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Methodology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5초

TiN-ZrCo 복합수소 분리막의 제조와 환경성 평가 (Evaluation of Environment Imapcts on TiN-ZrCo Composites Hydrogen Seperation by Material Life Cycle Assessment)

  • 김민겸;안중우;홍태환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8권6호
    • /
    • pp.627-634
    • /
    • 2017
  • In this study, Material life cycle evaluation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impact characteristics of TiN-ZrCo membrane manufacturting process. Gabi was used as software. The Eco-Indicator 99 methodology was used to evaluate the 11 impact categories and the 10 impact categories using the CML 2001 methodology. Precursor TiN was synthesized by sol-gel method and zirconium was coated by ball mill method. The metallurgical, physical and therm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membranes were analyzed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Energy Dispersive X-ray (EDS), X-ray Diffraction (XRD), Thermo Gravimetry/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TG/DTA), Brunauer, Emmett, Teller (BET) and Gas Chromatograph System (GP). As a result of the characterization and normalization,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each category of impacts were GWP 100 years with the highest environmental impact of 99.9%.

자연재해의 경제적 영향평가 연구방법론과 백두산화산재해에의 적용 가능성 (Research Methodology for the Economic Impact Assessment of Natural Disasters and Its Applicability for the Baekdu Mountain Volcanic Disaster)

  • 강주화;유순영;윤성민
    • 자원환경지질
    • /
    • 제47권2호
    • /
    • pp.133-146
    • /
    • 2014
  • 자연재해의 경제적 영향평가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화산재해의 영향평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다. 국내의 경우, 화산 폭발에 대한 국가적, 사회적 관심 부족으로 화산재해 영향평가에 대한 학계 연구도 매우 부족하다. 이러한 연구실정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자연재해의 경제적 영향평가 연구방법론을 조사하고 향후 예상되는 백두산 화산재해에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재해 및 화산재해에 대해 조사한 결과, 아시아지역에서 자연재해 피해규모가 가장 컸고 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의 경제적 피해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근 30년 사이에 화산분화가 매우 빈번했던 일본에서 화산재해로 인한 피해연구가 활발했던 반면, 화산분화가 드문 한국과 중국에서는 화산재해의 경제적 영향에 대한 연구가 매우 희소하다. 셋째,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 유형 및 복합 피해구조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그 중에서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경제적 간접피해를 추정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들을 비교 검토해 보았다. 각 방법론을 백두산 화산재해에 적용하는 경우, 모형 고유의 특징 때문에 피해규모가 과대 추정되거나 혹은 과소 추정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계산된 피해결과는 사후적인 비교 검토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화산재해에 관한 학술적 연구를 백두산 화산폭발의 경제적 영향 평가 연구의 출발점으로 활용할 수도 있겠지만, 미국에서 사용되는 Hazus나 뉴질랜드에서 사용되는 RiskScape와 같은 컴퓨터 SW를 활용하거나 개발하여 백두산 화산재해의 경제적 영향을 예측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A Study o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Daily Earthwork Volume and Fine Dust Concentration

  • Dong-Myeong, CHO;Ju-Yeon, LEE;Tae-Hwan, JEONG;Woo-Taeg, KWON
    • 웰빙융합연구
    • /
    • 제6권1호
    • /
    • pp.1-7
    • /
    • 2023
  • Purpose: Fine dust is classified as a group 1 carcinogen and poses a significant environmental problem that urgently requires improvement to protect the environmental rights of citizens. Given the difficulty of implementing measures to reduce overseas sources of fine dust, it is essential to first devise specific measures to address domestic emission sources. As such,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earthwork volume control and fine dust concentration as preliminary management measures to reduce the impact of scattering dust at construction sites. Based on real-time air quality information, field management measures will be presented to mitigate the effects of dust emissio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s examples, we selected construction sites that had recently undergone small-scal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consultations. The standard earthwork volume was classified into grades using 20% intervals, and we applied AERMOD to predict the weighted concentration of fine dust based on the earthwork volume class and analyzed its correl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earthwork volume and fine dust concentration. By utilizing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arthwork volume and fine dust concentration on-site, this finding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fine dust management plan. Conclusions: This involves determining the daily earthwork intensity based on real-time air quality information and implementing measures to reduce scattering dust.

