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9초

친환경직불제에 따른 농작 선택과 수질오염 (Environmental Direct Payments and Water Emissions)

  • 김호석
    • 환경정책연구
    • /
    • 제6권1호
    • /
    • pp.61-81
    • /
    • 2007
  • 농산물에 대한 시장수요는 가격탄력성이 작기 때문에 기술진보나 여타 생산성 향상요인에 의해 공급이 확대되면 시장가격이 크게 하락하고 농가의 이윤은 감소한다. 일반적인 경쟁시장 작동원리에 따르면 농업 부문에 투입된 부존자원은 다른 산업으로 조정될 것이다. 하지만 농업부문의 경우 다른 산업으로의 신축적인 자원조정(resource adjustment)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농산물의 과다 생산과 낮은 소득수준이 지속된다. 정부가 농업부문 보호를 위해 다양한 정책수단을 도입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농업부문이 다른 산업에 비해 취약한 수익구조를 가지고 있어 경쟁시장에서는 식량안보라는 편익을 사회적으로 적절한 수준에서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농업부문 보호를 위해 정부가 취하는 대표적인 정책은 가격지지정책과 소득보조정책이다. 직접지불제는 정부가 농가의 소득을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보조금의 한 형태로 농산물의 가격과 교역조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 WTO농업협정의 감축대상 보조금에서 제외되어 최근 새로운 농업보호 수단으로 운용되고 있다. 친환경직불제는 환경보전형 농업에 대한 직접지불제로 농약이나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생산하는 농가에 대해 일정 보조금을 지급하는 제도이다. 국내에서 1999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친환경직불제는 유기농산물의 공급을 확대시키고 농업시장 개방에 대응한 농업부문의 경쟁력 제고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공급되는 친환경농산물이 저농약이나 무농약농산물이라는 점과 유기질비료 사용을 적절하게 조절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환경보전형 농업'인지에 대해서는 장담할 수 없는 실정이다. 현행 친환경직불제하에서 농약과 화학비료의 투입량이 감소하는 것은 명확하다. 하지만 유기질비료의 투입이 증가한다는 것도 명확하다. 따라서 농약과 화학비료의 감소에 따른 환경질 개선정도가 유기질비료 투입 증가에 의해 상쇄된다면 친환경직불제의 '친환경성'은 보장되지 않는다. 만약 비료에 대한 수요가 큰 농가를 중심으로 친환경농업이 이루어진다면 친환경직불제의 환경오염 저감잠재력은 더욱 취약해질 것이다. 본 논문은 친환경농업으로의 전환에 대한 유인을 정의하고 낮은 토양질의 농가들이 전환에 더 큰 유인을 갖게 됨을 보이고 있다.

  • PDF

바이오매스 자원 DB 구축과 분포도 작성 (Establishment of Database and Distribution Maps for Biomass Resources)

  • 김이현;남재작;홍석영;최은영;홍승길;소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379-38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매스자원별 실태 및 동태적 변화를 알아보기 쉽게 시간적 공간적인 분포와 추세를 시각화하여 주제별 분포지도를 작성하였다. 분뇨 배출량은 축종별 사육두수에 따른 원단위 배출량을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전국 가축분뇨배출량 지도를 작성하여 분석해본 결과 경기남부 지역과 충청남도 북부 지역에서 분뇨배출량이 많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시군구 단위의 조사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음식물 폐기물 폐수발생량, 음식물 쓰레기 매립, 재활용 분포지도에서는 수도권지역이 공공시설 및 민간시설 모두 음식물 폐기물 폐수발생량이 높게 나타났고, 민간시설 부분에서는 경상도 일원이 폐수발생량이 높았다. 강원도, 전남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분포도가 높게 나타났다. 바이오매스자원으로 활용가치가 높은 농업부산물인 볏짚 생산량 분포도를 시 군 단위로 작성하였는데 볏짚 생산량이 많은 곡창 지역의 경우 바이오에너지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들 결과를 통해 바이오매스 발생원별 분포지도는 정책입안자, 농민, 일반인에게 바이오매스 자원에 대한 정보를 가시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친환경 농업정책 추진과 바이오 에너지 이용 정책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정유를 이용한 환경친화적 수삼 저장병 방제 (Environment Friendly Control of Gray Mold, a Ginseng Storage Disease Using Essential Oils)

