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cape

검색결과 1,460건 처리시간 0.039초

능동형 피난유도기기와 실시간 피난경로생성 기술을 적용한 여객선 스마트 인명대피 시스템 (Smart Escape Support System for Passenger Ship : Active Dynamic Signage & Real-time Escape Routing)

  • 최장원;양찬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9-85
    • /
    • 2017
  • 여객선 위험상황 발생 시, 선장 및 승무원들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피안내를 하였는지 여부는 매우 중요하다. 그렇지 못할 경우 세월호 사고와 같이 엄청난 참사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선장의 대피 의사결정이 지연되고 대피 상황에서 승객들을 안내할 승무원들도 부족한 상황에서 수많은 희생자가 발생한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라고 볼 수 밖에 없다. 여객선 설계 단계에서 구조적, 물리적으로 비상 대피 경로를 반영하고는 있지만, 실제 대피 상황에서 많은 수의 승객들에게 올바른 대피 안내를 제공하는 것은 여전히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승객들은 공포심에 당황하여 잘못된 방향으로 대피할 수도 있고, 혼잡한 대피상황은 더욱 상황을 악화시킨다. 승무원들도 당황할 수 있는 실제 위험 상황에서 기존의 피난 유도등이나 피난 유도선, 그리고 소수의 훈련 받은 승무원들만으로는 많은 수의 승객을 효과적으로 대피시키기 어려운 현실이다. 여객선 스마트 인명대피 시스템은 2016년부터 4개년 해양수산부 연구개발 과제로 개발 중에 있으며, 대피 경로상의 주요 지점에 설치되는 다수의 능동형 피난유도 장치, 사물인터넷 무선통신기술 LoRa, 실시간 대피경로를 생성 서버, 시각화 관제소프트웨어 등으로 구성된다.

  • PDF

A Multi-agent based simulation Model for evacuees escaping from Tsunami disaster -To evaluate the evacuees escaping program in Fujisawa city, Japan-

  • Fujioka, Masaki;Ishibashi, Kenichi;Kaji, Hideki;Tsukagoshi, Isao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1년도 The Seoul International Simulation Conference
    • /
    • pp.306-312
    • /
    • 2001
  • In this research, we are trying to develop a framework to evaluate the prevention program for Tsunami disaster based on the Multi-agent simulation model. Tsunami has arisen by the earthquake. It happened after flew minutes or few hours when it occurred. It is clear that Tsunami will come after earthquake and from seashore. If we prevent the damage by Tsunami, we should make people who is in the seashore and lived near the seaside escape from there. Moreover we must forecast the escape activity from Tsunami. Former research of this field, some researches try to forecast the escape activity as macro level. However, people who escape from Tsunami is differ from their physical ability and ability of information processing. It needs a more accuracy model to forecast the escape activity of them. Furthermore they make a decision step by step using the various information. Therefore escape activity from Tsunami will describe using an agent based model which can only treat the information processing of human being. In this paper, we develop the evacuation model from Tsunami disaster using the Multi agent based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uman action pattern when Tsunami occurred, and to make an accurately assessment for damages by Tsunami. The Fujisawa city government is planning and operating the various prevention program far Tsunami. However nobody assess it, because they do not have any simulation models for Tsunami disaster. If they want to set an effective prevention program for Tsunami, they should have any kinds of simul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To develop the Multi agent based evacuees escape activity model. 2) Assess the damage of Tsunami in Fujisawa-City.

