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cherichia coli O157:H7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31초

Bactericidal Effect of Combination of Atmospheric Pressure Plasma and Nisin on Meat Products Inoculated with Escherichia coli O157:H7

  • Hag Ju Lee;Yeseul Heo;Hye-Jin Kim;Ki Ho Baek;Dong-Gyun Yim;Anand Kumar Sethukali;Dongbin Park;Cheorun J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02-411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actericidal effect of nisin (Nisin) only, atmospheric pressure plasma (APP) only, and a combination of APP and nisin (APP+Nisin)(APP+Nisin) on beef jerky and sliced ham inoculated with Escherichia coli O157:H7, gram-negative bacteria. The bactericidal effect against E.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was confirmed using a nisin solution at a concentration of 0-100 ppm, and APP+Nisin was tested on beef jerky and sliced ham using 100 ppm nisin. Beef jerky and sliced ham were treated with APP for 5 min and 9 min, respectively. In the bacterial solution, 100 ppm nisin out of 0-100 ppm nisin exhibited the highest bactericidal activity against L. monocytogenes (gram-positive bacteria; p<0.05); however, it did not exhibit bactericidal effects against E. coli O157:H7 (gram-negative bacteria). The APP+Nisin APP+Nisin exhibited a 100% reduction rate in both E. coli O157:H7 and L. monocytogen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was more effective than the Nisin. The APP+Nisin decreased the number of colonies formed by 0.80 and 1.96 Log CFU/g for beef jerky and sliced ham,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and exhibited a higher bactericidal effect compared to the Nisin (p<0.05).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synergistic bactericidal effect of APP and nisin, providing a possible method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nisin against gram-negative bacteria. In addition, this technology has the potential to be applied to various meats and meat products to control surface microorganisms.

Nano-scale Probe Fabrication Using Self-assembly Technique and Application to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 Oh, Byung-Keun;Lee, Woochang;Lee, Won-Hong;Park, Jeong-Woo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8권4호
    • /
    • pp.227-232
    • /
    • 2003
  • A self-assembled monolayer of protein G was fabricated to develop an immunosensor based on surface plasmon resonance (SPR),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antibodybased biosensor through immobilizing the antibody molecules (lgG). As such, 11-mercaptoundecanoic acid (11-MUA) was adsorbed on a gold (Au) support, while the non-reactive hydrophilic surface was changed through substituting the carboxylic acid group (-COOH) in the 11-MUA molecule using 1-ethyl-3-(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hydrocholide (EDAC). The formation of the self-assembled protein G layer on the Au substrate and binding of the antibody and antigen were investigated using SPR spectroscopy, while the surface topographies of the fabricated thin films were analyzed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AFM). A fabricated monoclonal antibody (Mab) layer was applied for detecting E. coli O157:H7. As a result, a linear relationship was achieved between the pathogen concentration and the SPR angle shift, plus the detection limit was enhanced up to 10$^2$ CFU/mL.

Effect of Chaff Vinegar on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 Jo, Seong-Chun;Rim, A-Ram;Park, Hee-Jin;Park, Sun-Min;Lee, Seung-Cheol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130-133
    • /
    • 2005
  • The growth inhibitiory effect of chaff vinegar against various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was evaluated. Bacterial growth was evaluated in chaff vinegar at concentrations of 15, 30, 50, 65, 80, and $100\%$ using the paper disc diffusion method and 0.5, 1.0, 1.5, 1.8, 2.0, 2.2 and $2.5\%$ in broth. In the paper disc diffusion assay, chaff vinegar showed a clear zone on both the Gram-positive bacteria;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and Gram-negative bacteria;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and Vibrio parahaemolyticus. Chaff vinegar exhibited the greatest growth inhibition for V. parahaemolyticus. The bactericidal effect of chaff vinegar on the E. coli O157:H7 was tested at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5 to $2.5\%$ (v/v) in the LB broth media. Chaff vinegar retarded the lag phase time of the growth curve in propor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haff vinegar at $2.5\%$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E. coli O157:H7.

