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gallocatechin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19초

저장 조건이 녹차 음료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Green Tea Beverage)

  • 이정민;임상욱;조성환;최성길;허호진;이승철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3호
    • /
    • pp.27-34
    • /
    • 2009
  • 녹차 잎 1.5 g에 증류수 100 mL을 가하여 $75^{\circ}C$에서 5분 동안 추출하여 녹차 음료를 제조하였다. 저장 조건을 달리하여 A 녹차 음료 (빛을 인위적으로 차단하지 않음, 자연 상태의 대기 조건, 비타민 C 무첨가), B 녹차 음료 (빛을 알루미늄 호일로 감싸서 차단함, 질소를 불어넣어 자연 대기를 질소로 치환하였음, 비타민 C 30 mg/100 mL 첨가), C 녹차 음료 (빛을 알루미늄 호일로 감싸서 차단함, 질소를 불어넣어 자연 대기를 질소로 치환하였음, 비타민 C 무첨가)로 구분하여 $4^{\circ}C$에서 28일간 저장한 후, 유용 성분을 분석하였다. 총페놀 함량의 경우 저장 초기에 비하여 저장 28일 후 A 녹차 음료는 71.50%, B 녹차 음료는 73.88%, C 녹차 음료는 75.07%로 감소하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저장 초기에 비하여 A 녹차 음료는 87.87%, B 녹차 음료는 92.93%, C 녹차 음료는 88.39%이었다. 녹차의 유용 카테킨인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는 28일간 저장 후에 A 녹차 음료는 130.61%, B 녹차 음료는 136.47%, C 녹차 음료는 4.34%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녹차의 저장 조건이 녹차 음료의 성분에 영향을 미치며, 빛, 질소 치환, 비타민 C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HaCaT cell에서 황련 추출물(Coptis chinensis)의 피부보습과 항염증 효과 (Skin Moisturizing Propertie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Coptis chinensis in HaCaT cells)

  • 김은희;문영란;장영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870-882
    • /
    • 2021
  • 황련은 한의학에서 진정, 소염, 항균 및 해열 등의 여러 질병의 치료에 이용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UVB와 TNF-α/IFN-γ로 유도된 HaCaT 세포에서 피부장벽과 염증관련 인자에 대한 황련 열수 추출물(CCW)의 효과를 조사하고, 보습 및 항염증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에서 CCW의 보습 및 항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MTT assay를 통한 시료의 독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HA(Hyaluronic acid) 생성량과 filaggrin의 protein 및 mRNA 발현을 측정하였다. TNF-α/IFN-γ로 자극된 HaCaT 세포에서 CCW는 농도 의존적으로 HA의 생성량을 증가 시켰고, filaggrin의 protein 및 mRNA 발현 측정 결과 CCW의 농도 증가에 따라 발현율도 증가하였다. UVB로 유도된 HaCaT 세포에서 CCW는 ROS의 생성을 감소 시켰고,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인 EGCG( (-)-epigallocatechin-3-gallate)와 유의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또한, CCW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TNF-α, IL-1β, IL-6, IL-8의 발현을 억제 시켰고, TNF-α/IFN-γ로 자극된 HaCaT 세포에서 피부 염증에 따른 주요 인자인 COX-2의 protein 및 mRNA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황련 열수 추출물의 보습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제안할 수 있다.

제주산 녹차, 발효차 추출물과 바나듐의 식후 혈당강하 및 항고혈압 기능에 미치는 In Vitro 효과 (Inhibitory Effect of Jeju Tea Extracts and Vanadate on Postprandial Hyperglycemia and Hypertension, and In Vitro Study)