  • PDF

인간행동습성과 피난계단의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uman Behavioral Pattern and the Design of Escape Stair)

  • 이강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12
    • /
    • 1998
  • 이 연구는 인간의 중요한 행동습성 중의 하나언 좌회전숨성윷 건축설계에 고려활 경우, 고총건 불의 지상총 피난계단은 좌회전계판(피난층으로 내려갈 때 좌회전하여 내려가도록 설계원 계딴) 으료 설계하는 것이 재실자가 보다 더 안전하고 빠료게 피난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윷 현장조사 및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2 20충 규모의 고층건불윷 이용하여 펴난자가 펴난총으로 내려갈 때의 펴난속도를 측정한 결과, 오른손잡이의 경우는 좌회전계단의 사용이 우회전계탄(피난층£로 내려갈 때 우회전하여 내려가 도흑 설계된 계란)의 사용시보다 편하고 빠른 반면, 왼손잡이의 경우는 우회전계란의 사용이 좌회 전계딴의 사용시보다 편하고 빠르다는 것윷 확인하였다, 그려고 우려나라논 94% 이상의 사람이 오른손잡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현재 우려나라 고층건울의 지상총 펴난계단은 조사결과 7 76% 이상이 우회전계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잘못 설계원 펴난계딴의 실태를 감안해 볼 때 이의 시정을 위해서는 판원볍규의 피난계딴 구조기푼에 고총건물의 지상층 펴난계딴은 좌회전계 딴요로 설계하도록 규정할 펼요가 있다.

  • PDF

망목형 탈출장치의 선택성과 정치망에 적용 가능성 (A Study on the Selectivity of the Mesh type Escape Device and the Applicability in a Set Net)

  • 김성훈;김태경;김형석;이주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928-936
    • /
    • 2013
  • This thesis is the fundamental study on the adaptation of escape device for reducing small fishes in set-net. The escape devices for experiments were made the mesh-type devices with three different mesh sizes (60.6, 75.8 and 120.0mm). The experiments of size selectivity on escape devices were conducted by using two kinds of species as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nd sea perch (Lateolabrax maculatusi) in the experimental tank. The size selectivity curve was fitted by using a logistic function and the parameters of selectivity curve were estimated by a maximum likelihood method. In the results; 50% selection ranges for the mesh-type escape devices with three different mesh sizes were; a black rockfish was 18.99 in mesh size 60.6mm and 21.96 in mesh size 75.8mm (120mm could not estimate). A sea perch was 22.02 in mesh 60.6mm and 24.46 in mesh size 75.8mm (120mm could not estimate). The 50% selection range of a black rockfish was wilder than a sea perch about 1.1~.2 time. Therefore, the small fishes are able to reduce by using the mesh type escape device. However, the optimum mesh size should be decided to consider the size of target species and economics of catches.

정치망의 치어혼획저감을 위한 그리드형 탈출장치의 선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vity of grid type escape device for the reduction of small size of fish in set net)

  • 김태경;김형석;이주희;김성훈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9권3호
    • /
    • pp.188-199
    • /
    • 2013
  • This thesis is the fundamental study on the adaptation of escape device for reducing small size of fish in set-net. The escape devices for experiments were made the grid-type devices with three different slit sizes (15, 20 and 25mm). The experiments of size selectivity on escape devices were conducted by using two kinds of species as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nd sea perch (Lateolabrax maculatusi) in the experimental tank. The size selectivity curve was fitted by using a logistic function and the parameters of selectivity curve were estimated by a maximum likelihood method. In the results; 50% selection ranges for the grid-type escape devices with three different slit sizes were; a black rockfish was 13.30, 19.22 and 22.06cm and a sea perch was 17.64, 20.91 and 22.78cm, respectively. The 50% selection range of a black rockfish was wilder than a sea perch about 1.1~1.3 time. Therefore, the small size of fish are able to reduce by using the grid type escape device. However, the optimum slit size of grid should be decided to consider the size of target species and economics of catches.

