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ity

검색결과 2,067건 처리시간 0.037초

은닉 마르코프 모델과 계층 정보를 이용한 개체명 경계 인식 (Named Entity Boundary Recognition Using Hidden Markov Model and Hierarchical Information)

  • 임희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82-187
    • /
    • 2006
  • 본 논문은 통계 기반 접근 방식인 HMM(Hidden Markov model)과 생물학의 개체명에 관한 온톨로지 정보를 이용한 생물학 문서에서의 개체명(named entity) 경계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31개의 자질 정보를 이용한 평탄화 기법을 사용하며 생물학 개체명의 계층 정보를 이용하여 HMM의 자료 부족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개체명 경계 인식의 학습과 실험을 위하여 GENIA 코퍼스 ver 2.1을 사용하였으며 개체명 경계 인식 실험을 수행한 결과 모든 부류를 사용한 경우보다 정확도 및 실행 속도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PDF

Towards Effective Entity Extraction of Scientific Documents using Discriminative Linguistic Features

  • Hwang, Sangwon;Hong, Jang-Eui;Nam, Young-Kw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3호
    • /
    • pp.1639-1658
    • /
    • 2019
  • Named entity recognition (NER) is an important techniqu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data mining and big data analytics. In previous studies, NER systems have been employed to identify named-entities using statistical methods based on prior information or linguistic features; however, such methods are limited in that they are unable to recognize unregistered or unlearned objects. In this paper, a method is proposed to extract objects, such as technologies, theories, or person names, by analyzing the collocation relationship between certain words that simultaneously appear around specific words in the abstracts of academic journals. The method is executed as follows. First, the data is preprocessed using data cleaning and sentence detection to separate the text into single sentences. Then, part-of-speech (POS) tagging is applied to the individual sentences. After this, the appearance and collocation information of the other POS tags is analyzed, excluding the entity candidates, such as nouns. Finally, an entity recognition model is created based on analyzing and classifying the information in the sentences.

한국어 제목 개체명 인식 및 사전 구축: 도서, 영화, 음악, TV프로그램 (Named Entity Recognition and Dictionary Construction for Korean Title: Books, Movies, Music and TV Programs)

  • 박용민;이재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3권7호
    • /
    • pp.285-292
    • /
    • 2014
  • 개체명 인식은 정보검색 시스템, 질의응답 시스템, 기계번역 시스템 등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개체명 인식은 일반적으로 PLOs(인명, 지명, 기관명)을 대상으로 하며, 주로 미등록어와 고유명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고유명사나 미등록어는 중요한 개체명 후보로 쓰일 수 있다. 하지만 도서명, 영화명, 음악명, TV프로그램명과 같은 제목 개체명은 PLO와는 달리 단어부터 문장까지 매우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어서 개체명 인식이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뉴스 기사문을 이용하여 제목 개체명을 빠르게 인식하고 자동으로 사전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특수기호로 묶인 어절을 추출하고, 주변 문맥 단어 및 단어 거리를 이용하여 SVM으로 제목 후보들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제목 후보들은 상호 정보량을 가중치로 SVM을 이용해 제목 유형을 분류하였다.

Using Non-Local Features to Improve Named Entity Recognition Recall

  • Mao, Xinnian;Xu, Wei;Dong, Yuan;He, Saike;Wang, Haila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303-310
    • /
    • 2007
  • Named Entity Recognition (NER) is always limited by its lower recall resulting from the asymmetric data distribution where the NONE class dominates the entity classes. This paper presents an approach that exploits non-local information to improve the NER recall. Several kinds of non-local features encoding entity token occurrence, entity boundary and entity class are explored under Conditional Random Fields (CRFs) framework. Experiments on SIGHAN 2006 MSRA (CityU) corpus indicate that non-local features can effectively enhance the recall of the state-of-the-art NER systems. Incorporating the non-local features into the NER systems using local features alone, our best system achieves a 23.56% (25.26%) relative error reduction on the recall and 17.10% (11.36%) relative error reduction on the F1 score; the improved F1 score 89.38% (90.09%) is significantly superior to the best NER system with F1 of 86.51% (89.03%) participated in the closed track.