  • 박신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98-407
    • /
    • 2020
  • 현대인의 기호식품인 차를 이용하여 비 발효차인 녹차와 3가지 발효차로 구분하여 식후 고혈당의 지표가 되는 알파글루코시데이스(α-glucosidase) 활성과 고혈압활성의 지표로 사용되는 안지오텐신전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의 억제작용을 확인하였다. α-glucosidase 억제 활성의 상승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녹차추출물에 인슐린과 유사기능이 있다고 밝혀진 바나듐을 미량(50 ㎍/mL)으로 혼합하여 α-glucosidase 활성 억제를 위한 상승효과 여부를 조사하였다. 또한 녹차의 기능성물질로 알려진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의 농도와 카페인(caffeine)의 농도를 측정하여 녹차와 발효차 효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녹차와 발효차 추출물로부터 식후 혈당을 증가시키는 α-glucosidase 활성이 크게 억제되어 차의 식후 혈당저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차 추출물 중에서도 20% 발효차가 가장 우수한 기능을 보였다. 그러나 차 추출물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와 바나듐과 함께 처리한 경우 서로 다른 결과를 보였다. α-glucosidase 저해효과는 저 농도(50 ㎍/mL)의 녹차와 바나듐 혼합 처리에서 단독 처리에 비해 저해활성이 2배나 증가되어 녹차가 바나듐과 가장 큰 상승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ACE 저해활성은 모든 차 추출물에서 확인되었으나 녹차에서 가장 높게 조사되어 녹차가 다른 차에 비해 가장 높게 측정된 EGCG 농도의 효과로 생각되며 발효차의 식후 혈당강하 및 ACE 저해효과는 EGCG 외에 또 다른 기능성물질이 관여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꾸지뽕-콤부차가 인체 폐세포 및 폐암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Proliferation of Human Lung Cells induced by Fermented Silkworm thorn Fruits Based Kombucha)

  • 조미애;김범정;최호칠;이창무;송경주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49-49
    • /
    • 2023
  • 본 실험은 콤부차의 발효시 에너지원으로 첨가되는 당(sucrose) 대신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Bureau; silkworm thorn) 과일 발효액을 첨가하여 꾸지뽕-콤부차의 기능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대조구인 콤부차는 끓여서 식힌 물 900mL에 홍차 2.4g을 넣어 한시간 동안 추출한 후 초기당도가 10°Bx가 되도록 sucrose를 첨가하였고, 처리구는 sucrose대신 꾸지뽕 과일 무게 대 sucrose의 비율을 1 대 0.9의 비율로 조제하여 발효시킨 꾸지뽕 발효액(당도 50°Bx)을 10°Bx가 되도록 희석하여 첨가하였다. 여기에 발효균인 SCOBY를 첨가한 후 실온에 3주간 보관하면서 1주일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총폴리페놀성 화합물 및 카테킨류 함량, 항산화 활성 및 인체 정상 폐세포주인 MRC-5와 폐암세포주인 A549의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발효 3주 동안 채취한 꾸지뽕-콤부차를 MRC-5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발효 2주까지는 꾸지뽕-콤부차가 대조구에 비해 약 10~30% 세포 증식효과를 보였고 발표 3주째에는 유사한 증식효과를 보였다. 폐암세포주 A549에 처리시에는 발효 2주째 대조구에 비해 낮은 증식율을 보였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이 결과는 꾸지뽕-콤부차가 인체 폐세포 증식을 촉진하나 폐암세포의 증식을 크게 억제하지는 않음을 의미한다. 총폴리페놀성화합물 함량은 대조구의 경우 발효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반면 꾸지뽕-콤부차는 조제직후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이다 서서히 감소하였는데 발효 2주째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3주째에는 대조구에 비해 낮은 함량을 보였다. 카테킨류(Epigallo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ate, 그리고 Epicatechin gallate, epicatechin)는 총 페놀성화합물과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는데, 발표 2주까지는 꾸지뽕-콤부차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가 발표 3주째 크게 낮아졌다. 활성산소 제거능은 발효 2주째까지는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나 3주째 유의적으로 높아져 꾸지뽕-콤부차의 항산화활성은 카테킨류 함량에 비례함을 알 수 있었다. 기능성분 함량과 MRC-5 증식에 관한 상관분석시 총풀리페놀함량이 세포증식에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갈랑가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항노화 효과 및 W/O형 에멀젼에서 항산화 효과의 보존성 (Antioxidant and anti-aging effects of Alpinia galanga L. rhizome extracts and preservation of antioxidant effects in W/O type emulsion)

