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zyme inhibitor

검색결과 795건 처리시간 0.027초

혈액투석 환자의 빈혈관리에서 Erythropoietin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Determinants of Erythropoietin Hyporesponsiveness in Management of Anemia in Hemodialysis Patients)

  • 신승희;지은희;이영숙;오정미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2-130
    • /
    • 2011
  • Objective: Although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rhEPO) has revolutionized the treatment of anemia in chronic kidney disease (CKD) receiving hemodialysis (HD) with no need of blood transfusion, some patients have a blunted or appear to be resistant to rhEPO. There is a controversy in the causes of rhEPO resistance in maintenance HD patients with anemia. This study is to examine current anemia treatment outcome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hEPO responsiveness in HD patient with CKD. Methods: The clinical parameters or factors relating to erythrompoietin treatment outcomes and erythropoietin responsiveness were collected from the HD patients in two large dialysis centers for three months. The collected paramenters included serum iron, total iron biding capacity (TIBC), transferrin saturation rate, ferritin, albumin, intact PTH, C-reactive protein (CRP), nPCR and medications such as a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bitor, an angiotension II receptor blocker and an HMG-CoA reductase inhibitor (HMG-CoA RI). The data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degree of acheiveing the anemia treatment goal and factors relating to ERI. Results: Among total 111 patients, 42 (42.3%) and 47 (37.8%) patients achieved the target Hct and Hb based on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s (HIRA) reimbursement criteria. In the higher ERI group (upper quartile), the patients had higher CRP levels (0.5 mg/dl) (p=0.0096), and lower TIBC score (<$240{\mu}g/dl$) (p=0.0027), and less patients were taking HMG-CoA RI (p=0.0019). Male patients (p=0.0204), patients with high TIBC score ($R^2$=0.084, p=0.0021) and patients taking HMG-CoA RI (p=0.0052) required to administer less dose of rhEPO meaning higher erythropoietin responsiveness. Conclusion: Less than 50% of CKD patients were achieving the goals of anemia by erythropoietin administration in large hospitals in Korea even though the goals were lower than those of NKF-K/DOQI practice guideline. The factors influencing ERI were sex, TIBC and HMG-CoA RI administration status, and neither an ACEI nor an ARB did not influence ERI.

이담자 효모균의 성접합형에 따른 세포내 Invertase의 성질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artially Purified Internal Invertase by Mating Type in the Heterobasidiomycetous Yeast)

  • 정영기;김병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25-629
    • /
    • 1992
  • 서로 다른 성접합형 A와 a를 가지는 Rhodosporidium toruloides가 생산하는 invertase를 조사한 결과, 접합형 A는 세포내, 세포벽 결합, 세포의 분비성 invertase의 3가지를 생산하였으나, 접합형 a는 세포외 invertase를 생산하지 않는 접합형 특이성이 있는 것을 알았다. 양 접합형 세포로부터 세포내 invertase를 부분정제하여 이들의 성질을 비교한 결과, 접합형 A세포 유래의 효소는 $Zn^{2+}$에 의하여 11의 활성 상승효과와Mn^{2+}$에 의한 42.2%의 감소를 보이는 반면, a세포 유래의 효소는 $Mn^{2+}$에 의한 15의 활성 감소만을 보였다. 효소 저해제의 효과에서 a세포의 invertase는 2-mercaptoethanol, sodium dodecyl sulfate, pheonl에만 약간 저해를 받을 뿐이었다. 이들 양 효소의 열안정성은 모두 $80^{\circ}C$ 이상에서 급격히 실활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최적 온도가 $60^{\circ}C$로 둘다 비슷하였다. a세포 유래의 invertase는 pH 3에서 pH 10까지 넓은 pH의 범위에서 안정하며 최적 pH가 4.0인반면, A 세포의 invertase는 pH 3에서 pH 6까지 산성의 조건에서만 안정하였으며 최적 pH는 5.0으로 나타났다.그리고, A 세포와 atpvh 유래 invertase의 $K_m$값은 각각 $2.5{\times}10^3$M 과 $3.4{\times}10^3$M과 이였다.

