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ruption rate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3초

Monitoring Mount Sinabung in Indonesia Using Multi-Temporal InSAR

  • Lee, Chang-Wook;Lu, Zhong;Kim, Jin Woo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7-46
    • /
    • 2017
  • Sinabung volcano in Indonesia was formed due to the subduction between the Eurasian and Indo-Australian plates along the Pacific Ring of Fire. After being dormant for about 400 years, Sinabung volcano erupted on the 29th of August, 2010 and most recently on the 1st of November, 2016. We measured the deformation of Sinabung volcano using Advanced Land Observing Satellite/Phased Array type L-band Synthetic Aperture Radar(ALOS/PALSAR)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InSAR) images acquired from February 2007 to January 2011. Based on multi-temporal InSAR processing, we mapped the ground surface deformation before, during, and after the 2010 eruption with time-series InSAR technique. During the 3 years before the 2010 eruption, the volcano inflated at an average rate of ~1.7 cm/yr with a markedly higher rate of 6.6 cm/yr during the 6 months prior to the 2010 eruption. The inflation was constrained to the top of the volcano. From the 2010 eruption to January 2011,the volcano subsided by approximately 3 cm (~6 cm/yr). We interpreted that the inflation was due to magma accumulation in a shallow reservoir beneath Sinabung. The deflation was attributed to magma withdrawal from the shallow reservoir during the eruption as well as thermo-elastic compaction of erupted material. This result demonstrates once again the utility of InSAR for volcano monitoring.

맹출장애를 가진 하악 제1대구치의 치료 : 증례 보고 (Management of Eruption Disturbances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 A Case Report)

  • 전현순;양연미;백병주;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14-320
    • /
    • 2013
  • 하악 제1대구치 맹출장애의 빈도는 전체 인구의 0.01%로 드물게 나타나며, 발생 원인과 발견 연령 등에 따라 매복, 일차적 만기잔존(primary retention), 이차적 만기잔존(secondary retention) 등으로 분류된다. 치료로는 주기적 관찰, 외과적 노출술, 외과적 노출술 후 교정적 견인술, 탈구를 동반한 교정적 견인술, 외과적 재위치술, 발치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 증례보고는 각각 매복, 일차적 만기잔존, 그리고 이차적 만기잔존으로 진단된 5명의 환자들에서 다양한 치료방법을 이용하여 하악 제1대구치를 성공적으로 교합유도한 증례들을 보여준다. 맹출장애를 갖는 하악 제1대구치는 치아의 평균적인 맹출시기에 임상 및 방사선검사를 통해 매복, 일차적 만기잔존, 그리고 이차적 만기잔존으로 적절하게 진단내려질 수 있으며, 치아의 맹출 정도, 대합치와 인접치와의 관계, 환자의 연령, 협조도, 경제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되어야 한다.

상흉부 이상 부위의 대상포진 및 대상포진후 신경통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Investigation of Herpes Zoster and Postherpetic Neuralgia above T4 Dermatome)

  • 정소영;신성의;윤덕미;오흥근;문봉기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7권2호
    • /
    • pp.242-248
    • /
    • 1994
  • Postherpetic neuralgia is frequently painful, incapacitating, mood depressing, and sometimes lifelong.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duration from eruption to nerve blocks in conjunction with patients age on analgesic and preventive effect for postherpetic neuralgia.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50 outpatient medical records for the above T4 dermatome. Patients had been referred to pain clinic and were treated over 2weeks from Jan. 1988 to Dec. 1993. Fifty patien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as follows: Group I (a): less than 4weeks from eruption to nerve block and younger than 65 years old. Group I (b): less than 4weeks from eruption to nerve block and older than 65 years old. Group II (a): more than 4weeks from eruption to nerve block and younger than 65 years old. Group II(b): more than 4weeks from eruption to nerve block and older than 65 years old. Mean number of stellate ganglion blocks were 29.7. Tramadol, amitriptyline, nicardipine were most commonly prescribed. Group I (a): had the most improvement rate(77.8%) as compared with other group(46.6, 52.7, 56.0%). Number of patients who complained of severe pain (VAS > 5) were 0, 3(39%), 2(15.4%), 5(30%) in I (a), I (b), II (a), II (b) group respectively. In conclusion, analgesic effect was best in cases of patients younger than 65 years old whose treatment were started within 4 weeks of eruption. Patients older than 65 yrs, analgesic effect did not vary on the timing of treatment.