  • 윤선영;김봉환;장영아;김세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424-435
    • /
    • 2023
  • 본 연구 결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갈랑가 뿌리 70% 에탄올 추출물(AG.E) 100 ㎍/mL 농도에서 81.8%이었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AG.E 50 ㎍/mL의 낮은 농도에서 L-Ascorbic acid (AA)와 유사한 99.8%로 확인되었다. 항노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collagenase와 elas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둘 모두에서 AG.E는 50 ㎍/mL의 낮은 농도부터 epigallocatechin (EGCG)보다 더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500 ㎍/mL 농도에서 EGCG 대비 3배 이상의 저해 효과를 보였다. CCD-986sk 세포내에서 AG.E의 항노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UVB로 자극한 다양한 실험에서도 우수한 항노화 효과가 얻어졌다. RT-PCR을 통한 유전자 발현 분석 실험에서 COL1A mRNA 발현량은 AG.E 20 ㎍/mL 저농도에서 무첨가 대비 2.90배 증가시키는 결과가 얻어져 항노화관련 우수한 기능성 소재로 개발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제형에 소재의 적용 시 생리활성의 경시적 보전성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 AG.E 및 AA등을 안정한 W/O type emulsion에 첨가하여 25 ℃ 항온조에 보관하면서 1일차, 30일차, 60일차에 DPPH와 ABTS+ 라디칼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두 경시적으로 항산화 효과가 높은수준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Sasa quelpaertensis Leaf Extracts Induce Apoptosis in Human Leukemia HL-60 Cells

  • Jang, Mi-Gyeong;Park, Soo-Young;Lee, Sun-Ryung;Choi, Soo-Youn;Hwang, Joon-Ho;Ko, Hee-Chul;Park, Ji-Gweon;Chung, Wan-Seok;Kim, Se-Ja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188-190
    • /
    • 2008
  • In east Asia, the leaves of various Sasa species have been used in folk medicine for centuries. The effects of the methanolic extract and its subsequent fractions derived from the leaves of Sasa quelpaertensis Nakai on cell proliferation in human leukemia HL-60 cells were evaluated.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this extract (ESQL) significantly reduced cell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0-250\;{\mu}g/mL$). ESQL ($IC_{50}=24.8\;{\mu}g/mL$) exhibited growth inhibition comparable to the main constituent of green tea, epigallocatechin ($IC_{50}=26.2\;{\mu}g/mL$), which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ESQL treatment induced apoptosis, which was confirmed by the presence of nuclear condensation and annexin V-staining.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SQL contains chemopreventive phytochemicals that may be useful in neutraceutical applications.

Evaluation of Skin Sebosuppression by Components of Total Green Tea (Camellia sinensis) Extracts

  • Kim, Jeong-Kee;Shin, Hyun-Jung;Lee, Byeong-Gon;Lee, Sang-J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464-469
    • /
    • 2008
  • In human beings, it is known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occurrence of acne and the ability to suppress sebum. Sebosuppression may be related to the inhibition of sebocyte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lipogenesis in sebaceous glands. To investigate the skin sebosuppressive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 the in vivo effects of its flavonoid compounds on the androgen-dependent stimulation of pigmented macules in hamsters and performed in vitro experiments with human primary sebocytes were examined. Our results imply a dual activity of skin sebosuppression by green tea flavonoids; some catechins including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and gallocatechin-3-gallate (GCG) may reduce the differentiation of sebocytes by inhibiting PPAR-${\gamma}1$ mRNA expression, whereas some flavonol glycosides including kaempferol may inhibit lipogenesis in sebaceous glands by decreasing levels of the mature form of sterol-sensitive response elements binding protein-1c (SREBP-1c). Therefore, green tea is a potentially effective material for use in the development of health foods or cosmetics for skin sebosuppression.

