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검색결과 482건 처리시간 0.023초

GIS를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 판정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a Landslide Hazard Prediction Model using GIS)

  • 이승기;이병두;정주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81-9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산림청에서 산사태 위험지를 판정하는데 이용하고 있는 판정표를 기반으로 산사태 발생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는 GIS 응용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에서 산사태 위험지는 지형, 임상 및 지질과 같은 산림입지환경 인자들 중 7개 인자를 선별적으로 이용하여 분석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입지환경 인자들 중 경사길이, 경사위치, 사변형태의 분석은 DEM 자료를 이용하여 산지사면 분석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산사태 예측을 위한 산지사면 입지해석 모듈' 을 이용하였다. 산사태 위험지 판정 모델의 구조는 원자료를 입력받아 가공, 변환하는 입력모듈과, 산사태 위험지 판정인자를 분석하여 해당지역의 산사태 위험지를 분석하는 모듈, 분석된 산사태 위험도 판정 결과를 제시하는 출력모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기도 용인 안성 지역에서 발생한 산사태를 대상으로 모델을 적용한 결과 약 72%에 해당하는 산사태가 산사태 위험도 2등급 이상으로 판정된 곳에서 발생하였다.

  • PDF

QGIS를 이용한 경기도내 토양오염원의 중점관리 지점 선정 (Priority Management Using the QGIS for Sources of Contaminated Soil in Gyeonggi-do Province)

  • 손영금;김지영;박진호;임흥빈;김종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88-95
    • /
    • 2020
  • O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priority points for soil management using the location of groundwater and to suggest this method for soil contamination surveys. Method: Groundwater impact range was set to an area of 100 to 500 meters from the center point of agricultural groundwater wells. Data on industrial complex and factory areas, areas of stored or used ores and scrap metals, areas associated with waste and recycling, and traffic-related facilities areas were collected and checked for whether they fall within the groundwater impact range. Longitude and latitude coordinates of these data were mapped on the groundwater impact range using QGIS (Quantum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Results: Considering the groundwater impact range, the points were selected as follows: 589 points were selected from 6,811 factories and 259 points were selected from 1,511 recycling business points. Traffic-related facility areas were divided between gas stations, bus depots, and auto mechanics. Thirty-four points were selected from 149 bus depots and 573 points were selected from 6,013 auto mechanic points. From the 2,409 gas station points, 323 were selected. Conclusion: Contaminated soil influences groundwater and crops, which can harm human health. However, soil pollution is not easily identified, so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at has occurred. Pollution must be prevented beforehand and contaminated soil found. By selecting and investigating soil contamination survey points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of groundwater wells, we can safely manage water resources by preventing groundwater contamination in advance.

GIS-Based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of Risk Areas for Liver Flukes in Surin Province of Thailand

  • Rujirakul, Ratana;Ueng-arporn, Naporn;Kaewpitoon, Soraya;Loyd, Ryan J;Kaewthani, Sarochinee;Kaewpitoon, Natthawu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6호
    • /
    • pp.2323-2326
    • /
    • 2015
  • It is urgently necessary to be aware of the distribution and risk areas of liver fluke, Opisthorchis viverrini, for proper allocation of prevention and control measur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human behavior,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distribution in Surin Province of Thailand, and to build a model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on environment and climate dat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behavior, attitudes (<50%; $X_{111}$), environmental factors like population density ($148-169pop/km^2$; $X_{73}$), and land use as wetland ($X_{64}$), were correlated with the liver fluke disease distribution at 0.000, 0.034, and 0.006 levels, respective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equations OV= -0.599 + 0.005(population density ($148-169pop/km^2$); $X_{73}$) + 0.040 (human attitude (<50%); $X_{111}$) +0.022 (land used (wetland; X64), was used to predict the distribution of liver fluke. OV is the patients of liver fluke infection, R Square= 0.878, and, Adjust R Square= 0.849. By GIS analysis, we found Si Narong, Sangkha, Phanom Dong Rak, Mueang Surin, Non Narai, Samrong Thap, Chumphon Buri, and Rattanaburi to have the highest distributions in Surin province. In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GIS and statistical analysis can help simulate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risk areas of liver fluke, and thus may be an important tool for future planning of prevention and control measures.