  • PDF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와 효소 억제제에 의한 사람 중성구 Elastase의 활성도 억제 및 분자약리학적 기전 (Inhibition of Human Neutrophil Elastase by NSAIDs and Inhibitors, and Molecular Pharmacological Mechanism of the Inhibition)

  • 강구일;김우미;홍인식;이무상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25-431
    • /
    • 1996
  • 염증 질환의 원인이 되는 사람 중성구 elastases는 혈액에 존재하는 ${\alpha}_1-PI$${\alpha}_2-macroglobulin$과 같은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에 의하여 조절되어진다. 그러나 특수한 병리적 상황에서 과다하게 분비되는 효소나 또는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의 비정상적 작용으로 말미암아 다양한 염증질환이 유발된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염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이미 임상에 적용 하고 있으며, prostaglandin 합성하는 효소인 cyclooxygenases의 활성도를 억제하는 것이 그 작용 기전으로 잘 알려져 왔다. 사람 중성구 elastase의 활성도는 naproxen, phenylbutazone, oxyphenbutazone 등에 의하여 억제되었으나, ibuprofen, ketoprofen, aspirin, salicylic acid, tolmetin 등에 의하여서는 억제되지 않았다. 또한 사람 중성구 elastase의 활성도는 EDTA, EGTA, tetracycline 등에 의하여서도 억제되었다. EDTA에 의하여 2가 이온 $Ca^{++}$$Zn^{++}$등을 elastase 분자로부터 일부 제거함으로 효소 활성도가 억제되었고 Raman spectra의 변화도 강하게 일어났으며, 금속이온 $Zn^{++}$를 새로 충진함으로 그 활성도는 원래대로 회복되고 Raman spectrum도 원래 상태와 유사한 상태로 회복되었다. 이런 현상은 chelator나 chelator-like agents가 효소분자안에 존재하는 $Zn^{++}$ 이온을 제거하거나 chelation함으로 활성 부위나 그 인접 부위의 4차원 구조의 변화를 일으켰음에 기인하며 특히 -C=O나 -COOH기의 관여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Gilt에 있어서 Difluoromethylornithine에 의한 LH분비 억제 (Suppression of LH Concentration by Difluoromethylornithine in Gilts)

  • 박석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5-171
    • /
    • 1993
  • Ornithine decarboxylase(ODC)가 polyamine 생합성에 주요 효소로 역할을 하지만 difluoromethylornithine(DFMO)은 polyamine 합성에 억제자로 작용하고 있다. Cycling crossbed gilt들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분배하였다(6/group). Indwelling silicone catheter를 모든 동물의 경정맥에 수술을 통해 이식하였다. DFMO는 생리식염수(20mg/ml)에 용해하여 매일 80mg/kg을 i.m.으로 주사하였으며 대조구에게는 같은 양의 생지식염수만을 주사하였다. DFMO는 estrous cycle day 16일부터 21일 혹은 발정때까지 하루 3번(08:00, 16:00, 24:00h) 주사하였다. Day 14일 부터 마지막 DFMO주사 이틀 후까지 하루 한번씩 10ml의 혈액을 채취하였다. Day 16일부터 21일까지 매일 다른 gilt로부터 8시간 동안(08:00∼16:00h) 15분 간격의 주기로 window 혈액을 채취하였다. Serum으로부터 progesteron(P4), Estradiol(E2), LH 및 FSH를 측정하였다. P4와 E2는 DFMO처리에 관계없이 follicular phase동안에 전형적인 profile을 보였다. DFMO처리는 발정직전의 LH농도를 저하시켰지만 (p<0.01), FSH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gilt에 있어서 DFMO는 LH분비에 억제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편, P4, E2 및 FSH에는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이 나타났다.

  • PDF

자연발증고혈압쥐에서 카제인 가수분해물의 혈압강하효과 (Antihypertensive Effects of Casein Hydrolysate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 김현수;인영민;정석근;함준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483-49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카제인 가수분해물의 in vivo 상에서 혈압강하 효과를 알아보고, 혈압강하 기능을 갖는 기능성 펩타이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카제인 가수분해물의 소화관 단백질 분해효소 (펩신, 트립신, 카이모트립신) 내성 시험 결과 카제인 가수분해물은 소화관 효소 처리에 의하여 ACE 저해효과에 차이가 없었으며, 자연발증고혈압쥐를 이용한 혈압강하 실험에서 500 mg/kg을 경구 투여한 결과 12.9% (-28.88 mmHg, P<0.05) 저하하였고, 이들 가수분해물을 30% 난황으로 유화할 경우 15.9% (-30.76 mmHg, P<0.01)의 혈압이 감소하여 난황으로 유화에 의해 다소 혈압강화 효과가 증가하였다. 장기 투여에 의한 혈압강하 효과에서 35일 부터 수축기혈압 감소효과가 나타났으며 12.46% (P<0.05) 감소하였다. 가수분해물의 장기투여에 의한 자연발증고혈압쥐의 체중변화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혈압강하 효과를 가지는 카제인 가수분해물의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간장장애 지표로서 사용되는 GOT, GPT 활성에 차이가 없었다. 간장 비대 등의 장기 비대 현상도 없었고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도 차이가 없었다. ACE 저해활성을 가지는 카제인 가수분해물은 혈압강하제와 비교하였을 때 비교적 낮은 활성을 나타내지만 항상 섭취하는 식품 중에 존재한다는 점에서 그 유용성이 기대되며, 고혈압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으로서 개발하기 위해서 앞으로 ACE 저해 펩타이드에 대한 체계적인 안전성 검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Endlicheria anomala (Nees) Mez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미백 활성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Melanogenic Activities of Endlicheria Anomala Extract)

