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phytic diatom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Epiphytic Diatoms of the Reed Plants in Lake Gocheonam

  • Cho, Kyung-Je
    • ALGAE
    • /
    • 제19권4호
    • /
    • pp.311-320
    • /
    • 2004
  • A great portion of the marginal zone in Lake Gocheonam was covered with reed plants. Algae attached to the reed stems were exclusively composed of diatoms. Sixty-six species of diatoms were encountered in a floral survey. The important species were Nitzschia liebetruthii Rabh., Nitzschia acicularis (Ku¨tz.) W. Sm., Navicula gregaria Donk., Cocconeis placentula var. lineata (Ehr.) V.H. etc. Among the diatom flora, six species - Navicula nivalis Ehr., Navicula recens Lange-B., Nitzschia angustatula Lange-B., Nitzschia compressa (Bail.) Boyer, Nitzschia lanceola var. minutula Grin. and Surirella crumena Bre´b. - were record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s. Life forms of the reed-attached diatoms were simply prostrate. The biomass of epiphytic algae ranged from 0.05㎍ chl-$\alpha$ cm$^{-2}$ to 2.32$\mu$g chl-$\alpha$ cm$^{-2}$. The algal biomass of dead stem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iving stems, and their flora were rich. The algal biomass reached a maximum in the spring after the death of the reed plants. The reed plants exhibited rich diatom flora and significantly high algal biomass on their stems to have taxonomical and ecological importance in the freshwater.

Species Composition of the Epiphytic Diatoms on the Leaf Tissues of Three Zostera Species Distributed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Chung, Mi-Hee;Lee, Kun-Seop
    • ALGAE
    • /
    • 제23권1호
    • /
    • pp.75-81
    • /
    • 2008
  • The epiphytic diatom flora living on leaf tissues of Zostera marina, Z. japonica and Z. caespitosa at three study sites (Dadae, Gabae, and Jangmok) located in Geoje Island has been examined from July 2001 to March 2002 bimonthly. Total 81 species in 26 genera of diatoms have been observed on leaf tissues of the 3 Zostera species throughout the present study. Cocconeis spp. were predominant on Z. japonica, whereas Navicula spp. and Nitzschia spp. were predominant on Z. marina and Z. caespitosa. The community structure of the diatom assemblages varied according to the seagrass species. Species compositions of epiphytic diatoms appear to be closely related to morphology and lifespan of seagrasses.

잘피밭에 서식하는 부착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Epiphytic Algal Community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 곽석남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3-177
    • /
    • 2009
  • 진동만 잘피밭에서 서식하는 대형 부착해조류는 총 3종이었으며, 출현종은 갈조류의 Scytosiphon lomentaria, Colpomenia sp., 그리고 홍조류의 Gracilaria sp., 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편 미세 부착해조류는 Cocconeis scutellum와 Cocconeis placentula가 우점하였다. 잘피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부착해조류의 현존량은 계절 변동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대형 부착해조류는 2003년 11월에 3.3 g $DW/m^2$, 미세 부착해조류는 2003년 6월에 43,153 $cells/m^2$를 보이며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른 해역의 잘피밭(광양만, 동대만 및 앵강만)과 비교해보면, 본 조사해역의 잘피밭에서 서식하는 부착해조류의 종 다양성 및 현존량이 매우 낮게 나타나 특이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잘피밭의 물리학적인 환경특성(예를 들면 조류 및 유속), 잘피 자체의 생물학적인 특성, 그리고 수질의 악화에 기인하였다.

  • PDF

서해산 김 엽체상의 미소생물과 김의 병해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1 . 부착규조류와 주변해수의 식물플랑크톤의 종 조성 및 현존량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piphytic microbes and the blight of Porphyra species from the coastal waters of the Yellow Sea, Korea 1 . Species composition and standing stocks of epiphytic diatom and ambient water phytoplankton)

  • 김중래;신윤근;이건형;이원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9-88
    • /
    • 1991
  • 김의 병해를 일으키는 부착규조류와 주변해수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양상을 조사하고자 개야도, 편포, 목포 등 세곳에서 1989년 2월부터 1990년 3월까지 시료를 채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동정된 부착 규조류는 40종이며 우점종은 Licmophora dalmatica, L. abbreviate, Melosira nummuloides, Paralia sulcata, Achnanthes javanica var. subconstricta, Grammatophora oceanica, Navicula sp., Synedra sp., Pinnularia sp., Fragitaia striatula, Cocconeis scutellum var. parva 등이었는데 그 중 Licmophora dalmatica가 가장 우점하였다. 주변해수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서해 다른 연안에 비해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격포와 개야도의 부착규조류, 주변해수의 식물플랑크톤 상은 유사하였으나 목포의 경우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 PDF

Zostera속 해초에 부착하는 규조류의 부착 특성과 해초 종별 군집 변화 (Attaching Nature and Community Variation of Epiphytic Diatoms on Leaf of Zostera spp.)