시비방법별 벼 재배에 따른 전과정평가 방법을 적용한 환경영향 평가 (Application of the Life Cycle Assessment Methodology to Rice Cultivation in Relation to Fertilization)

  • 신중두;임동규;김건엽;박문희;고문환;엄기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1-46
    • /
    • 2003
  • Consoli가 설명한 것처럼 전과정평가의 개념 및 일반적인 정의에 따르면, 전과정평가는 농업생산에 관련된 환경영향을 평가하는데 부합하는 방법이라고 생각되며, 특별히 전과정평가방법인 Eco-indicator 95는 농업 체재에 대한 환경영향을 분석하는데 적절한 기법인 것으로 입정되었다. Eco-indicator 95 method를 이용하여 지구온난화 및 수계부영양화와 관련된 시비체계에 따른 벼 재배에 대해 비교할만한 분석체계를 이루었다. 그렇지만 본 연구에서 전과정평가 항목에 기록된 모든 관련 정보가 환경 영향에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Eco-indicator 95 method를 농업생산 체계에 적용할 때 몇 가지 난제에 부닥친다. Eco-indicator 95 method에 토양 및 자원의 이용과 같은 몇 몇 중요한 환경적인 문제가 포함되지 않았으며, 이 방법의 다른 문제는 환경 평가를 위하여 현장 정밀연구가 수행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본 연구에서 얻어진 생태지표 지수를 이용하여 벼 재배에 따른 시비방법 간의 차이점을 나타내기에 충분하다고 여겨지며, 가장 높은 생태지표 지수를 나타낸 화학비료를 시용한 구에서 가장 큰 환경영향이 관측되었고, 이러한 차이점은 주로 화학비료 투입에 의한 토양중의 높은 인산 함량의 축적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분석한 시비체재는 특별히 지구온난화 보다는 수계의 부영양화의 환경적인 문제에 기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질소 시용비율 및 시용기술 이외에 액비 시용에 따른 양분 용탈이 수계 환경에 명확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 영향평가와 사업심사 연계를 위한 다자개발은행의 방법론 고찰 (Review of Multilateral Development Bank's Methodologiesfor Consideration of Climate Change Impactsin Project Due Diligence)

  • 장유정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2호
    • /
    • pp.106-116
    • /
    • 2022
  • 다자개발은행들은 기후변화 대응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으며, 기존 환경·사회 영향평가에서 한발자국 더 나아가 저탄소 기후금융(Climate Finance) 제공을 위한 공동의 기후금융 평가방안(Common Principles for Climate Finance Tracking)을 마련하여 운용하고 있다. 이들은 보수적인 시각에서 전체 사업 중 기후변화 적응 또는 저감으로 인정할 수 있는 부분을 단위화하여 평가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취합하여 2012년부터 2021년도까지 총 10회에 걸쳐 기후금융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기후금융으로 판단하는 방법은 저감인지 적응인지에 따라서 다소 상이하다. 기후변화 적응 금융의 경우에는 사업의 맥락, 전후사정을 살펴 적응 금융으로 산정하며, 저감 금융의 경우에는 적용이 가능한 사업에 대한 포괄적인 리스트가 마련되어 이에 해당하는 경우 저감 금융으로 인정한다. 다자개발은행은 기후금융 평가 내용을 환경·사회 영향평가 결과와 함께 사업 심사의 주요 항목으로 활용하고 있다. 세계 각국이 사업 수준에서 기후변화를 다루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에서, 다자개발은행이 사업 승인 시 기후변화를 어떻게 고려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 시사점에 대해서 고찰해 보는 것은 향후 기후변화 대응 방법론 마련 및 관련한 환경·사회 영향평가의 역할 확대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국내 주거 단지에 대한 전과정 환경영향 분석 (Analysis regard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Life Cycle of Housing Complexes in Korea)

  • 최두성;전흥찬;조균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3-21
    • /
    • 2014
  • 본 연구는 건축물 중 공동주택 단지를 대상으로, 건축물에 투입되는 자재생산부터 건축물이 해체되는 전과정동안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6개의 환경영향 범주로 구분하여 정량적으로 산출하였으며, 국내의 모든 산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대략적으로 분석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총 27 단지에 대한 환경영향을 분석한 결과 단지를 구성하는 건물 및 시설별로는 공동주택 건물이 단지 전체 대비 약 88.2%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후 지하주차장, 공통부분, 복지시설, 판매시설, 기타시설 순으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중 가장 영향이 큰 공동주택 건물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경우에는 전과정 중 사용단계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이후 자재생산단계, 시공단계, 해체 및 폐기단계 순으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분석되었다. 또한 공동주택 건물의 전과정에 대한 환경영향 분석 결과 국내 총 산업 대비 약 11. 96%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상풍력발전단지 대안설정 방법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lternative Establishment Method and Evaluation of Offshore Wind Farms - Focusing on Overseas Cases -)