음향측심기와 GNSS 기반의 수로측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drographic Survey based on Acoustic Echo-Sounder and GNSS)

  • 박응현;김대현;전혜연;강호윤;유경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19-126
    • /
    • 2018
  • 본 연구는 현 기본수준면 기반의 수로측량 시스템과 타원체 기반의 수로측량 시스템을 분석하여 좀 더 일관성 있는 해저지형자료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타원체 기반의 수로측량을 동일한 측선 라인에 대하여 왕복 수행하였다. 그리고 해수면의 승강현상(조석 에너지 및 그 외 해양환경 에너지에 따른 해수면 변화)을 기본수준면 기반의 보정방법과 타원체 기반의 수심 보정방법으로 각각 처리하여 수심을 산출 하였다. 분석결과, 동일 구역(측선)의 수심단차현상이 기본수준면 기반의 산출물보다 타원체 기반의 산출물이 좀 더 향상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타원체 기반의 수로측량을 수행할 경우 측량구역의 해수면 변동을 실시간으로 반영함으로서 좀 더 일관성 있는 해저지형을 생성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GIS 자료를 활용한 지상 바람 관측환경 분석 (Analysis on the Observation Environment of Surface Wind Using GIS data)

  • 권아름;김재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5-7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전산유체역학 모델과 지리정보시스템 자료를 이용하여 밀양시 내이동에 위치한 자동지상관측소(AWS 288)의 지상 바람 관측환경을 분석하였다. AWS 288 인근 지역에 건축 중인 아파트 단지에 의한 관측환경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16방위의 유입류를 고려하였다. AWS 위치에서 수치 모의된 풍속과 풍향 변화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고, 3가지 유입류(남남서풍, 남남동풍, 북북서풍)에 대해서는 AWS 288 주위의 흐름 특성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남남서풍의 경우, AWS 288 지점에서는 남서쪽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의 영향으로 아파트 단지 건축 전과 후의 풍속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아파트 단지 건축 전에 상대적으로 높은 풍향 빈도가 나타난 남남동풍과 북북서풍의 경우에는 아파트 단지 건축 전 대비 건축 후의 AWS 288 지점에서 수치 모의된 풍속과 풍향 차이는 크지 않았다.

QGIS를 이용한 토양오염지도 작성 (Mapping Soil Contamination using QGIS)

  • 김지영;배용수;박진호;손영금;오조교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87-496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eate soil contamination maps using QGIS (Quantum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suggest selection methods for soil pollution sources for preferential investigation in a soil contamination survey. Method: Data from soil contamination surveys over five years in Gyeonggi-do Province, South Korea (2013-2017) were used for making soil contamination maps and analyzing the density of survey points. By analyzing points exceeding the concern level of soil contamination, soil pollutant sources for priority management were identified and selection methods for preferred survey points were suggested through a study of the model area. Results: A soil contamination survey was conducted at 1,478 points over five years, with the largest number of surveys conducted in industrial complex and factory areas. Soil contamination maps for copper, zinc, nickel, lead, arsenic, fluoride, and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were made, and most of the survey points were found to be below concern level 1 for soil contamination. The density of the survey points is similar to that of densely populated areas and factory areas. The analysis results of points exceeding the criteria showed that soil pollutant sources for priority management were areas where ore and scrap metals were used and stored, traffic-related facilities areas, industrial complex and factory areas, and areas associated with waste and recycling. According to the study of the model area, the preferred survey points were traffic-related facilities with 15 years or more since their construction and factories with a score of 10 or more for soil contamination risk. Conclusion: Soil contamination surveys should use GIS for even regional distribution of survey points and for the effective selection of preferred survey points. This study may be used as guidelines to select points for a soil contamination survey.

잠재오염원을 이용한 포항지역의 광역적 지하수 오염 위험성 평가 (Assessment of Regional Groundwater Pollution Hazard using Potential Pollutant of Pohang Area)