  • 정미희;윤석현;윤원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5권4호
    • /
    • pp.184-191
    • /
    • 2010
  • 부착규조류는 초기 부착 생물로서 부착 천이과정에서 부착성 박테리아 층 위 해초 잎 표면 맨 아래 층에 부착함으로써 잎 표면의 미세 지형을 결정하고 다른 부착 생물에게 알맞은 부착환경을 제공해 주는 중요 생물로 부착 기질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연구는 부착 생물 생태 연구에 기초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부착규조류가 해초에 부착 서식하는 형태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1) 해초 잎 세포에 평행하게 또는 세포 변형을 통한 부착 2) 해초 잎 끝부분에 주로 밀집하여 서식 3) 잎의 끝에서 2차 부착 규조류인 줄기를 이용한 규조류보다 1차 부착규조류인 타원형의 규조류 밀집 지역이 많은 것이었다. 또한, 해초의 종별 규조류의 부착 군집 변화를 살펴보면 우선 길이와 너비의 차이가 많으나 세포의 모양이나 크기가 비슷한 Z. marina와 Z. japonica는 규조류의 출현종수, 현존량, 우점종의 차이가 컸던 반면 길이와 너비는 비슷하나 세포의 모양과 크기가 다른 Z. marina와 Z. caespitosa의 경우에는 규조류의 출현종수, 현존량, 우점종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초의 미세지형이 될 수 있는 세포의 모양보다 해초의 길이와 너비 등 외형의 차이가 부착규조류 군집 변화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화 반월 고습지와 저습지의 갈대 부착규조 군집 구조 (Structure of Epiphytic Diatom Communities at the Banwoul High and Low Wetlands in the Shiwha Constructed Wetland)

  • 김용재
    • 생태와환경
    • /
    • 제42권1호
    • /
    • pp.95-106
    • /
    • 2009
  • The Shihwa constructed wetland was established for the treatment of severely poluted water from Banwoul, Donghwa and Samhwa streams. This study was focused on investigating the structure of epiphytic diatom communities on reed (Phragmites communis) planting area at Banwoul high wetland (3 stations) and low wetland (3 stations) from March to October 2005. The concentration of T-N of inlet stations from the streams were decreased by flowed through the wetland, but the concentration of T-P were increased at outflow part. Epiphytic diatoms on the reed were a total 109 taxa which were composed of 103 species, 5 varieties, 1 unidentified species. The standing crops were rapidly decreasing tendency from spring to autumn but chlorophyll-a concentration were showed a very irregulated changes. Dominant species were 6 taxa which were Achnanthes minutissima in the early investigation, and were changed to the genus Navicula and the genus Nitzschia in the summer. DAIpo were ranged the values of $20.2{\sim}51$, which were mesosaprobic states at the high wetland and ranged the values of $12.4{\sim}52$, which were polysaprobic to mesosaprobic states at the low wetland. TDI were ranged the values of $28.8{\sim}94.5$, which were oligotrophic to eutrophic state at the high wetland and ranged the values of $33.3{\sim}89.7$ which were mesotrophic to eutrophic states at the low wetland. The healthy assessment (DAIpo and TDI) of water ecosystem were showed clean-bad from spring to autumn. These epiphytic diatom communities were determinated by the biological factor such as the growth of reed and the physical factors such as water temperature, light penetration and SS and so on.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Cyclotella atomus var. marina (Bacillariophyceae): newly reported in Korean waters

  • Chung, Mi-Hee;Yoon, Won-Duk;Lee, Joon-Baek
    • ALGAE
    • /
    • 제25권2호
    • /
    • pp.57-64
    • /
    • 2010
  • A variety of Cyclotella atomus were discovered among the epiphytic diatoms on eelgrass (Zostera marina L.) in Korean waters. Cyclotella atomus var. marina has a flat and disc-shaped valve, and is clearly differentiated into a striate marginal zone and a smooth central zone. The valves have a very small diameter ranging from 3.1-3.4 ${\mu}m$. This small diatom does not have any central ornamentation. The marginal striate zone has numerous granules toward the mantle. The valves have five or six marginal fultoportulae with two satellite pores and a single marginal rimoportula.