미생물학적 식품안전을 위한 기후변화 영향 식품 및 식중독 세균 우선순위 결정 (Ranking Determination of Foods and Foodborne Pathogens for Impact of Climate Change on Microbiological Food Safety)

  • 박경진;하상도;오덕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6-40
    • /
    • 2013
  •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미생물학적 식품안전상 쉽게 영향 받을 수 있는 식품과 관련 식중독세균을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Risk Ranger를 활용한 Excel spreadsheet 상의 모델을 개발하였고, 모델 입력값은 자료의 부족으로 전문가 설문을 통해 결정하였으며, 확률분포모델과 @RISK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제 국내 식품중 기후변화에 대한 민감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위 5개 식품군과 이들 식품과 관련된 주요 식중독 원인균을 결정하였다. 추정결과, 상위 5종 식품과 관련 식중독 세균으로는 즉석섭취식 품류(RTE) (황색포도상구균, 살모넬라, 병원성대장균 O157:H7)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이 떡류 및 빵류 (황색포도상구균, 바실러스 세레우스), 식육 및 알가공품 (살모넬라, 병원성대장균 O157:H7, 황색포도상구균), 두부류 또는 묵류 (바실러스 세레우스, 병원성대장균 O157:H7, 황색포도상구균)였으며, 마지막으로 어육가공품(황색포도상구균, 비브리오, 병원성대장균 O157:H7)의 순으로 나타났다.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0157 : H7 from Plants in Korea

  • Park, One-Kyun;Insun Joo;Kim, Ki-Hyun;Sung, Chang-Ke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4호
    • /
    • pp.324-328
    • /
    • 1998
  • We screened the methanol extracts from 133 plant species growing in Korea fo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0157 : H7. Those are selected from three plant grouping ; traditional medicinal herbs, edible plants, and flowers. They were tested by disk diffusion assay. From evaluation of the inhibition zone diameter of microbial growth, we found that the flower extract of Rhododendron Schilpenbachii Max had the most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is bacteria. Extracts from most of the vegetables and plants did not show antimicrobial activity except for the leaves of Ginkgo biloba L. and seeds of Prunus Dallicina L. did not show antimicrobial activity except for the leaves of Ginkgo biloba L. and the seeds of Prunus sallicina L.

  • PDF

어린잎채소 생산 농장의 위생지표세균과 병원성미생물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 during Production of Baby Leafy Vegetables)

  • 이은선;곽민규;김원일;안현미;이효섭;류송희;김황용;류재기;김세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64-271
    • /
    • 2016
  • 본 연구는 어린잎 채소와 생산환경에서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11종의 어린잎채소와 종자, 관개용수, 상토, 작업도구 및 작업자 장갑 등 총 126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위생지표세균(대장균군, E. coli)과 병원성미생물(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종자와 관개용수를 제외한 대부분의 시료에서 대장균군이 검출되었다. E. coli는 분석시료 중 10.3% (13/126)에서 검출되었으며 검출된 시료로는 관개용수, 칼, 작업자 장갑, 및 다채, 적무, 청경채였다. 또한 B. cereus는 상토, 작업도구 및 청경채, 비트, 적근대 등 총 38% (48/126)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한편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어린잎채소는 미생물 안전성면에서는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지만 어린잎채소의 미생물오염을 사전 예방하는 차원에서 농업현장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위생관리 기술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대장균과 살모넬라균에 대한 박하와 배초향 정유성분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from Mentha arvensis L. var. piperascens Malivaud and Agastache rugosa O. Kuntze on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

