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onyang area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9초

부산시일원(釜山市一圓)(언양(彦陽)-동래지역(東萊地域))의 화성활동(火成活動)과 광화작용(鑛化作用)에 관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Igneous Activity and Mineralization In the Vicinity of the Tongnae-Eonyang, Pusan)

  • 차문성;김정진;윤현
    • 자원환경지질
    • /
    • 제5권3호
    • /
    • pp.151-160
    • /
    • 1972
  • The region is composed of Cretaceous volcanic and sedimentary rocks; andesites and granites, It is clarified by the writers that most formations ever known as andesites are not igneous origin but hornfelsic sedimentary rocks. Refering to this fact, broad area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yeong-Sang Namdo which are colored as andesites in the geologic maps scale 1/50,000, published by Geological Survey of Korea should be rechecked. In this area, four granite plutons are isolated by the hornfelsic sedimentary formation, andesites and alluvium. Each plutons are zoned by the lithological facies.

  • PDF

울산-언양 지역 화강암체 주변의 퇴적암류에 대한 접촉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Contact Metamorphism from the Aureoles of the Granitic Rocks, Ulsan-Eonyang Region)

  • 이상원;이준동;김정진
    • 자원환경지질
    • /
    • 제25권4호
    • /
    • pp.463-477
    • /
    • 1992
  • The study area consists of sedimentary and volcanic rocks of Gyeongsang Supergroup, granitoid intrusives, and hornfelses around the granitoids. Granitoid intrusives occur in small stocks in Nijeon-ri, Uggogri, and Yul-ri area. The masses in Nijeon-ri and Uggog-ri are hornblende-biotite granodiorite, biotite granodiorite respectively, and Yul-ri mass is biotite granite. Surrounding sediments of these masses were thermally metamorphosed and contact aureoles were formed. The studied granitoids are considered to be formed by sequential crystallization-differentiation from calc-alkalic granitoid magma. Metamorphic minerals occurring in contact aureole are chlorite, actinolite, epidote, and biotite. Diopside and hornblende are observed in small amount in some lithology around contact aureole. The lithology of contact aureole is predominantly silty and sandy, and characteristic metamorphic minerals were poorly developed because of low temperature metamorphism. Low temperature in contact aureole could be deduced from the facts that the intrusions were small size, shallow depth, low temperature, and rare movement of volatiles from magma.

  • PDF

지구물리탐사와 지질조사에 의한 양산단층대 남부구간의 기하학적 특성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Southern Yangsan Fault Zone by Means of Geophysical Prospecting and Geological Survey)

  • 이현재;함세영;박삼규;류충렬
    • 지질공학
    • /
    • 제27권1호
    • /
    • pp.9-20
    • /
    • 2017
  • 현재까지 양산단층대 노출 구간의 전기비저항탐사를 통하여 단층대와 전기비저항 값을 부분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몇몇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양산단층대과 같은 대규모 단층 내에서 단층면을 직접 관찰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단층핵부의 풍화작용으로 인해 단층운동 특성을 직접적으로 관찰하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양산단층대 남부 언양지역의 전기비저항탐사 및 미소지형 측량과 지질조사 결과를 종합적으로 해석하여 양산단층의 위치, 발달양상과 단층핵 구간과 이를 중심으로 발달하는 단층 손상대의 지하 발달 특성을 파악하였다. 전기비저항탐사에 의하면 북북동 내지 북동 방향으로 발달하는 저비저항 이상대가 확인되었으며, 전기비저항탐사, 미지형 측량 및 야외 지질조사 결과를 종합할 때, 양산단층대는 하나의 단층핵 또는 파쇄대가 아닌 최소 3~5매의 단층핵, 단층 손상대 또는 파쇄대가 복합적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梁山斷層 周邊의 地形分析 (The Geomorphic Analysis of the Yangsan Fault Area)

  • 조화룡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4
    • /
    • 1997
  • 梁山斷層은 韓半島 南東部 寧海에서 洛東江 河口에 이르는 斷層이다. 이 斷層을 沿하여 扇狀地 起源의 河成段丘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高位面, 中位面, 종低位面으로 구분된다. Mindel/Riss 間 期 혹은 그 이전에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高位面은 斷片的으로 분포하고 있고, Riss 期 및 最終氷期 중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中位面 및 低位面은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한다. 梁山斷層 주변의 地形${\cdot}$地質的 특징은, 梁山斷層이 右橫變位斷層 운동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彦陽 주변과 神光盆地에는 活斷層의 증거로 보이는 지형특징이 나타났다.