  • 김진오;우경숙;김진표
    • 환경영향평가
    • /
    • 제33권4호
    • /
    • pp.164-174
    • /
    • 2024
  • 최근 국내에서도 많은 해상풍력발전 사업계획과 환경영향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육상풍력발전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적합한 대안설정 및 평가 방법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해외의 가이드라인 및 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실정에 적합한 대안설정 및 평가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통해 해상풍력발전 대안설정 및 평가 방법의 프로세스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한 세부적인 고려사항 및 방법론을 알 수 있었다. 아직 해외에서도 대안설정 및 평가에 관한 방법론이 명확하지 않고 육상풍력발전에 사용하던 방법론을 개량하고 발전시켜 사용하고 있었다. 국내에도 이러한 해상풍력사업의 대안설정 및 평가를 위한 체계마련이 필요하며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 해상풍력발전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해외 사례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반영한 관련 연구의 촉진과 함께, 환경적,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교량의 환경부하평가 신뢰성 향상을 위한 교량용 탄성받침 전과정목록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Elastomeric Bearing Life Cycle Inventory (LCI) Database to Improve Reliability of Evaluation of Environmental Load of Bridges)

  • 위대형;김영춘;곽인호;황용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4호
    • /
    • pp.681-69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전과정평가 방법론을 활용하여 교량용 탄성받침 제조 공정에 대한 전과정목록(LCI) DB를 구축하고, 교량의 환경부하평가시 신뢰성 향상율을 분석하였다. 교량용 탄성받침의 영향평가 결과, 6대 영향범주 중 자원고갈, 지구온난화, 광화학산화물 생성 범주 순으로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다. 투입물의 기여도에서는 대부분의 영향범주에서 후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교량용 탄성받침 전과정목록(LCI) DB를 교량 환경부하평가에 적용한 결과 환경부하량은 평균 0.53% 증가하였으며, 투입자재의 금액기준 Cut-off는 11.36% 증가하였다. 교량용 탄성받침 LCI DB 구축을 통해 향후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환경부하평가 등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현재 생산기술에 기반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초기 제품 설계 단계에서 제품군의 근사적 전과정 평가 (Approximate Life Cycle Assessment of Product Family in Early Product Design Stage)

  • 박지형;서광규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80-783
    • /
    • 2002
  • This paper proposes an approximate LCA methodology fur the conceptual design stage by grouping products according to thei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by mapping product attributes Into impact driver (ID) index. The relationship Is statistically verified by explo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otal impact indicator and energy impact category. The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is developed to predict an approximate LCA of grouping products in conceptual design stage. The training is generalized by using identified product attributes for an ID In a group as well as another product attributes for another IDs in other groups. The neural network model with back propagation algorithm is us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roposed approach does not replace the full LCA but it would give an approximate LCA results for design concepts.

  • PDF

An Examination of Variation in Risk Assessment Practices in Relation to Assessors' Goals: American and International Practices

  • Park, Lorenz R. mber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7권
    • /
    • pp.219-225
    • /
    • 2001
  • The basic structure for assessment of potential health risks from environmental chemicals is widely agreed upon, but many of the details of risk assessment procedures differ among practitioners. Government regulatory agencies typically have guidelines or standard procedures for their risk assessments, established to ensure consistency and comparability, to set standards for adequacy, and to embody underlying tenets. In setting and updating such guidelines, each agency takes into account not only the prevailing thinking about appropriate procedures, but also its own goals and responsibilities and the precedents it has set for itself in past analyses. This results in variations in methods, and consequently in characterization of risks, among regulatory assessments, even when they are based on the same data. As a result, adopting existing assessments from a variety of regulatory bodies needs to be done with caution. This paper examines some of the variants in risk assessment approaches among American federal regulatory agencies and relates them to the variations in regulatory responsibilities of those groups. Comparisons to international practices are also drawn. The impact on development of world-wide risk standards is discus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