  • PDF

하악 제 1대구치 맹출 장애의 빈도와 치료 (Prevalence and treatment of mandibular first molar eruption disturbances)

  • 손우성;송효경;김성식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5호
    • /
    • pp.328-338
    • /
    • 2017
  • Introduction: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scribe the prevalence and treatment of mandibular first molar eruption disturbances. Methods: A total of 38 mandibular first molars(M1mn) from 36 patients(17 males and 19 females; aged 9 years 2 months?35 years 10 months) were identified from the 13,391 patients that received orthodontic treatment from 1983?2012.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3 categories based on panoramic radiographic examination: impaction due to ectopic position of the tooth germ relative to the contra-side same tooth(Group 1), impaction due to obstruction of the eruption path with cyst or calcium mass (Group 2), and primary and secondary retention due to defects in the follicle or periodontal ligament(PDL; Group 3). The treatment outcomes were evaluated into four categories: no treatment(A), orthodontic traction(B), autotransplantation(C), and extraction due to orthodontic traction failure(D). Results: The prevalence rate of M1mn eruption disturbances in this sample was 0.27%. In Groups 1 and 2, most of the impacted M1mn were erupted successfully by orthodontic traction. In Group 3, most of the retained M1mn were failed to erupt and recommended for extraction. Conclusions: Treatment prognosis was favorable on Group 1 & 2 than Group 3. After removing an element of the cause in case of Group 1 & 2, orthodontic traction or periodic observation will be recommended.

  • PDF

자연 지능 제어에 의한 제주도의 화산 폭발 속도와 튜물러스 (The Volcanic Eruption Velocity and Tumulus of Jeju Island Controlled by the Natural Intelligence)

  • 이성국;이문호;김정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493-499
    • /
    • 2022
  • 본 논문은 제주도의 화산이 폭발 시에 얼마만한 속도로 폭발했으며, 폭발 후에 생기는 튜물러스와 한라산 중턱에서 폭발된 현무암이 바다까지 밀려온 결과를 보고한다. 현무암 지하 마그마가 약 절대온도 1000K로 지상의 중성대를 뚫고 1950m 상공에서 절대온도 1200K로 폭발하면서 나올 때의 속도에 대해 분석했다. 부력(浮力)에 의한 화염 기둥의 열기류인 Plume 화산 폭발로 인한 주변의 공기보다 연소가스의 밀도가 작아져 부력이 발생하고 상승 기류가 형성된다. 화염 기둥은 연속, 간헐, 부력 화염 영역으로 분류된다. 한라산(1950m) 화염 기둥의 속도는 상승한 최고점에서 낙하함으로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환되어 유체흐름에 의해 이 두 식을 같게 놓아 풀면 화산 폭발 속도87.5m/s를 얻었다. 이때 마그마의 밀도는 온도에 반비례한다. 거문오름(456m)은 폭발 속도는 42.6m/s로 계산했다.

영구치 맹출양상에 관한 연구(제1대구치) (The Study of Eruption Process of the Permanent Teeth (First Permenent Molar))

  • 김진태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1권12호통권175호
    • /
    • pp.1005-1010
    • /
    • 1983
  • To study the eruption process of the permanent tooth, esp., 1st molar, the author took 303 cases of oblique cephalogram (Male. 162 cases, Female: 141 cases) from age 3 to 8 yea old children, and observed the vertical change and axial change. The result were as follow: 1. The mesial end of upper 1st molar was closer to the occlusal plane than the distal, and they were erupting toward the occlusal plane by aging. In the case of lower 1st molar, the distal end was closer to the occlusal plane than the mesial and the occlusion showed the tendency to accord with the plane to be settled by aging. 2. Eruption rate of the upper and lower 1st permanent molar increased rapidly at 5 or 6 years of age. 3. Axial inclination of lower 1st permanent molar to the mandibular plane decreased gradually from 3 years of age, except for 6 years of age. There was some increase at 5 or 6 years of age.