아파트 피난계단에 적치된 장애물의 실태와 입주민의 피난계단 관리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Obstacles on the Apartment Escape Stairs and the Perception of Residents)

  • 이원주;이창섭;이기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1호
    • /
    • pp.116-123
    • /
    • 2017
  • 본 논문은 아파트 화재에서 재실자의 피난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위치한 183개 아파트 단지의 3,056개 피난계단 층을 대상으로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입주민 183명을 상대로 소방안전교육경험, 피난계단에 대한 안전관리인식, 그리고 소방안전인식에 대한 설문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연구대상물 3,056개 피난계단 층 중 1,916층에 장애물이 방치되어 62.7% 장애물 형성율을 나타내었다. 소방안전교육 경험은 연구대상자의 83.10%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피난계단에 대한 안전관리인식은 평균 $3.84{\pm}0.75%$를 보였으며, 소방안전인식은 평균 $3.49{\pm}0.61%$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연구대상자는 대부분 소방안전교육을 받았고, 피난계단의 안전관리에 대한 방법은 이해하고 있지만, 안전관리에 대한 행동의 실천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책적 제언은 피난계단의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이 행동의 실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방안전교육을 정기적으로 받을 수 있는 사회적 제도와 그 교육에서 피난계단의 관리에 대한 교육내용이 강조되어야 한다.

Feedback-regulated star formation and escape of LyC photons from mini-haloes during reionization

  • Kimm, Taysun;Katz, Harley;Haehnelt, Martin;Rosdahl, Joakim;Devriendt, Julien;Slyz, Adrianne
    • 천문학회보
    • /
    • 제43권1호
    • /
    • pp.57.1-57.1
    • /
    • 2018
  • Reionisation in the early Universe is likely driven by dwarf galaxies. Using cosmological RHD simulations, we study star formation and the escape of Lyman continuum (LyC) photons from mini-haloes with Mhalo<108Msun. We find that feedback reduces star formation very efficiently in mini-haloes, resulting in the stellar mass consistent with the empirical stellar mass-to-halo mass relation derived in the local Universe. Because star formation is stochastic and dominated by a few gas clumps, the escape fraction in mini-haloes is generally determined by photo-ionization, rather than supernova explosions. We find that the photon number-weighted mean escape fraction in mini-haloes is higher (20-40%) than that in atomic-cooling haloes. Despite their high escape fractions, LyC photons from mini-haloes are of minor importance for reionization due to inefficient star formation. We confirm previous claims that stars in atomic-cooling haloes with masses $10^8M_{sun}$$10^{11}M_{sun}$ are likely to be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reionization.

  • PDF

지능형 피난유도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t Guiding Exit Sign System)

  • 김유식;석동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31-134
    • /
    • 2006
  • 현대 건축구조물의 다양화 등으로 화재 시 유독가스와 매연의 심각성과 공간적인 특수성으로 인하여 대형 참사로의 발전 위험성은 더욱 크다. 인명피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피난 및 탈출에 있어서 조속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기존의 고정식 단방향 피난유도등은 효율적인 인명 대피 및 구조가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빠른 피난 및 이동이 가능하도록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위기에 처한 피난자들를 탈출시키고 또한 중앙통제시스템 내에서도 모든 통제가 가능하게 쌍방향 무선데이터 시스템으로 함으로 피난의 효율성 제고와 안전한 피난을 확보할 수 있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재난상황 발생 시 최적 대피경로 설정 (A Mobile Application for Navigating the Optimal Escape Route in Accidents and Emergency Situations)

  • 조성현;주기돈;강훈;박교식;신동일
    • 한국위험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8-36
    • /
    • 2015
  • In early 2011, the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 had greater damage due to earthquake in Japan, and the awareness of safety has increased. In particular, special response systems should be required to handle disaster situations in plant sites which are likely to occur for large disasters. In this study, a program is designed to set up optimum escape routes, by a smart phone application, when a disaster situation occurs. This program could get information of the cumulative damage from sensors and display the escape route of the smallest damage in real-time on the screen. Utilizing our application in real-time evacuation has advantage in reducing cumulative damage. The optimal evacuation route, focusing on horizontal path, is calculated based on getting the data of fire, detected radioactivity and hazardous gas. Thus, using our application provides information of optimal evacuation to people who even can not hear sensor alarms or do not know geography, without requiring additional costs except fixed sensors or server network deployment cost. As a result, being informed of real-time escape route, the user could behave rapidly with suitable response to individual situation resulting in improved evacuation than simply reacting to existing warning ala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