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검색결과 482건 처리시간 0.034초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도시 비점원오염의 대축척 모형화 (Modeling Large Scale of Urban Nonpoint Source Pollution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김규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71-180
    • /
    • 1993
  • 도시하수와 관련된 비점원 오염에 대한 관심은 더 나은 수질계획을 위한 새로운 도구의 발전을 이끌어 왔다. 이 논문은 도시의 수질연구를 위해 지리정보체계가 어떻게 응용되는지를 보여준다. 지리정보체계는 비점원 오염 모형화를 위한 토지이용자료를 관리하기 위해 이용되고, 또한 여러 가지 형태의 지리적 집합체내에서 오염물질을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경험적인 수질모형은 토지이용에 근본을 둔 오염물질 축적을 평가하기 위해 이용된다. 토지이용범위는 최근 사진의 판독을 통해서 구범위를 갱신함으로써 결정된다. 이러한 토지이용범위는 각각의 토지이용 다각형에 대한 오염물질 축적을 기록하는데 이용된다. 도시하수 유역과 소하수 유역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하수지도를 수치화 시키고 해석한다. 하수구 소유역층에서 오염물질 축적을 중첩시킴으로써 주요하수의 출구에 대한 오염 축적물이 계산된다. 축적 정보를 기본으로 과다 오염 축적물의 임계지역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으며, 오염 축적물을 통제하기 위한 최선의 관리기법의 효율성이 평가된다.

  • PDF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서울시 유해대기오염물질 우선순위 측정지역 선정 (Selection of Priority Monitoring Areas for Hazardous Air Pollutants (HAPs) in Seoul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김성준;박현진;이상진;김창혁;이승복;최성득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23-232
    • /
    • 2018
  • As the Seoul metropolitan city has the largest numbers of population and vehicles, the citizens can be exposed to hazardous air pollutants(HAPs) mainly from the vehicular exhaust and human activities. In this study, we proposed a systematic method for the selection of priority monitoring areas for HAP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First, emission parameters(emission data, vehicle registration, monitoring data, and so on) and population parameters (population and population density) were plotted using the inverse distance weighted (IDW) interpolation. Then, the interpolation data for individual parameters, which were normalized between 1 and 5 points, were compiled for 270 grids with a resolution of $2km{\times}2km$. The total score of each grid was calculated using weights(1~5) for the individual parameters. The final ranking of each grid was assigned by four scenarios with varying fractions of the emission and population parameters from 50 : 50 to 80 : 20. Consequently, nine grids were suggested as priority monitoring areas, and all of them are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Seoul.

금호강 유역의 환경특성이 하천수질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Geumho River Watershed on Stream Water Quality)

  • 박경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85-98
    • /
    • 2003
  • 최근 물환경에 관련된 광범위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유역관리의 관심이 증대되고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금호강 유역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환경정보의 구축과 소유역 단위의 환경특성이 하천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소유역 단위의 환경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GIS 데이터베이스는 축척 1:25,000의 지형도, 정밀토양도, 토지이용도, 10m 해상도의 DEM, 도로망도, 수계망도, Landsat TM 영상에서 산출된 식생지수(NDVI), 강우량, 그리고 RUSLE 모형에 의한 토양유실량으로 구성되었다. 소유역 단위의 환경특성과 하천 수질간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유역의 도시화 또는 산업화에 관련된 주거 상업지역, 공업지역, 도로지역에 관련된 변수들은 BOD, COD, SS, T-N, T-P의 수질자료와 음(-)의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는 달리, 자연환경상태와 관련된 산림피복과 식생상태 변수들은 수질자료와 양(+)의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농업적 토지이용과 농약 및 비료사용량, 토양유실량은 수질자료와 유의한 상관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imulation of Heat Health Alert System Using Meteorological Data Observed by Automatic Weather Systems in Seoul, Korea

  • Kim, Ji-Young;Kim, Jung-Ok;Park, Seung-Yong;Yu, Ki-Y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134-137
    • /
    • 2007
  • In this paper the heat health alert system, which is operated this year by way of showing an example, is a simulator linked to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it uses meteorological data that are observed at Automatic Weather Systems (AWSs) in Seoul, Korea.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it is possible to use meteorological data observed by AWSs when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has issued alerting the public to the threat of heat waves, and to connect meteorological data to spatial data when the KMA offers local forecasts and weather-related information. However, most AWSs that were installed to manage urban disasters do not measure humidity, so general humidity is used in all districts. Therefore, to issue heat wave warnings about different localities on a small scale, we will study how to complement this problem and to examine the accuracy of data observed at AWS in the future.