  • PDF

언양-밀양 간 국도24호선 석남고개 주변부 절토사면 지반특성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Road Cut Slope in National highway 24 at Suknam pass, Eonyang-Milyang area)

  • 김승현;구호본;이종현;김승희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589-592
    • /
    • 2008
  •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에서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을 잇는 국도 24호선은 왕복 2차선으로 기존 도로의 선형이 매우 불량하고, 위험절토사면이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2002년에는 관련기관과의 연계로 울주-밀양 간 국도 24호선의 도로절토사면에 대한 현황조사가 실시되었으며, 그 중 57개소 현장은 위험절토사면으로 분류하여 추가적인 상세 현장조사가 실시되었으며, 불연속면의 방향에 관한 다양한 정보들이 취득되었다. 2002년에는 관련기관과의 연계로 울주-밀양 간 국도 24호선의 도로절토사면에 대한 현황조사가 실시되었으며, 그 중 57개소 현장은 위험절토사면으로 분류하여 추가적인 상세 현장조사가 실시되었으며, 불연속면의 방향에 관한 다양한 정보들이 되었으며, 이에 대한 길이별, 경사별 분포현황, 불연속면 발달상태 등 여러제반 특성을 살펴 보았다.

  • PDF

언양지역(彦陽地域) 양산단층(梁山斷層) 부근(附近) 단열(斷裂)의 기하(幾何) 분석(分析) (The Geometric Analysis of Fractures near the Yangsan Fault in Eonyang Area)

  • 장태우;장천중;김영기
    • 자원환경지질
    • /
    • 제26권2호
    • /
    • pp.227-237
    • /
    • 1993
  • Lineaments in the Kyungsang basin most intensely develop in the East coast domain including the Yangsan fault, which dominantly run in NNE direction. The geometry of small fault population near or along the Yangsan fault represents the dominant strikes of N35E, high angle dips and shallowly plunging rakes with dextral movement sense. Stereographic solution on the Yangsan fault geometry gives the dip of 88SE, the slip direction of 17,024 and the slip rake of 18, which were determined from the strike (N23E) of the fault measured on map, and the average attitude (N35E, 84SE) and fault striation (16, 037) of small fault population considered as Riedel shears. It is judged from the geometry of small fault population to the main Yangsan fault and dragging features of bedding attitude near the fault that the Yangsan fault was produced from dextrally strike-slip movement. The movement of the Yangsan and the adjacent parallel faults is thought to be taken place much later than the other fault sets in the Kyungsang basin. It might occur during the geologic age from Eocence to early Miocene according to the consideration of K-Ar ages of the igneous rocks near the fault. The estimated paleostress state indicates ENE shortening and NNW extension. The displacement of the Yangsan fault in the study area is not constant along the fault but decreases from the south to the north. Taking the northern end of the study area as a separating point the whole extension of the Yangsan fault may be divided into southern and northern segments.

  • PDF

Active Fault Study of the Yangsan Fault System and Ulsan Fault System,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 경재복;이기화
    • 지구물리
    • /
    • 제9권3호
    • /
    • pp.219-230
    • /
    • 2006
  • Since the key issue that 'the Yangsan fault is seismically an active fault" was raised in 1983, the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studies of active fault have been made by many researchers. These studies are mainly focused on the Yangsan fault system(YFS) and Ulsan fault system(UFS) due to many historical earthquakes occurred in this area.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active faultings under the ENE-WSW horizontal stress fiel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NNE-trending YFS is the most prominent right-lateral strike-slip fault and has a continuous trace about 200 km long. Some part of this system has been active during the late Quaternary with evidences clearly recognized on both the northern (Yugyeri and Tosung-ri areas) and southern parts (Eonyang to Tongdosa area) of the YFS. in the southern part, the estimated vertical slip rate is about 0.02 - 0.07 mm/yr, and the lateral slip rate may be several times larger than the vertical rate. The most recent event occurred prior to deposition of Holocene alluvium, in the northern part, the fault trend locally changes to almost N-S, dips to the east and has reverse movement. The average vertical slip rate is estimated to be less than 0.1 mm/yr. The most recent event probably occurred after 1314 years BP (AD 536). The NNW-SSE (or N-S) trending UFS is a predominantly reverse fault that built up U-ie eastern mountain and has been active during U-ie late Quaternary. The fault trace is not straight but irregularly undulates along the foot of the mountain on the east. From the disturbed terraces along U-ie fault, the average vertical slip rate on U-iis system is estimated to be about 0.08.13mm/yr. The latest event is not well studied, but seems to have occurred after the last glacial maximum in the Malbang fault and 14,000 years BP in the Kalgok fault of the UFS. However, important issues such as fault segmentation, recurrence interval, age of Quaternary deposits need further studies.