  • 김중배;김남규;임진하;김선익;김현호;송정영;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236-241
    • /
    • 2009
  • 본 연구는 정유를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으로 Botrytis cinerea에 의한 수삼 저장병 방제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정유의 일종인 methyl eugenol은 200 ppm 농도의 배지상에서 80% 이상의 높은 균사 생육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상온에서 수삼에 직접 처리 시 무처리구에서 80% 이상의 발병률을 보일 때 methyl eugenol이나 thymol 모두 분무와 침지처리구에서 10~20% 이하로 낮게 발병하여 높은 병 방제효과를 보였다. 저온($4^{\circ}C$)에서의 처리결과도 실온과 비슷하게 포장크기와 상관없이 무처리구에 비해 발병률이 매우 낮게 나타나 역시 실용적인 효과가 뛰어났다. 2 kg 이상을 분석한 대포장 실험에서도 무처리구는 발병지수가 1.65를 보인 반면 methyl eugenol은 0.60으로 개체별 발병면적이 상대적으로 매우 좁게 나타났다. 그러나 두 물질(methyl eugenol+thymol)의 혼합처리에 의한 상승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Methyl eugenol은 잔류독성이 없고 수삼 저장병 발생 억제효과가 뚜렷해 수삼 저장 시 처리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제제로서 활용 가능하며 특히 신선한 상태로 섭취가 가능해야하는 수삼의 특성으로 볼 때 수삼 저장병 방제제로서의 활용가치는 더욱 클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유통 농산물 중 과채류와 근채류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위해성 평가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nd Risk Assessment for Fruit Vegetables and Root Vegetables of Environment-friendly Certified and General Agricultural Products)

  • 안지운;전영환;황정인;김효영;김지환;정덕화;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64-169
    • /
    • 2012
  • 전국 6개 도시에서 유통되고 있는 농산물 중 과채류인 토마토와 참외, 근채류인 마늘, 감자 및 양파에 대한 농약잔류실태와 위해성을 평가하였다. 수집된 250점의 시료는 GC/ECD, GC/NPD 및 HPLC/UVD을 이용한 다성분 동시분석법으로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2점 시료에서 17종의 농약이 검출되었으며, 관행농산물 32점, 유기농산물 1점, 무 농약농산물 4점, 저농약농산물 5점에서 검출되었다. 1점의 관행농산물 감자에서 검출된 myclobutanil, 8점의 관행농산물 및 2점의 저농약농산물 참외에서 검출된 procymidone은 작물에 대한 농약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농약이었으며, 관행농산물 감자에서 검출된 fenbuconazole 1점과 관행농산물 토마토에서 검출된 phorate 1점의 검출량은 잔류허용기준치를 초과하여 부적합 농산물로 분류되었다. 검출된 농약과 그 검출량을 토대로 농약의 1일 섭취허용량을 산출하여 식품을 통해 매일 섭취되는 농약이 인간에게 미치는 위해도를 평가한 결과 ADI 대비 최저 0.0064%에서 최고4.6035%로 낮은 %ADI 값을 보였고 5종의 농산물 섭취에의한 위해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Separation of Phosvitin from Egg Yolk without Using Organic Solvents

  • Jung, Samooel;Ahn, Dong Uk;Nam, Ki Chang;Kim, Hyun Joo;Jo, Cheor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11호
    • /
    • pp.1622-1629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method to separate phosvitin from egg yolk without using organic solvents. Phosvitin was extracted from yolk granules using 10% NaCl or 10% $(NH_4)_2SO_4$ (final concentration) and then treated with heat to precipitate the lipoproteins from the extracted solution. The optimal pH for the phosvitin extraction from yolk granules was determined, and the iron-binding ability of the extracted phosvitin (final product) was tested. Adding 10% $(NH_4)_2SO_4$ disrupted the granules, and the subsequent thermal treatment at $90^{\circ}C$ for 1 h precipitated low density and high density lipoproteins, which enabled separation of phosvitin by centrifugation. The phosvitin concentration in the extract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the pH of the solution was adjusted to pH ${\geq}9$. The purity and recovery rate of phosvitin at the end of the separation process were approximately 78% and 56%, respectively. The separated phosvitin was confirmed to have ferrous and ferric iron binding ability. The advantages of this new method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methods include no organic solvents and high-priced equipment are needed for the separation. Also, this method is more environment and consumer friendly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methods.