  • PDF

다중 개체 모형을 적용한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사례분석 (A Case Study on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 Applying Multiple Entities)

  • 이주연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3-214
    • /
    • 2010
  • 최근 메타데이터 표준의 국제적 흐름은 기록을 둘러싼 다양한 맥락정보를 개체로 설정하고 이들 각 개체 간의 다양한 관계를 보여주는 다중 개체 모형의 적용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다중 개체 모형을 적용한 기록관리 메타데이터의 표준인 ISO 23081-2, 호주, 뉴질랜드, 호주의 뉴사우스웨일즈주, 퀸즈랜드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 아주 표준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은 1) 적용범위, 2) 개체수, 3) 개체 내 카테고리, 4) 요소 설계 방법을 중심으로 비교하고, 다중 개체에 있어서 가장 핵심인 관계(relationship) 개체가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앞선 분석을 통해 다중 개체 모형을 적용하여 표준을 제정 할 때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들을 정리해 본다.

중심체 목적함수를 이용한 다차원 개체 CLUSTERING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Dimensional Entity Clustering Using the Objective Function of Centroids)

  • 이철;강석호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5
    • /
    • 1990
  • A mathematical definition of the cluster is suggested. A nonlinear 0-1 integer programming formulation for the multi-dimensional entity clustering problem is developed. A heuristic method named MDEC (Multi-Dimensional Entity Clustering) using centroids and the binary partition is developed and the numerical examples are shown. This method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bottle-neck entity informations.

  • PDF

엔터티 검색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검색 키워드 마이닝 (Mining Search Keywords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Entity Search)

  • 이선구;온병원;정수목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9호
    • /
    • pp.451-464
    • /
    • 2016
  • 최근 Google Product Search와 Yahoo Pipes와 같은 엔터티 검색이 각광을 받고 있다. 특정 엔터티와 관련 있는 웹 페이지를 검색하기 위해 엔터티 검색이 사용된다. 그러나 엔터티(예를 들면, 차이나타운 영화)가 다양한 의미(예를 들면, 차이나타운 영화, 차이나타운 음식점, 인천 차이나타운 등)을 포함하고 있다면 엔터티 검색의 정확성은 크게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웹 페이지의 빈도수와 엔터티 관련성 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Frequent Pattern (FP)-Tree에 기반을 둔 질의어의 중요도를 측정하고 베스트 질의어를 제안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에 의하면, 기존 방안의 정확도가 10% 미만인데 비해, 제안 방안의 평균 정확도는 59%로, 약 5배 향상시킨다.

전사적 데이터 모델 개발을 지원하는 사례기반 의사결정지원시스템 (A case-based DSS to support enterprise data model development)

  • 박동진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고려대학교, 서울; 26 Oct. 1996
    • /
    • pp.218-221
    • /
    • 1996
  • 전사적 데이터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업에 있어서 중요하게 관리되어져야 할 주요 entity들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entity의 결정은 시스템 개발 전 단계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의사결정이나, 아직까지 이는 매우 주관적일 뿐 아니라 의사결정자의 경험 및 전문성에 매우 의존적이다. 또한 때로는 entity의 결정에 필요 이상의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entity결정에 직면한 의사결정자를 지원하기 위하여, 사례기반 추론 기술을 채택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설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에서는 과거에 성공적으로 entity를 결정했었다고 평가되는 사례로부터, 해당 기업의 상황에 적합한 새로운 결론을 도출해서 의사결정자를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 PDF

ER_Modeler: 개체 관계 모델 기반 논리적 데이터베이스 설계 도구 (ER_Modeler: A Logical Database Design Tool based on Entity-Relationship Model)

  • 정인환;김영웅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1-17
    • /
    • 2011
  • 본 논문은 개체 관계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논리적 데이터베이스 설계도구인 ER_Modeler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ER_Modeler는 윈도우 상에서 개체 관계 다이어그램(Entity-Relationship Diagram: ERD)을 작성할 수 있는 그래픽 편집도구 기능과 생성된 ERD 정보로부터 논리적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정의하기 위해 데이터 정의어(Data Definition Language: DDL)를 자동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업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Erwin 제품과의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해 XML을 이용하여 ERwin과의 Export/Import 기능도 제공해준다.

Value Object를 이용한 EJB 엔티티빈의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erformance on EJB Entity Bean with Value Object)

  • 최은희;이남용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1)
    • /
    • pp.403-405
    • /
    • 2001
  • In an EJB 1.1 specification, every method call made to the Enterprise Java Bean, is potentially remote call. Such remote invocations use the network layer regardless of the proximity of the client to the bean, creating a network overhead. Especially. because entity bean is more notable performance fail by remote call than session bean, frequency of use on Session Bean in work-site operations is much more than Entity Bean. We focus on how to improve the performance on the entity bean with Value Object, which is one of J2EE patterns suggested by Sun Microsystems. We presents related design-issues fur performance testing, the testing results compared with original entity bean and our findin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