  • 이사로;김용성;김덕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1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미국 EPA에서 개발된 DRASTIC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하수 오염 취약성을 평가 후, 잠재오염원 자료를 이용하여 광역적인 지하수 오염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포항지역에 대해 지하수면의 깊이, 충진량, 대수층, 토양층, 지형경사, 수리전도도, 선구조, 잠재오염원 등 수리지질학적 자료와 현장조사를 통해 잠재오염원을 공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였다. 구축된 공간 데이터베이스를 GIS 기반으로 DRASTIC 시스템에 적용하여 광역적 지하수 오염 취약성을 평가하였으며,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 결과와 잠재오염원의 분포를 중첩 분석하여 지하수 오염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지하수 오염 위험성은 대수층의 지하수 오염에 대한 취약성과 잠재오염원의 분포 정도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그 유형에 따라 적절한 지하수 수질관리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그 결과는 행정구역별로 도출하여 향후 관리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입한 지하수 오염 위험성 평가 기법은 비교적 손쉽게 기존의 지하수 오염 취약성 평가를 실제 지하수 수질관리 계획 수립 시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수도권 지역 도시대기측정소 PM2.5, PM10, O3 농도의 지리적 분포 특성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PM2.5, PM10 and O3 Concentrations Measured at the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강정은;문다솜;김재진;최진영;이재범;이대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657-66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지역의 대기오염물질(PM2.5, PM10, O3) 농도와 지형 고도, 건물 면적비, 인구 밀도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지형 고도와 건물 면적비를 분석하기 위해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였고, 건물 면적비를 계산하기 위해 수도권 지역을 TM 중부원점을 기준으로 수평 9 km × 9 km 격자로 구분하였다. 인구 밀도는 국가통계포털의 행정구역별 면적과 인구수 자료를 이용하였다. 대기오염물질 농도 자료는 수도권에 위치한 도시대기측정소 146개 지점의 PM2.5, PM10, O3 농도 측정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기간은 201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이고, 1시간 평균 농도 자료를 이용하여 월평균 농도를 계산하였다. 지형 고도는 경기도 북부와 동부 지역에서 높았고 서해안에 근접할수록 낮았다. 건물 면적비와 인구밀도 분포는 서로 유사하였고, 서울특별시에서 가장 높았으며, 산악과 해안지역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월평균 PM2.5과 PM10 농도는 봄철과 겨울철(1월~3월)에 높았고 O3 농도는 늦봄부터 초여름(4~6월)까지 높았다. 농도가 높은 3개월에 대해서 AMQS 지점별 평균 농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건물면적비나 인구밀도와 대기오염물질 농도 사이에는 음의 상관 관계가 분석되었다(인구밀도와 PM2.5, PM10 농도 사이는 약한 음의 상관관계가, O3 농도와는 비교적 강한 음의 상관관계). 반면, 대기오염물질 농도와 도시대기측정소 측정 고도 사이의 뚜렷한 상관성을 나타나지 않았는데, 향후, 이에 대한 연구 수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선진화된 하천측량자료 활용 및 관리를 위한 하상변동 자료관리 프로그램 기반의 하도유지관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iver Management System Based on Riverbed Change Data Management Program for Utilization of Advanced Bathymetry Data)

  • 조명희;김경준;김현정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5-125
    • /
    • 2013
  • 계절 및 지형 등 다양한 환경요인으로 인하여 하천관리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특히 여름철 집중호우와 하천개발사업 등 자연적 인위적인 요소에 의해 하천지형이 급격히 변화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렇듯 변화하는 조건에서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하천유지관리를 위해서는 하천지형 조사를 통한 데이터의 주기적인 획득과 조사 자료의 지속적인 관리업무지원을 위한 선진 하천유지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가하천의 통합적인 정보제공 기반인 하천관리지리정보시스템(RIMGIS)의 기능개선 및 고도화를 통한 효율적인 체계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규 하천지형 조사 자료의 체계적인 관리와 하천동적변화 관련 데이터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데이터베이스 및 시스템을 설계하여 하상변동 자료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하천의 다양한 동적변화를 관리 및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주요기능으로 하천조사자료 구축현황 조회, 하천 종 횡단면 모니터링, 하상변동 자료 분석 기능을 제공하여 하천 유지관리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기반 아키텍처를 구성하였다. 하천동적변화와 관련된 유지관리업무에 본 프로그램을 활용함으로써 하천지형 조사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지능화시설의 통합운영 방안 (Plans for the Integrated Operation of Intelligent Service Facilities)

  • 임두현;박정우;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27-136
    • /
    • 2017
  • U-City 기반시설의 구성요소는 지능화된 시설, 정보통신망, 통합운영센터로 구분되며, 기존 연구에서의 U-City기반시설은 효율적인 운영 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 중 법에서 정의하는 내용과 다르게 해석하는 경우가 지능화된 시설에서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국내 지능화시설 관련 법제도 및 운영관리의 문제점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지능화시설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통합운영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 법제도와 실무담당자 인터뷰를 통해 지능화시설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지능화 시설에서 생성된 도시정보 및 설치위치를 모두 포함한 통합 활용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현재 정부부처 및 지자체는 ICT를 활용한 다양한 정보시스템을 구축 운영하고 U-City법에서는 통합적 관리 운영을 명시하고 있으나, 시설 운영주체에 대한 구체적인 책임과 권한에 관한 정의는 명확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설치된 장비와 여기서 생성된 도시정보를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관련 부서 간 원활한 조정이 가능한 추진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능화시설의 관련법 및 법규들에 대한 논리적 연계의 관계를 정립하여 효율적인 지능화시설 설치 및 관리를 위해 일원화된 법적 시스템의 체계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능화시설의 통합연계 및 활용을 위한 관리체계의 기초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