해초에 부착하는 부착생물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 I. 잘피 ($Zostera$ $marina$ L.)의 성장에 따른 부착생물의 군집 변화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piphytes on Seagrass - I. Variations of the Epiphytic Community and Biomass Related to the Host Plant ($Zostera$ $marina$ (eelgrass))

  • 정미희;윤석현
    • 환경생물
    • /
    • 제29권4호
    • /
    • pp.362-372
    • /
    • 2011
  • 본 논문은 잘피의 성장과 부착생물과의 관계, 그리고 부착생물간의 관계를 이해하고자 실시된 연구로서 여수시 돌산읍 율림리에서 1998년 7월에서 1999년 7월까지 총 13개월 동안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잘피 잎의 면적과 부착 생물의 현존량과는 정상관관계를 나타냄으로써 부착가능 면적이 넓어지게 되면 부착생물의 현존량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해초의 외적인 성장이 증가할수록 부착생물이 부착할 수 있는 시간적 가능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부착이 가능한 면적이 확대되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2) 부착생물의 건중량에 대한 무기물량 및 유기물량의 비율과 엽록소 양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볼 때, 부착조류의 경우 석회홍조류나 규조류와 같이 무기물의 비율이 높은 조류의 현존량이 녹조류나 갈조류와 같은 조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독립영양지수 (AI, Autotrophic Index)를 통해 살펴본 부착생물의 군집은 약 2개월의 종속영양군집이후 1개월의 독립영양군집이 나타나는 현상을 보였으나, 독립영양생물을 위주로 한 군집의 유지기간이 짧고 지수의 값이 높은 것을 고려할 때, 유기물질 또는 미생물 등을 위주로 한 종속영양생물의 군집이 우점한다고 유추할 수 있었다.

A Study on Cultivation of Petalonia fascia (Scytosiphonales, Phaeophyta) by Vegetative Regeneration

  • Lee,Kang-Hwa;Cho,Jae-Hyun;Shin,Jong-Ahm
    • ALGAE
    • /
    • 제18권4호
    • /
    • pp.333-339
    • /
    • 2003
  • To establish a cultivation method of Petalonia fascia, seeds and seedlings cultures and growth tests were performed at the Daeri aquafarm in Haeui, Shinan, Jeollanamdo, Korea. Gametes were easily released from the mature plurilocular sporangia. They developed to crustose discoidal stolons and grew to filamentous and discoidal stolons. The indoor seeding was performed by using the 100-150 ${\mu}m$long fragments of stolons on Porphyra nets and the erect thalli developed from the cuttings when the seawater temperatures were 10-15$^{\circ}C$. In the experimental cultivation in the sea, 1-2mm long plantlets were found after 15 days of cultivation; after two months thalli grew to their maximal size of 215-355 mm long blades; after three months the length of thalli began to decrease due to distal disintegration and the plant color changed to yellow and epiphytic diatoms were attached on the thalli, which deteriorated the quality of products. The cultivation of P. fascia by the regeneration of filamentous-discoidal complexes was carried out successfully for the first time in Korea.

양식 방사무늬김, Porphyra yezoensis의 활성처리제 처리 효과 (Effects of a Commercial Activating Treatment Agent on Cultured Porphyra yezoensis thalli)

  • 박성우;김대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5-282
    • /
    • 2013
  • 활성처리제는 40~200배의 희석액에 최단시간 1분, 최장시간 3분 침지 후의 방사무늬김과 파래의 사세포율은 방사무늬김은 유엽 및 성엽 모두 100~150배 희석율이 사세포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파래는 희석배율과 침지시간에 관계없이 90%이상 파래가 사멸하였다. 현장시험에서 방사무늬김 세포의 사세포율은 처리시기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처리 전은 2.1~17.6%였으며, 처리 후에는 2.1~15.0%로 처리 전후의 사세포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파래의 사세포율은 처리전에는 0~4.6%였지만, 처리 후에는 99.0~100%로 활성처리제의 처리는 파래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또한 활성처리제 처리는 엽체의 부착 규조류는 33.3-97.2%, 부착 생균수는 1/10~1/100,000로 감소시킨 반면 엽체의 색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므로 방사무늬김 엽체의 상태와 수온 등을 고려하여 본 활성처리제를 100~150배의 희석농도에 1~3분간 처리함으로써 파래의 제거, 부착 규조류의 탈락, 엽체 부착 생균수의 감소 효과가 있으며, 방사무늬김의 색택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아 방사무늬김 활성처리제로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