  • 진경숙;이지영;권현주;김병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33-44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Endlicheria anomala (Nees) Mez 메탄올 추출물(EAME)의 항산화, 항염증 및 미백 생리활성을 in vitro assay 및 cell culture model syst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EAME의 항산화능을 분석한 결과 DPPH, $H_2O_2$로 유도한 ROS, LPS로 유도한 NO 등 다양한 산화적 스트레스원을 효과적으로 소거하였다. 대표적인 항산화 효소들로 천연물에 의한 항산화능 활성에 의해 주로 발현이 유도되는 세효소인 HO-1, TrxR1, NQO1 및 그 전사 인자인 Nrf2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시료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세 효소 및 Nrf2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보였다. 또한 EAME는 in vitro DOPA oxidation을 강하게 저해하여 tyrosinase inhibitor로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하였고 이에 B16F10 melanocyte를 이용하여 미백 효능을 분석한 결과 유의적인 melanin 생성억제능 및 tyrosinase 효소 활성 억제능을 보였으며 이는 tyrosinase, TRP-1, TRP-2 등 melanin 생성의 핵심 작용 효소들의 단백질 발현 저해를 통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EAME가 높은 항산화능과 항염증 활성, 그리고 미백 활성을 보유함을 처음으로 밝혔으며 향후 기능성 식품 및 피부 미용 소재로서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럼본의 요소가수분해효소 활성 억제 평가 (Evaluation of Urease Inhibition Activity of Zerumbone in vitro)

  • 우현준;이민호;양지영;권혜진;연민지;김도현;문철;박민;김사현;김종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65-270
    • /
    • 2017
  • 요소가수분해효소는 요소를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로 가수분해하는 효소로 요로감염을 일으키는 세균의 주요 병원성 인자이다. 따라서 요소가수분해효소는 세균이 요로감염증을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요소가수분해효소를 생성하는 6가지 종류의 세균에 (K. oxytoca, K. pneumoniae, M. morganii, P. mirabilis, P. vulgaris, S. saprophyticus) 대한 제럼본의 억제효과와 요소가수분해효소 활성능을 평가하였다. 최소억제농도와 최소살균농도 실험에서 제럼본은 요소가수분해효소를 생성하는 6가지 종류의 세균에 대해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최소억제농도는 0.5-2 mM, 최소살균농도는 1-4 mM를 나타내었다. 요소가수분해 활성억제 실험에서 제럼본은 요소가수분해효소의 억제제로 사용하는 아세토히드록사민산 보다 뛰어난 요소가수분해 활성억제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제럼본은 요소가수분해효소를 이루는 소단위체의 발현양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제럼본은 요소가수분해효소를 생성하는 세균에 대한 살균력을 가질 뿐 만 아니라 훌륭한 요소가수분해 활성억제력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테린계 화합물의 미백 및 자외선 손상방어 효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Whitening and UV Damage Protection Effect of the Pterin Compounds)

  • 김남경;김미화;강내임;최신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3-60
    • /
    • 2007
  • 테린 계열의 화합물은 생체 내에 존재하여 여러 가지 효소들의 cofactor로써의 역할을 담당하며, 활성 산소에 대하여 제거 작용을 갖는 비단백질 화합물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테린 계열의 화합물은 (6R)-5,6,7,8-tetrahydrobiopterin (이하 $6-BH_4$)인 완전히 환원된 형태로 활성을 가지며 공기에 노출되었을 경우 쉽게 산화 형태로 전환된다. $6-BH_4$의 결핍 증상으로서 정신 질환관련된 파킨슨 질환, 알츠하이머 질환, 우울증 등의 증상이 있으며, 피부 질환으로는 백반증이 있다. 최근에는 $6-BH_4$의 멜라닌합성 저해와 관련된 연구가 수행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6-BH_4$와 유도체인 (6R)-5-methyl-5,6,7,8-tetrahydrobiopterin (이하 methyl-$BH_4$)의 항산화 효능과 미백 효능 및 자외선 손상 방어 효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테린 화합물의 DPPH 라디칼소거능 평가 결과 항산화 표준 물질인 quercetin과 유사한 효능을 갖는 항산화 물질임을 확인하였으며, 피부 세포주에서의 세포독성이 없는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백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효소 수준에서의 tyrosinase 활성 저해능과 세포수준에서의 tyrosinase, TRP-1단백질의 발현 저해 효능을 확인하였다. in vivo에서의 미백 효능 평가 결과 역시 증류수 처리군과 비교시 테린 화합물 처리군에서 멜라닌 수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테린 화합물의 또 다른 효능으로서 항산화효능을 기반으로 하는 자외선 손상 방어 효능을 평가한 결과,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cytokines의 발현양을 감소시켰으며, 멜라닌의 합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테린 화합물의 화장료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단피의 NF-κB와 MAPKs 억제를 통한 Pro-inflammatory Cytokines 활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outan Cortex on Pro-inflammatory Cytokines through NF-κB & MAPKs pathway in HMC-l)