Adsorption Isotherms of Catechin Compounds on (+)Catechin-MIP

  • Jin, Yinzhe;Wan, Xiaolong;Row, Kyung-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9권8호
    • /
    • pp.1549-1553
    • /
    • 2008
  • A molecular imprinted polymer (MIP) using (+)catechin ((+)C) as a template and acrylamide (AM) as a functional monomer was prepared. Acetonitrile was used as the porogen with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EGDMA) as the crosslinker and 2,2'-azobis(isobutyronitrile) (AIBN) as the initiator. The adsorption isotherms in the MIP were measured and the parameters of the equilibrium isotherms were estimated by linear and nonlinear regression analyses. The linear equation for original concentration and adsorpted concentrations was then expressed, and the adsorption equilibrium data were correlated into Langmuir, Freundlich, quadratic, and Langmuir Extension isotherm models. The mixture compounds of (+)C and epicatechin (EC) show competitive adsorption on specific binding sites of the (+)catechin-MIP. The adsorption concentrations of (+)C, epicatechin (EC), epicatechin gallate (ECG), and 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on the (+)catechin-molecular imprinted polymer were compared. Through the analysis, the (+)catechin-molecular imprinted polymer showed higher adsorption ability than blank polymer which was synthesized molecular imprinted polymer without (+)catechin. Furthermore, the competitive Langmuir isotherms were applied to the mixture compounds of (+)C and EC.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Targets for Green and Black Tea Polyphenols

  • Bode, Ann M.;Dong, Zigang
    • BMB Reports
    • /
    • 제36권1호
    • /
    • pp.66-77
    • /
    • 2003
  • Tea is one of the most popular beverages consumed in the world and has been demonstrated to have anti-cancer activity in animal models.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the polyphenolic compounds, (-)-epigallocatechin-3-gallate, found primarily in green tea, and theaflavin-3,3'-digallate, a major component of black tea, are the two most effective anti-cancer factors found in tea. Several mechanisms to explain the chemopreventive effects of tea have been presented but others and we suggest that tea components target specific cell-signaling pathways responsible for regulating cellular proliferation or apoptosis. These pathways include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leading to activator protein-1 (AP-1) and/or nuclear factor kappa B(NF-${\kappa}B$ ). AP-1 and NF-${\kappa}B$ are transcription factors that are known to be extremely important in tumor promoter-induced cell transformation and tumor promotion, and both are influenced differentially by the MAP kinase pathways. The purpose of this brief review is to present recent research data from other and our laboratory focusing on the tea-induced cellular signal transduction events associated with the MAP kinase, AP-1, and NF-${\kappa}B$ pathways.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Constituents from Sedum hybridum

  • Gendaram, Odontuya;Choi, Yoen-Hee;Kim, Young-Sup;Ryu, Shi-Yo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279-284
    • /
    • 2011
  • Phytochemical studies on the whole extract of Sedum hybridum L., a Mongolian medicinal plant, has been undertaken to isolate active principles responsible for its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Eighteen known compounds, i.e. (1) quercetin, (2) kaempferol, (3) herbacetin-8-O-${\beta}$-D-xylopyranoside, (4) myricetin, (5) gossypetin-8-O-${\beta}$-D-xylopyranoside, (6) gallic acid, (7) 2,4,6-tri-O-galloyl-D-glucopyranose, (8) 6-O-galloylarbutin, (9) myricetin-3-O-${\alpha}$-L-arabinofuranoside, (10) quercetin-3-O-${\alpha}$-L-arabinofuranoside, (11) caffeic acid, (12) ethylgallate, (13) (-) epigallocatechin-3-O-gallate, (14) palmitic acid, (15) stearic acid, (16) stearic acid ethyl ether, (17) ${\beta}$-sitosterol and (18) ${\beta}$-sitosteryl-O-${\beta}$-D-glucopyranose have been isolated and their molecular structures identified by spectroscopic analysis. Thirteen substances including seven flavonol components (1, 2, 3, 4, 5, 9 and 10), five gallic acid derivatives (6, 7, 8, 12 and 13) and caffeic acid (11) exhibited significant, dose-depend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Galloyl esters 12 and 13 were revealed to be main active principles for the antibacterial property of the extract of Sedum hybridum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