  • PDF

울산광역시 언양지역의 지하수 저류 변화량 산정 및 지질과의 관련성 (Estimation of Groundwater Storage Change and Its Relationship with Geology in Eonyang Area, Ulsan Megacity)

  • 김남훈;함세영;김태용;정재열;안정훈;전항탁;김형수
    • 지질공학
    • /
    • 제18권3호
    • /
    • pp.263-276
    • /
    • 2008
  • 지하수 저류 변화량 산정은 수리지질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갈수록 정확한 지하수 저류 변화량 산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수지분석법과 수리지질분석을 이용하여 울산광역시 언양지역의 지하수 저류 변화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지하수 저류 변화량은 연평균 240mm(연평균 강수량의 18.7%)이다. SCS-CN법으로 산정한 직접유출량은 연평균 강수량의 10.6%인 137mm이다. Thornthwaite방법으로 산정한 증발산량은 연평균 강수량의 60.5%인 776mm이다. 토양의 수리적 특성과 암석의 수리전도도 사이에는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지표부근의 토양의 수리적 특성과 천부의 지하 지층의 수리적 특성이 서로 다름을 지시하는 것이다. 지하수 저류 변화량과 수리특성인자들 간의 중다선형 회귀분석 결과, 강수량과 증발산량에 의해서 지하수 저류 변화량이 설명되는 중다선형 회귀식이 도출되었다.

Landsat과 ASTER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한 광물자원탐사로의 적용 가능성을 위한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on the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to Mineral Exploration Using Landsat and ASTER Data)

  • 이홍진;박맹언;김의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43권5호
    • /
    • pp.467-475
    • /
    • 2010
  • Landsat과 ASTER 위성영상을 이용한 암상구분은 반건조-건조 지역을 대상으로 활발한 연구가 이루진 바 있으며, 미국 네바다 금속광화대 지역을 중심으로 광물자원탐사를 위한 초기 단계에서 유용한 방법으로서의 가능성에 관한 검증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 지역인 중앙, 삼성, 경주, 내남 납석광산이 위치하고 있는 경상분지 남동부의 지질은 주로 백악기 하양층군에 속하는 진동층을 기저로 하여 유천층군에 해당하는 중성질 화산암류, 정각산층, 건천리층, 산성 화산암류와 후기에 이들 층을 관입하는 불국사 화강암류들로 구성되어 있다. 위성영상으로부터 납석광상을 추출하기 위한 비연산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서, 중앙납석광산으로부터 채취된 응회암질 모암과 열수변질작용에 의해 형성된 납석을 대상으로 이들의 분광반사률을 측정하였다. 이들 분광반사률을 Landsat 영상과 ASTER 영상의 밴드별 분광반사율 곡선을 이용하여 재배열한 결과, Landsat 영상에 대해서는 밴드 5번에서 강한 반사 특성을 보이고, 밴드 7번에서 강한 흡수 특성을 보였다. ASTER 영상에서는 밴드 5와 8번에서 강한 흡수 특성을 밴드 4와 7번에서 반사특성이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Landsat 위성영상의 DN (Digital Number) 값을 이용한 $Py_{Landsat}$ 모델을 적용한 결과, 열수변질대 지역은 1.94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이는데 반해서 이외의 지역은 1.19~1.49 사이의 낮은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y_{ASTER}$ 모델의 적용결과 납석광산과 다른 대상물간의 치는 콘크리트와 0.472, 나대지와 0.399로, $OHI_b$과, PAK모델의 적용결과 0.452, 0.371과 0.365, 0.311로 보다 큰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 제안한 $Py_{ASTER}$ 모델은 납석광상을 보다 더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