  • 박주호;김경준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8
    • /
    • 2009
  • Objective : Moutan Cortex (the root bark of Paeonia suffruticosa Andr.) is widely used in oriental medicine as a remedy for inflammation. However, as yet there is no clear explanation of how MC(Moutan Cortex) affects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ssence extracted MC on the mast cell-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 Method : We observed the effect of MC on compound 48/80-induced histamine release of rat peritoneal mast cells and the effect of administering MC on PCA in rat. We measured the amount of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duced by the phorbol myristate acetate (PMA) plus calcium ionophore(A23187) in the human mast cell line (HMC-1) incub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MC. The TNF-$\alpha$ protein levels were analysised by Western blot. The TNF-$\alpha$, IL-6 and IL-8 secreted protein levels were measured by the ELISA assay. The TNF-$\alpha$, IL-6 and IL-8 mRNA levels were measured by the RT-PCR analysis. NF-$\kappa$B, phospho-I$\kappa$B and MAPKs were ex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NF-$\kappa$B promoter activity was examined by luciferase assay. Result : 1. Enzyme immunoassay indicated that MC suppressed histamine secretion of rat peritoneal mast cells. 2. In PCA dependent on IgE, MC had anti-allergic effect of the internal surface of rat skin. 3. Western blot indicated that MC decreased TNF-$\alpha$ protein levels. 4. ELISA indicated that MC decreased TNF-$\alpha$, IL-6 but MC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IL-8 in HMC-1 cells. 5. RT-PCR indicated that MC decreased TNF-$\alpha$, IL-8 but MC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IL-6 in HMC-l cells. 6. Western blot indicated that MC suppressed the induction of MAPKs, NF-$\kappa$B & phospho-I$\kappa$B activity in HMC-1 cells. 7. Luciferase assay indicated that MC suppressed the PMA plus A23187-induced NF-$\kappa$B promoting activityin HMC-1 cells.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have found that MC is an inhibitor of NF-$\kappa$B, MAPKs & cytokines on the mast cell-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

  • PDF

시규제초제 LGC-40863의 벼와 피에 대한 Acetolactate synthase 저해 활성 (In vitro Acetolactate Synthase Inhibition of LGC-40863 in Rice and Barnyardgrass)

  • 배영태;이재환;구석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6-70
    • /
    • 1997
  • (주)LG화학에서 개발중엔 LGC-40863은 벼에 대해 높은 안전성을 보이며 피 등 여러 잡초를 방제하는 신규제초제이다. LGC-40863은 관련 제초제나 식물에서의 효과 발현 증상으로 부터 acetolactate synthase(ALS)를 저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LGC-40863의 ALS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벼와 피로부터 추출한 ALS를 사용하여 $I_{50}$값과 효소반응속도를 조사하였다. LGC-40863의 $I_{50}$값은 14(벼), 16mM(피)였고, 대조약제로 사용한 imazapyr와 chlorsulfuron의 $I_{50}$값은 각각 12-15mM, 0.03-0.04mM였으므로 LGC-40863의 $I_{50}$값은 imazapyr와 유사하고 chlorsulfuron에 비해서는 약 400배 정도 높았다. 그리고 세 가지 약재 모두 벼와 피 간의 감수성 차이는 크지 않았다. 효소반응속도 면에서 살펴보면, LGC-40863은 벼와 피 모두 pyruvate에 대해 noncompetitive inhibition을 나타내었으며, chlorsulfuron과 imazapyr는 벼에서 각각 noncompetitive와 uncompetitive inhibition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LGC-40863은 chlorsulfuron과 저해유형이 비슷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