The analysis of value chains for the chestnut industry in Chungcheongnam-do

  • Lee, Bo-Hwi;Ji, Dong-Hyun;Kang, Kil-Nam;Kim, Se-Bin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2호
    • /
    • pp.298-307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value of the chestnut industry by analyzing the value chain structure. Based on the value chain theory, it is divided into primary activities and support activities. Thus, in total, 27 subjects from Gongju, Buyeo, and Cheongyang were interviewed an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garding the value chain structure of the chestnut industry, the primary activities consisted of production followed by cultivation and storing, sorting and packaging, transportation and marketing sales. The support activities were divided into production infrastructure, policy, R&D, and systematization. The primary activities are able to maximize profits through cost reductions. The production was divided into gener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cultivation. Depending on the labor force, it is family-centered labor. However, the installation of harvest nets depends on a hired labor force (40 - 60%) such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a mechanized harvest to replace the manpower for the cost reduction. Transportation, marketing sales, and backdoor selling (38.1%) were higher than the existing channels (31.0%) using the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The enhancement of value could be created by maximizing profits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the links between each subject. The production showed strong connections with cultivation/storing, sorting/packing, and backdoor selling and the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The processing stage is a very simple structure,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R&D and to support promotions, infrastructure, machines, and sales increases, which should be expanded by connections with other industries like the food industry.

우리나라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의향분석 (An Analysis of Consumer's Taste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 이종성;오주성;손흥대;양원진;정원복;정순재;김도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33-441
    • /
    • 2002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반응과 친환경 농산물 구입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경험적 통계학적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소비 확대와 친환경 농업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발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소비자들의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인식의 정도와 주요 구입처, 친환경 농산물의 단점, 친환경 농산물을 구입하지 않는 이유 등 구입 실태에 대한 것은 설문조사를 통하여 살펴보았고 이를 토대로 친환경 농산물 구입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ANOVA분석, 상관분석으로 변수들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성향 분석 결과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구입이 있는 소비자는 전체 응답자의 88.2%였으며, 채소류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이유는 건강이나 질병치료를 위해서가 많았으며, 대부분 소비자들이 친환경 농산물의 가격이 높아 구입이 어렵다는 의견도 많았다. 그리고 일반농산물과의 선호도에서는 85.8%가 친환경 농산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장래에도 가격이 저렴하고, 재배 유통과정이 확실하면 계속 구입하겠다는 의견이 89.3%로 나타났다. 따라서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의향에서 나타난 친환경 농산물의 소비 저해 요인을 최소화하고 소비를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재배 및 유통 과정을 투명하게 소비자에게 알려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도록 철저한 품질인증 관리와 함께 관행재배 농산물이 유사 판매되지 않도록 하며, 잔류 농약으로부터 안전한 건강식품이라는 것을 소비자에게 인식시키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친환경 농산물 판로를 다양하게 하고, 고소득층이 사는 지역을 대상으로 일반 생필품과 함께 친환경 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는 장소를 확대하는 한편, 생산 및 유통 판매 과정에서 발생되는 비용이 절감시켜 지나치게 높은 가격으로 판매되지 않도록 하여 친환경 농산물이 일반 농산물보다 더 비싸게 받아야 하는 이유를 소비자가 납득할 수 있도록 근거를 제시하는 등 소비 확대 노력이 전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목적 기능을 가진 수목보호패드의 성능 연구 (Performance Research of a Multi Functional Tree Protection Pad)

