled OR=5.93; 95%CI=3.86 to 9.11) and gastric cancers (pooled OR=9.73; 95%CI=6.46 to 14.7). Moreover, invasion depth (pooled OR=3.62; 95%CI=2.30 to 5.70) and lymph node metastasis (pooled OR=4.21; 95%CI=2.69 to 6.59) were linked with PLCE1 expression in gastric cancer. However,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determined between PLCE1 overexpression and the histologic grade, invasion depth, and lymph node metastasis in esophageal cancer. Conclusions: Our meta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upregulated PLCE1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tumor progression in ESCC and GCA. Therefore, PLCE1 expression can be appropriately regarded as a promising biomarker for ESCC and GCA patients.

식도의 편평상피세포암 환자에서 외부방사선치료의 결과 (The Outcome of Conventional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 장지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1호
    • /
    • pp.17-23
    • /
    • 2008
  • 목적: 최근 진행된 식도암의 치료는 병행항암방사선요법 후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가장 성적이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병행치료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식도암 환자에서 병행치료가 어려워 방사선치료 단독으로 치료받게 된다. 이에 저자는 통상적인 외부방사선치료를 받은 식도암 환자의 치료성적과 예후인자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식도의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진단받고 40 Gy 이상 외부방사선조사를 받은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총방사선량은 $44{\sim}60Gy$(중간선량 57.2 Gy)이었으며 방사선치료 기간은 $36{\sim}115$일(중간방사선치료기간 45일)이었다. 13명(43.3%)의 환자는 당뇨, 고혈압, 결핵 등의 과거력이 있었으며 그중 4명의 환자에서 식도암 진단 전 3명이 위암, 1명이 하인두암으로 진단받고 치료받은 적이 있었다. 원발병소부위는 중흉부식도에 위치한 예가 19명(63.3%)으로 가장 많았고 상흉부식도 4명(13.3%), 하흉부식도 7명(23.3%)이었다. 원발병소의 길이는 $2{\sim}11cm$이었고, 중간 길이는 6 cm이었다. 진단당시 병기는 AJCC 병기로 병기 I이 2명(6.7%), 병기 II 4명(13.3%), 병기 III 19명(63.3%), 병기 IV 5명(16.7%)이었다. 결과: 전체 환자의 중간 생존기간은 8.3개월이었고 1년 생존율 33.3%, 2년 생존율 18.7%이었다. 치료종료 $1{\sim}3$개월째 치료결과를 판정하여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가 6명(20%), 부분관해 21명(70%)이었다. 치료종료 $1{\sim}3$개월 후에 평가한 연하곤란증상은 29명(96.7%)의 환자에서 호전되었다. 치료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에 대한 단변량 분석결과 연령, 종양의 길이, 병기, 치료 전 식사, 치료 목적, 치료에 따른 반응정도가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였다. 다변량분석에서는 종양의 길이, 치료 목적, 치료에 따른 반응정도가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확인되었다. 치료실패는 국소 실패가 28명, 전이가 4명이었다. 추적조사기간동안 2명의 환자에서 이차적인 암이 발생하여 과거력상 식도이외의 암이 있었던 환자를 포함하면 6명(20%)에서 다발성 암으로 진단받았다. 치료로 인한 부작용 중 식도협착이 발생한 예가 3명(10%), 방사선폐렴이 발생한 예가 2명(6.7%)이었다. 결론: 식도암에서 단독 방사선치료 결과는 병행치료에 비해 만족스럽지 못하지만 부작용이 많지 않아 연하곤란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여전히 이용되고 있다. 진행된 식도암에서 항암제 혹은 항암제 이외의 적절한 병행치료를 시행하여 완전관해율을 높인다면 생존율의 향상을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Human Papillomavirus Burden in Different Cancers in Iran: a Systematic Assessment

  • Jalilvand, Somayeh;Shoja, Zabihollah;Hamkar, Rasoo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7호
    • /
    • pp.7029-7035
    • /
    • 2014
  • Certain types of human papillomaviruses (HPVs) are undoubtedly involved in genesis of human malignancies. HPV plays an etiological role in cervical cancer, but also in many vaginal, vulvar, anal and penile cancers, as well as head and neck cancers. In addition, a number of non-malignant diseases such as genital warts and recurrent respiratory papillomatosis are attributable to HPV. Moreover, HPV forms have detected in several other cancers including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lung, prostate, ovarian, breast, skin, colorectal and urinary tract cancers, but associations with etiology in these cases is controversial. The aim of this systematic assessment wa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HPV infection and HPV types in HPV-associated cancers, HPV-related non-malignant diseases and in cancers that may be associated with HPV in Iran. The present investiagtion covered 61 studies on a variety of cancers in Iranian populations. HPV prevalence was 77.5 % and 32.4% in cervical cancer and head and neck cancers, respectively. HPV was detected in 23.1%, 22.2%, 10.4%, 30.9%, 14% and 25.2% of esophageal squamous cell, lung, prostate, urinary tract cancers, breast and skin cancers, respectively. HPV16 and 18 were the most frequent HPV types in all cancers. The findings of present study imply that current HPV vaccines for cervical cancer may decrease the burden of other cancers if they are really related to HPV.