  • PDF

울릉도 알봉 용암돔의 미정 조직분석으로부터 폭발성 및 분류성 분출 간의 전환 해석 (Interpretion of Transition between Explosive and Effusive Eruptions from Microlite Textural Analyses in the Albong Lava Dome, Ulleung Island, Korea)

  • 황상구;김기범;손영우;현혜원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5호
    • /
    • pp.553-564
    • /
    • 2020
  • 울릉도에서 폭발성 및 분류성 분출 간의 전환은 돔형성 분출을 나타내는 나리분석층과 알봉조면안산암(용암돔)에서 관찰되며, 유동성 마그마, 상승률 및 탈기작용과 같은 요인과 연관된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해석은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분출과정에서의 거동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지금까지 해결되지 않았다. 이 논문은 나리 칼데라에서 알봉 용암돔 형성과정에서 인지되는 폭발성 및 분류성 분출에 초점을 두었다. 시료는 분석층과 용암돔에서 시간에 따라 채취하였으며, 분출 단계 및 활동 양식과 연계되어 있다. 이 시료들에서 석기 장석미정의 조직은 면적 개수밀도, 평균 미정크기, 결정 종횡비, 석기 결정률 등을 포함하며 정량적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미정의 조직은 천부에서 분출전 및 분출동시 마그마 과정이 분출 동안 거동변화를 제어하면서 진행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폭발성 및 분류성 분출 간의 전환은 주로 화도 내 마그마 상승의 역학관계에 의해 일어났으며, 탈기작용과 결정작용이 피드백 메카니즘을 통해 일어남으로서 분류성 및 폭발성 분출의 한 윤회를 초래했다.

고정식 장치를 이용한 조기 맹출 소구치의 안정화 (STABLIZATION OF THE EARLY ERUPTED FIRST PREMOLAR WITH FIXED APPLIANCE)

  • 황지원;김성오;최형준;최병재;손홍규;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2-67
    • /
    • 2011
  • 치아의 맹출은 일반적으로 치근의 1/2~2/3이 완성(Nolla stage 7)되었을 때 임상적으로 출은(emergence)하여 치근 형성이 완성되기 전에 교합평면에 도달한다. 조기 맹출이란 맹출이 가속화되어 정상 맹출 시기 보다 이른 시기에 맹출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정상 범주를 벗어나는 영구치의 조기 맹출은 매우 드물며 유치의 만성 치근단 주위염 등의 국소적 원인으로 인한 계승 영구치의 상방 치조골이 광범위하게 파괴되었을 때 치아의 치관이나 치근의 형성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채 계승 영구치가 조기 맹출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영구치의 조기 맹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영구치의 조기 맹출이 가능하다. 조기맹출 치아의 임상 소견으로는 심한 동요도와 저작 시 동통, 법랑질의 저석회화, 치아의 편향과 변위, 회전 등이 있으며, 방사선학적 소견으로는 미발육된 치근과 골지지의 부족 등이 있다. 조기 맹출 영구치의 발생 가능한 합병증으로는 만성적인 외상과 동통 및 부종이 있을 수 있고, 맹출 순서의 변경과 인접치의 이동으로 인한 소구치 매복율의 증가, 치아의 변위와 회전이 야기될 수 있으며, 영구치의 탈락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증상이 있는 조기 맹출 영구치의 경우 공간 유지 및 영구치 고정과 주위 조직의 회복, 치근 발육의 유도를 위해 적절한 처치가 필요하다. 전신 질환이 없는 만7세 여환이 상악 양쪽 제 1소구치의 심한 동요도와 동통을 주소로 치과 의원에서 의뢰되었다. 임상 및 방사선 검사상 치근 형성이 거의 없이 양측 상악 제 1소구치들이 조기 맹출되어 심한 동요도와 부종 및 저작 시동통을 나타내어 상악 제 2유구치에 교정용 band와 spur를 이용한 구내 고정식 장치를 제작하여 14개월 간 장착하여 조기 맹출한 치아들을 안정화시키고 성공적으로 치근 형성을 도모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함치성 낭의 조대술 후 이환치아의 맹출 양상 (ERUPTION PATTERN OF A CYST-ASSOCIATED MANDIBULAR PREMOLAR AFTER MARSUPIALIZATON OF A DENTIGEROUS CYST)

