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Search Result 113, Processing Time 0.016 seconds

Determinants of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Progress: A Case Study of SME Entrepreneurs in Manado, Indonesia

  • PRAMONO, Rudy;SONDAKH, L.W.;BERNARTO, Innocentius;JULIANA, Juliana;PURWANTO, Agus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v.8 no.1
    • /
    • pp.881-88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ptively reveal the demographic and business profile and personal-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in Manado, the capital of North Sulawesi, and secondly to associate these profiles and characters to their business progress. A sample size of 21 respondents was drawn - selected from those who warmly welcomed the interviewers for an open-ended structured questionnaire. SPSS 24 has been employed to descriptively reveal the sample distribu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and business entities and to determine the dominant factors affecting the progress of the business by testing the hypothesis on the association of variables under study using specified statistical analytical tools, such as regression analysis, especially stepwise regression formula, between specified dependent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and /or between all variables.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has enabled the researcher to determine which variables are the most important reflect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theorized as "locus of control": self-efficacy, needs for achievement, personal traits, and barriers to business progress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progress of business does have an association and is dependent on the source of capital and education, needs for achievement and locus of control.

The Correlation Influences by the Quality of Product Pivoting Boot Camp and its level of Training Satisfaction on the Applying Will to Their Real Business of High-tech Ventures in the Early Stage of Growth (창업도약기업 제품개선훈련프로그램의 품질과 전반적 만족도가 현업적용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Kim, Myung-Seuk;Yang, Young-Seok;Hwangbo, Yu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3
    • /
    • pp.37-46
    • /
    • 2018
  • This paper define the research problem as the jeopardized situation of most startups in early chasm. Korean government have put more policy focus on helping these startups to jump over the chasm. One of the effective policy measures helps these startups defining the core competencies validated from target customers, in-housing them effectively, and therefore enhancing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against the competitors by "Product Pivoting Training Boots Camp." It ultimately give the key nudge to startups in struggling with unsold products after initial launch to the market. This paper carried out the empirical test to the target sample of startups participating in this camp. In particular, this research analyze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startups, as move along with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 and training program, going through this camp whether it enhance their will of application into real business case. The survey were delivered and collected from 203 startups in attending "Product Pivoting Academy, the following program of Startup Jump-up package policy module.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all startups participating in this academy were so much satisfied and motivated strongly to take the training process into applying real business case in order to increase sales. The quality of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had mediating variable effects on the will of application with respect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It imply that the program should put more attention on improving coaches' nudge and learning motivation of participants to enhance the level program satisfaction.

친사회적 동기가 사회적 기업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존재감(Social Worth)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조대범;이채원;마크 마이어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4.04a
    • /
    • pp.27-34
    • /
    • 2024
  • 사회적 기업가정신은 기업가정신 분야의 연구에서 많은 학자와 산업계의 관심을 받고 있는 주제이다. 특히 사회적 기업을 창업하거나 사회적 기업에서 일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일반 사람들과 다른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선행 연구들은 공감, 도덕적 판단, 지각된 사회적 규범 등의 요소들로 설명하고 있다. 이는 전통적인 기업의 창업자와 비교되며, 사회적 기업가정신에 중요한 선행요소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공감능력이 뛰어나고, 공동체에서 사람들과 잘 어울리며, 남을 돕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가 높은 것은 아니며, 이런 특성을 가진 모든 사람들이 사회적 기업에서 일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사회적 기업가적 동기에 관한 선행 연구 중에 동기와 행동을 연결하는 복잡한 매커니즘에 대해 설명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며, 대부분 공감(Empathy), 사회적 자기 효능감(Socia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도덕적 의무감 등의 요소를 규명하는데 집중되어 왔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사회적 기업적 의도를 설명하는 타인 지향적 동기(other-oriented motives)와 사회적 기업 직업정체성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사회적 기업에 참여하려는 개인의 성향을 촉진시키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전국 일반고, 특수목적고 및 특성화고등학교와 대안학교 학생 4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타인 지향적 동기요소인 친사회성 동기, 사회적 존재감과 사회적 기업 직업정체성의 관계 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6 버전을 활용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직업정체성에 친사회적 동기와 사회적 존재감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특히 사회적 존재감은 친사회적 동기와 직업정체성과의 관계에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역지사지 성향을 가지는 학생일수록 사회적 기업에서 일을 할 의도가 높아지고, 남을 돕고자 하는 의지가 높은 학생, 공동체 의식이 높은 학생일수록 사회적 기업에서 일을 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회적 존재감은 이 과정에서 간접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직업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규명하고 사회적 기업에 참여하려는 개인의 성향을 촉진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이 요인들이 교육을 통해 강화할 수 있으므로 사회적 기업 창업가 육성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