  • PDF

GIS 기법을 활용한 대기오염관리에 관한 연구(I)-서울시 VOCs 오염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ir Pollution Management Using GIS Method(I)-Focus on VOCs concentration of Seoul-)

  • 박기학;조성준;유영대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00-107
    • /
    • 2001
  • On the planning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control of the air pollution display methods were used to evaluate the spatial pollutant concentration status. This study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using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technology on the air pollution control and management which were computer-based systems that were used to store and manipulate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macro city. In this study 137 samples were corrected by passive samplers and analysed by GC/MSD for 16 VOCs in Seoul (25 distincts) distributed by TM-coordinate(2 km$\times$2km), and finally displayed by Arciew program(version 3.2, ESRI Inc, USA) for windows. The concentration of benzene and toluene showed high level in whole area of seoul area of Seoul and distribution of butylbenzen, trothroloetylene, stylen showed high level in whole area of Seoul except a few distincts and the distribution of isopropylbenzene, 1,2-dichroloethane showed higher level in core area than that of Kangnam and Kangbuk area. In conclusion, products of this study of using GIS technology appl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VOCs concentration was very effective than that of other methods(e.g., contouring concentration method, pie or column chart, graduated symbols), especially in mapping and symbolization of pollution status evaluation.

  • PDF

지형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생태학적인 폐광지역 재개발 계획 및 관리 (A Strategic Plan and Management for Ecological Abandoned Mine Land (AML) Reuse Using GIS)

  • 이주영;한무영;양중석;최재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3권5호
    • /
    • pp.1-7
    • /
    • 2008
  • 폐광지역은 경제적 측면에서 낙후된 지역이며, 무엇보다도 폐광개발로 인한 주변생태계 파괴는 우려할만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폐광산은 지형적인 관점에서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으며 그곳에서 유출되는 폐광배수는 하천과 지하수로 유입되어서 지역 주민들 건강에 위협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는 이러한 현상으로 지역주민들이 고통을 겪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폐광후의 경제적 낙후현상이 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기술적인 폐광지역 복원은 이미 많은 기술보고서와 논문을 통해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많은 기술적인 노하우가 축적되어 있어도 계획단계와 관리단계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경제적 손실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의 불만을 오히려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폐광지역의 생태학적 재이용 측면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계획과 관리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지형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정책결정단계에 적용함으로써 경제적 가치, 환경적 가치 그리고 공익적 가치 창출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다.

전산유체역학 모델을 활용한 여름철 종관기상관측소의 기온과 바람 관측 환경 평가 (Evaluation of the Air Temperature and Wind Observation Environments Around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s in Summer Using a CFD Model)

  • 강정은;노주환;김재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5_1호
    • /
    • pp.471-484
    • /
    • 2022
  • 본 연구는 전산유체역학 모델을 이용하여 기상청에서 운용하는 종관기상관측소(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10개 지점을 대상으로 ASOS 주변 지형과 건물이 기온과 바람(풍속, 풍향) 관측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ASOS에서 최근 10년간 8월의 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모델의 초기·경계 자료를 구축하였다. 실제 토지 피복을 고려한 경우와 모든 피복을 초지로 가정한 경우에 대해, 관측 고도에서 초기 기온 대비 기온 변화율을 비교함으로써 기온 관측 환경을 분석하였다. 기온 관측 환경은 관측 지점 주위의 토지 피복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았다. ASOS 주변에 지표면 온도가 높은 건물과 도로가 밀집한 경우에 기온 변화율이 크게 나타났다. 반면, 모든 토지 피복을 초지로 가정한 경우에는 초기 기온 대비 기온 변화율이 작았다. 실제 토지 피복을 고려하여 관측 고도의 유입류 대비 풍속 변화율과 풍향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풍속과 풍향 관측 환경을 분석하였다. 풍속과 풍향은 ASOS 주변에 관측 고도보다 높거나 비슷한 높이의 지형과 건물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원거리에 위치한 장애물에 의한 영향도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종관기상관측소의 이전과 신설 단계에서 관측 환경 평가에 활용될 것이다.