부식성 식도염에 의한 협착부에 발생한 식도암 (Carcinoma of Esophagus Developing at the Site of Lye Stricture)

  • 김종훈;김중강;백준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9년도 제13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0.4-10
    • /
    • 1979
  • 대부분의 식도암의 원인은 아직 불명이나 암의 발생과 관련이 있는 식도의 기존질환으로서 부식성 물질에 의한 식도협착, 식도무이완증, plummer-vinson증후군과 식이의 습성 등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20년전(1959년) 양잿물의 오연에 의한 부식성 식도염으로 본원에서 입원치료한 환자에서 최근 연하장애를 주소로 재입원하여 식도 X-선검사 및 식도경에 의한 조직검사 결과 식도암으로 진단된 환자를 경험하였다. 부식성 식도염은 흔히 사고나 자해의 목적으로 부식성 물질을 오연함으로서 환자의 정신 및 신체에 주는 고통이 클뿐아니라 영구적 불구를 막고 생명을 구하기 위해서는 응급을 요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당시의 치료로서 끝나지 아니하고 식도협착이나 드물게는 15∼20년이 경과후 식도암을 유발하는 경우를 볼 때 꾸준한 추적 관찰이 실로 요청되는 바이다.

  • PDF

Patterns and Prognostic Significance of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and the Efficacy of Cervical Node Dissection in Esophageal Cancer

  • Kang, Yoonjin;Hwang, Yoohwa;Lee, Hyun-Ju;Park, In Kyu;Kim, Young Tae;Kang, Chang H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0권5호
    • /
    • pp.329-338
    • /
    • 2017
  • Background: The clinical value of 3-field lymph node dissection (3FLND) i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remains controversial.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atterns and prognostic significance of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CLNM) in ESCC.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77 patients with E SCC who underwent esophagectomy and 3FLND between 2002 and 2016 was conducted. For each cervical node level, the efficacy index (EI), overall survival, recurrence rate, and complication rate were compared. Results: CLNM was identified in 34 patients (44.2%) who underwent 3FLND. Patients with CLNM had a significantly lower overall survival rate (22.7% vs. 58.2%) and a higher recurrence rate (45.9% vs. 16.3%) than patients without CLNM. CLNM w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recurrence in ESCC patients. Moreover, in patients with pathologic N3 tumors, the odds ratio of CLNM was 10.8 (95% confidence interval, 2.0 to 57.5; p=0.005). Level IV dissection had the highest EI, and level IV metastasi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verall survival (p=0.012) and recurrence (p=0.001). Conclusion: CLNM wa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for ESCC patients and was more common among patients with advanced nodal stages. Level IV exhibited the highest risk of metastasis, and dissection at level IV may be crucial when performing 3FLND, especially in advanced nodal stage disease.

식도암 환자에서 da Vinci 로봇을 이용한 식도암 수술 (흉골하 통로를 통한 식도-위 문합술) - 1예 보고 - (da Vinci Robot-Assisted Esophagectomy for Esophageal Cancer: A Case of Esophago-gastrostomy through the Retrosternal Route - A case report -)

  • 정상석;최필조;우종수;김시호;방정희;박권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3호
    • /
    • pp.396-400
    • /
    • 2009
  • 다빈치 로봇수술은 현재 다양한 외과영역에서 시행되고 있으나 폐, 식도 외과영역에서는 아직까지 널리 이용되지 않고 있다. 본원에서는 74세 남자환자가 딸꾹질과 연하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검사에서 식도암으로 진단되어 da Vinci 로봇을 이용하여 식도절제술을 시행한 후, 복강경으로 위장튜브를 만들어 흉골하 통로를 통해 경부에서 위장-식도 단단 문합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특별한 합병증 없이 완쾌 퇴원하였다. 향후 다빈치로봇을 이용한 최소 침습수술이 식도암을 비롯한 폐, 식도외과 영역에의 활용에 있어서 좋은 결과가 기대되므로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