  • 김주영;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73-384
    • /
    • 2003
  • 사춘기 전 아동에서 흔히 발생되는 함치성 낭을 조대술로 치료한 후 낭에 이환된 치아의 맹출에 영향 미치는 제반요인을 분석하여 이환된 치아의 외과적 또는 교정적 치료 유무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하악 소구치 부위가 함치성 낭으로 이환되어 있으며 조대술 실시 후 8개월 이내에 촬영된 파노라마 관찰사진이 있는 5-12세 아동 총 22명의 증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초진과 재진 시의 관찰기간 동안에 촬영 한 파노라마 사진으로 트레이싱 용지에 필요한 구조물과 치아를 모두 그렸으며 사진 상의 수직, 수평적인 상의 확대 및 축소의 보상을 위하여 초진사진의 제1대구치 치관크기를 기준으로 모든 사진을 표준화시켰다. 각 사진 상에서 낭에 이환된 부위를 실험군, 동일 악궁의 반대측 부위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교두깊이, 각의 크기, 낭의 크기, 교두점 위치지수를 계측하여 측정값을 얻은 후, 각 치아의 발육단계, 이환치아의 경사도, 위치의 변위율, 낭종의 면적 감소량과 치아의 맹출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맹출 속도, 각의 변화율, 낭면적의 감소율, 실험군 내의 조대술 후의 평균 기간(month)을 산정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낭에 이환된 부위의 영구치의 맹출 속도는 비이환측에 비해 평균 3.5배 빨랐으며 치축의 변화는 평균 $2.7^{\circ}/month$였다. 치근의 성장 단계에 따른 변화에서는 치근의 성장단계가 낮을수록 더욱 빠른 맹출 성향을 보였으며 각의 변화에서도 치근의 성장이 1/4이하 군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낭종내 이환치의 변위에 따른 변화에서는 교두점 위치지수 차이가 30%될 때까지는 맹출 속도가 증가하다가 그 이상에서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낭의 면적 감소율이 $80mm^2/month$이상 감소하는 경우 현저하게 높은 맹출 속도를 보였고 이환된 치아가 근심 변위한 경우 원심 변위한 치아보다 맹출 속도는 낮았지만 각의 변화율은 크게 나타났다. 이환된 치아의 각도 변위가 작을수록 맹출의 속도는 증가하였으며 $15^{\circ}$ 이하의 경우 각도 변화도 높게 나타났다. 조대술 후 대부분의 경우 급격한 맹출 속도와 치축 각의 변화는 6개월 이내에 일어났다.

  • PDF

치아이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ENTAL ANOMALIES)

  • 양숙;김재덕
    • 치과방사선
    • /
    • 제23권2호
    • /
    • pp.303-314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revalence of dental anomalies in 600 normal persons (male:363, female:237) at age 14 to 39 years, through history taking, oral examination, and radiographic observations of subject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evalences of individual dental anomalies were as follows; Congenitally missing teeth 7%; supernumerary teeth 1.33%; ectopic eruption; 8.50%, transposition;0.33% rotation; 23.67%, microdontia;11.16%(peg lateralis;5.33%, third molar;5.83%), prolonged retention of deciduous teeth;1.33%, crowding 49.83%, and spacing;15.17%. 2. Alterations in numbers of teeth : The most frequently missing teeth were mandibular lateral incisors, followed by mandibular second premolars and maxillary second premolars. In numbers of congenitally missing teeth per person, 52.38% had one missing tooth and 30.95% had two missing teeth. In supernumerary teeth, there was higher rate in male than in female. Most supernumerary teeth were mesiodens of median area in maxilla and the eruption pattern of that teeth generally was unerupted state. 3. In transposition, exchange of position of teeth involved the canine and first premolar. 4. Congenital missing rate of permanent successors in prolonged retention of deciduous teeth was 69.23%. 5. Crowing and spacing had respectively higher rate in mandible and in maxill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