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repreneurial Temperament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창업 전 기업가기질과 사회적 자본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Temperament and Social Capital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before Start-up)

  • 윤기창;이재은
    • 산경연구논집
    • /
    • 제8권6호
    • /
    • pp.97-109
    • /
    • 2017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temperament (ET) such as innovativeness, risk-taking, and proactiveness in entrepreneur's lifetime before start-up an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SC) such as network ties and trustworthines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examined the components of ET (innovativeness, risk-taking, and proactiveness) and components of SC (network ties and trustworthiness) through existing prior research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affecte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first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hat entrepreneurial temperament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network ties of social capital, and the second hypothesis assumed that entrepreneurial temperament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ustworthiness of social capital. Finally, the second hypothesis assumed that social capital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We collected 175 data using questionnaires for people who have not yet started a start-up. And we used the Structure Equation Modeling (SEM) to evaluate the collected data and to test the research model by the two step research procedure. Results - As a result, the innovativeness and proactiveness of E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etwork ties and trustworthiness of SC, but the effect of risk-taking on risk-taking of SC is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network ties and network ties of SC was reveal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I. Conclusions - The implications of this article could be observed as mentioned in this paper. First, we found that entrepreneurial innovativeness and proactiveness are helpful in constructing SCs, but not risk-taking.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ET of entrepreneurs is important factor i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Second, the SC that an entrepreneur built before the start-up has a meaning for EI. In conclusion, ET was affected partially to EI mediated SC. It is academic in that ET and SC ar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and have a mediating role between ET and EI, unlike those directly affecting EI. Although some important implications were found in this study, this study had some limitations and we hope that future research will be complemented.

청소년 기업영재의 기질 및 성격 특성 (Temperament and Character of Entrepreneurial Gifted Students)

  • 최민경;이행은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89-107
    • /
    • 2013
  • 기업영재에 대한 연구는 최근 새롭게 떠오른 분야로 날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영재의 선천적 특성과 후천적 성격을 구분하여 측정함으로써 청소년 기업영재의 기질 및 성격 표준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10년과 2011년 두 해에 걸쳐 특허청 및 한국발명진흥회에서 선발 육성하는 '지식재산기반 차세대영재기업인'으로 선발된 중학생과 고등학생 총 246명의 JTCI 수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업영재는 모든 기질 및 성격 척도에서 동일 학교급의 일반 청소년집단과 구분되었으며, 그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기업영재의 표준적 특성으로 기질적 낙천성과 성격적 성숙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기업영재는 기질적인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강화하는 등 적응적인 측면에서도 일반 청소년들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기업영재는 과학영재집단 및 성적우수집단, 그리고 고지능집단과도 차별화됨으로써 하나의 독특한 영재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논의에서는 이 연구가 기업영재 및 창의적 인재 개발 분야에서 갖는 함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업영재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Concepts and Features of the Entrepreneurial Gifted)

  • 최민경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6호
    • /
    • pp.1117-1145
    • /
    • 2013
  • 기업영재에 대한 연구는 최근 새롭게 떠오른 분야로서 날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영재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탐색을 통해 기업영재의 개념에 대해 전반적으로 개관하고 저자 나름의 견해를 제안함으로써 향후 이어질 기업영재의 학술적 기반 확립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그간 기업영재를 대상으로 수행된 선행 연구 문헌을 분석하여, 기업영재의 생애 초기 개인 및 환경 특성, 기질 및 성격 특성, 인지 특성, 진로 및 흥미특성을 종합하였다. 둘째, 기업영재 관련 연구에서 우선적으로 고찰해야 할 연구 분야로 기업가, 잠재적 기업가, 발명영재 등 기업영재 제 유사 개념, 기업가정신, 생애발달, 그리고 관리능력 및 실용 지능과 같은 능력 요소를 제안하고, 이들 분야와 기업영재와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기업영재의 개념적 정의는 '기회 추구 및 혁신을 위해서는 위험을 기꺼이 감수하고 인력 및 자원에 대한 관리-조정 잠재력이 뛰어난 자'이다. 논의에서는 기업영재 연구가 현재의 교육 및 정책에 제시하는 함의를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