AHP 기법을 활용한 GIS기반의 사전환경성검토 노선선정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oute Selecting System based on GIS for Prior Environmental Review using AHP)

  • 김상석;장용구;양승태;강인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2-163
    • /
    • 2007
  • 현재 시행되고 있는 사전환경성검토는 부분 항목별 수치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어 종합적인 사전환경성검토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수치자료의 활용이 미흡하여 환경성검토 분석결과의 객관성이 저하되고 있고, 평가비용과 시간도 많이 소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8개 사전환경성 검토요소에 대한 지리정보체계의 공간분석기능을 도입하였으며, 개별 요소들의 평가결과를 통한 종합적인 검토를 수행할 수 있도록 계층분석기법을 활용한 사전환경성검토 GIS 의사결정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사전환경성 검토 GIS 의사결정 시스템과 기 구축된 GIS 데이터의 활용을 통해 환경성 검토에 객관성의 충족 및 시간 비용 절감이 가능하여 사업초기에 도로노선선정 시 사전환경성 검토에 활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을 통하여 수치적이고 시각적인 자료를 활용한 평가로 주민의 합의를 보다 용이하게 이끌어 낼 수 있고, 사업초기에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면서 도로건설에 따른 환경성을 검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가야산국립공원의 잠재자연식생 추정 (Simulation Map of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in the Gayasan National Park using GIS)

  • 김보묵;양금철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2호
    • /
    • pp.115-121
    • /
    • 2017
  • 본 연구는 가야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지리정보시스템(Geometric Information System, GIS)을 이용 식생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여, 식생분포 확률을 기초로 가야산국립공원의 잠재자연식생을 추정하였다. 가야산국립공원의 현존식생조사 결과 128개의 군락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야산국립공원의 고도, 경사, 사면방위, 지형지수, 연평균 온도, 온량지수, 잠재증발산량의 7개 요인을 중심으로 군락별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분포확률을 추정하였다. 잠재자연식생의 분포확률이 0.3이상인 군락은 소나무군락의 출현확률이 55.80%로 가장 높았으며, 신갈나무군락이 44.05%, 상수리나무군락이 0.09%, 굴참나무군락이 0.06%로 나타났다. 식생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요인으로 한정할 경우 가야산국립공원의 잠재자연식생은 신갈나무군락(43.1%)과 소나무군락(56.9%)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교통소음지도 작성을 위한 3차원 도시모델 구축 : 항공 LiDAR와 GIS DB의 혼용 기반 (Extraction of Three-dimensional Hybrid City Model based on Airborne LiDAR and GIS Data for Transportation Noise Mapping)

  • 박태호;전범석;장서일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2호
    • /
    • pp.985-991
    • /
    • 2014
  • The combined method utilizing airborne LiDAR and GIS data is suggested to extract 3-dimensional hybrid city model including roads and buildings. Combining the two types of data is more efficient to estimate the elevations of various types of roads and buildings than using either LiDAR or GIS data only. This method is particularly useful to model the overlapped roads around the so called spaghetti junction. The preliminary model is constructed from the LiDAR data, which can give wrong information around the overlapped parts. And then, the erratic vertex points are detected by imposing maximum vertical grade allowable on the elevated roads. For the purpose of efficiency, the erratic vertex points are corrected through linear interpolation method. To avoid the erratic treatment of the LiDAR data on the facades of buildings 2 meter inner-buffer zone is proposed to efficiently estimate the height of a building. It is validated by the mean value(=5.26 %) of differences between estimated elevations on 2 m inner buffer zone and randomly observed building elev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