  • 정용조;이경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3-143
    • /
    • 2018
  • In spite of the growing importance of landscaping trees, the rate of flawed and withered trees damaged by pest, disease, drought or frost is increasing.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Tree Protective Pad, which are developed to reduce the failure ratio in landscape planting, the tree protective pad for 'digging', 'pest controlling', and 'insulating' are tested based on the five functional criteria; moisturizing effect, wither preventive effect, pest and disease control, thermal effect, tensile strength, and environmental performanc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moisturizing effect of the tree protective pad for digging is found to be outstand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esting the pad on trees, in particular, it is better than jute tape in wither preventive effect, which means it is expected to prevent flaw and wilt from planting during the improper seasons like summertime. The experiment of installing the protective tree pad for pest controlling to the trunk of Quercus mongolica shows that preventive effect of the pad from diseases and insects is superior, and it also has economical effect by reducing the use of agricultural chemicals. The comparative test of the pad for insulating and jute tape prove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pad is about $2^{\circ}C$ higher than outside. The rate of tensile strength and biodegradation of the pad exceeds the optimal level, so it is revealed that the pad may be the work efficient and environment-friendly product. Likewise, by timely irrigating trees, the tree protective pad economically prevents trees from pest, disease,drought or frost, which may be caused by improper seasonal or delayed planting. As a means of reducing the flaw and facilitating the growth of trees, the exceptional performance of the pad is expected to effectively used in landscape planting and management.

제주 콩 클러스터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the Jeju soybean cluster)

  • 고성보;현창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740-3746
    • /
    • 2010
  • 제주의 콩산업은 식품 안전경쟁력, 품질경쟁력, 가격경쟁력, 시장교섭력이 열위에 있는 실정이다. 또한 콩가공제품은 단순가공 및 제품 다양화가 부족한 실정이고, 가공업체도 영세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의 콩이 처한 현실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생산, 가공, 유통 및 조직 부문 전반에 걸쳐 수직적 수평적 유기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제주 콩 클러스터 구축 방안을 제시했다. 제주 콩 클러스터는 제주 콩 클러스터 사업단을 설치하고 생산시스템, 연구개발시스템, 산업화지원시스템, 실용기술지원시스템, 서비스지원시스템을 갖추고, 이를 총괄하는 운영본부를 둔다. 제주 콩 클러스터 사업단의 조직화가 확립되어 유통조직체계가 구축이 되면 농가에게는 환경친화적 콩 식품 원료를 생산하게 하고 또한 안정된 판매처와 소득을 확보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충북지역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친환경 식재료에 대한 이용실태 및 인식 (Use and Perception of Environmentally-Friendly Ingredients by Dietitians in Chungbuk)

  • 정상희;이영은;박은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0호
    • /
    • pp.1567-1582
    • /
    • 2015
  • 본 연구는 충북지역 영양(교)사들을 대상으로 친환경 식재료에 대해 학교급식에 적용하고 있는 이용실태, 인식 및 의견, 친환경 급식제도 개선을 위한 요구도와 구매절차 개선방안을 조사하였다.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친환경 농산물은 '잡곡류(58.9%)'였고 가장 사용하고 싶은 친환경 농산물은 '과실류(43.6%)'로 나타났다.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친환경축산물은 '계란(36.6%)'이었고 가장 사용하고 싶은 친환경축산물로는 '돼지고기(40.8%)'로 응답되었다. 친환경 수산물을 사용한 적이 없다는 응답은 81.7%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가장 사용하고 싶은 수산물은 '어류(54.5%)'로 조사되었다. 친환경 식재료 선택 시 '신선도'가 가장 중요시 되었고, 수산물은 농 축산물에 비해 친환경의 사용빈도가 매우 낮았고 수산물 인증에 대한 개념의 이해 정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인증에 대한 신뢰도와 필요성도 낮은 수준으로 응답되었다. 중요도는 '친환경 인증 여부'와 '공급능력'이 높게 평가되었다. 친환경 식재료 공급업체의 납품능력에 대해 농 축산물은 보통 정도로 나타난 반면에 수산물의 경우 납품능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친환경 식재료를 검수하기 위해 농산물은 '부착된 마크', 축산물은 '친환경 인증서류', 수산물은 '친환경 인증서류', 가공식품류는 '부착된 마크'를 각각 활용하였다. 친환경 식재료 최소 품질 요구 기준으로 무농약 농산물 수준 이상이 납품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친환경 급식제도 개선을 위해 신뢰할 수 있는 납품업체 확보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고, 구매절차에 대한 개선안으로는 친환경 학교급식 전담센터 설치에 대한 요구도가 높게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