  • 이승은;박춘근;차문석;김진경;성낙술;방경환;방진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06-211
    • /
    • 2002
  • 박하와 배초향 정유의 보존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그 성분조성을 GC-MSD 분석에 의해 실험한 결과 박하 정유의 주된 성분은 isomenthol로서 전체 정유성분 중 25.84%, menthol이 25.48%이었으며 배초향 정유에는 estragole이 79.83%, limonene이 0.12%함유되어 있었다. 2, 5, 10 mg 농도에서도. E. coli O157 : H7 ATCC 43895에 대한 박하 정유의 생육저해환은 $(9{\sim}14\;mm)$, 배초향 정유는 $(10{\sim}18\;mm)$, S. typhimurium ATCC 7988에 대해서는 박하 정유가 $(9{\sim}13\;mm)$, 배초향 정유가 $(13{\sim}20\;mm으로 나타나 두 정유성분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작용을 나타내었다. 생균수 측정 실험에서 박하 정유는 2 mg이하의 저농도에서 9시간까지 세균의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5 mg 이상의 농도에서는 9시간이후 E. coli O157 : H7 ATCC 43895와 S. typhimurium ATCC 7988을 모두 사멸시켰다. 배초향 정유는 2 mg이하의 농도에서 12시간까지 세균의 증식이 억제되었고 5 mg이상의 농도에서는 6시간이후 세균이 사멸되었다. E. coli O157 : H7 ATCC 43895에 대한 박하와 배초향 정유 성분의 항균작용을 전자현미경 촬영에 의해 확인한 결과 형태학적인 변화와 세포막과 세포벽의 분리 및 세포내용물 유실이 관찰되어 두 정유성분의 항균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Bacillus cereus ASK 202의 $\beta-Agarase$가 생산한 한천올리고당의 항균 효과 (Antibacterial Activity of Agarooligosaccharides Produced by $\beta-Agarase$ from Baciffus cereus ASK 202)

  • 홍정화;이재진;최희선;허성호;공재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77-281
    • /
    • 2000
  • 한천은 비교적 풍부한 수산자원의 하나이나 그 가공 수준은 매우 미약하여 상당수가 폐기되고 있다. 한천의 이용률과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한천올리고당의 미생물학적 활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식품 부패 및 식중독균에 대한 억제 효과는 0.4% 한천올리고당은 첨가한 경우 포노상구균과 대장균 O157:H7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한천올리고당은 pH의 변화에 매우 안정하여 pH는 항균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또한 가압멸균할 경우 항균효과가 현저히 증가함을 보였다 한천올리고당의 가공 적성을 알아본 결과 아미노산 중 alanine, lysine, glycine, phenylalanine을 혼합하면 항균 활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저온에서 산 처리와 적색, 녹색, 청색 LED 조사의 조합에 따른 식중독 세균의 살균 효과 (Bactericidal Effect of Pathogenic Bacteria on Acid Treatment Combined with Red, Green, and Blue LED Light at a Low Temperature Environment)

  • 도정선;정현정;방우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725-1732
    • /
    • 2015
  • 본 연구는 $15^{\circ}C$ 저온환경에서 642 nm, 521 nm, 그리고 461 nm LED를 이용하여 E. coli O157:H7, S. aureus의 식중독균에 대해 pH 7.2, 4.0, 3.5의 환경에서 10시간 동안 조사 후 살균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는 화학적 photosensitizer 없이 직접 조사로 이루어졌다. 642 nm 적색 LED와 521 nm 녹색 LED는 pH 7.2에서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저해시키지 못했다. 반면 461 nm 청색 LED는 모든 pH 환경에서 가장 높은 살균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pH 3.5 환경은 모든 균종에서 높은 생육 저해가 이루어져 그람음성균과 그람양성균에 관계없이 높은 살균 효과를 나타냈다. 모든 파장에서 pH는 강한 산성 환경이 형성될수록 높은 살균 효과가 나타나 pH 3.5의 환경에서 가장 효과적인 저해가 일어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LED 처리 및 산 환경과의 조합을 통해 식품산업의 미생물 안전성을 증진시키는 새로운 살균 처리 기술로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