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erovirus, Coxsackievirus B3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4초

2002년도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의 발생양상 (Outbreak Pattern of Isolated Enterovirus Causing Aseptic Meningitis in Busan, 2002 Years.)

  • 조경순;정명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9-183
    • /
    • 2004
  • 2002년도 부산지역의 병ㆍ의원으로부터 의뢰된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으로 의심되는 환자의 가검물을 대상으로 바이러스 분리를 시도한 결과 703건의 검체 중 83건의 장내바이러스를 분리하였다. 이 중 echovirus 2, 3, 6, 7, 9, 13, 25, 29, 30 혈청형이 72건으로 가장 많았고, coxsackievirus B3과 B4혈청형이 11건으로 예전에 비해 보다 다양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월별발생 양상은 4월부터 11월까지 넓은 발생 분포를 나타내었지만 특히 6월과 7월에 가장 발생률이 높았다. Echovirus와 coksackievirus는 Veroft HEp-2 세포주에서 강한 병변 효과를 나타내었다. 연령별 및 성별 감염현황은 0-10세 사이의 어린이가 주로 발생하였고, 여아에 비해 남아의 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내었다.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echovirus 및 coxsackievirus의 형태학적 양상은 모두 envelope가 없고 크기가 30∼35nm로 아주 작은 구형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세포병변 효과가 나타난 세포배양액에 대하여 nested PCR을 수행한 결과 echovirus 및 coxsackievirus 모두 437 bp위치에 단일 띠를 나타내었으며, serotype은 국립보건원 소화기바이러스과에 의뢰하여 확인 동정하였다.

1997년에 부산지역에서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 (Global analysis of Aseptic Meningitis in Pusan Area in 1997)

  • 박영희;김원정;손병희;김성원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5권1호
    • /
    • pp.115-120
    • /
    • 1998
  • 목 적 : 1997년 하절기에도 부산지역에서는 소아에서 무균성 뇌막염이 유행하였다. 이는 1990년대에 들어서 1990년, 1993년, 1996년에 이어 4번째의 유행으로서 전국적인 유행의 일부였다. 이에 저자들은 1997년 하절기에 부산지역에 유행하였던 소아의 무균성 뇌막염의 특징을 알아보고,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4월 상순부터 10월 하순까지 부산 성분도 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임상증상 및 뇌척수액 검사상 뇌막염소견을 보이며 세균배양 검사상 균이 자라지 않는 환아 2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1) 성별분포는 남아 167례(63%), 여아 98(37%)로 남녀비는 1.7:1 이었다. 2) 평균 연령은 $6.2{\pm}3.29$세였다. 3) 유행시기는 4~10월이었다. 4) 임상증상은 발열 99.6%, 구토 99.2%, 두통 99.2% 발진 6.0%였다. 5) 발열기간은 $3.34{\pm}2.21$일이었다. 6) 입원기간은 $5.3{\pm}3.21$일이었다. 7) 혈액검사상 백혈구수는 $11,200{\pm}4,163/mm^3$이었다. 8) 뇌척수액 검사상 백혈구수는 $156.1{\pm}394.7/mm^3$이었다. 9) 원인 바이러스는 coxsackievirus B5, echovirus 6, 30, type nonspecific enterovirus 등이 검출되었다. 결 론 : 1997년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은 1996년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과 비교해 보았을 때, 발생연령이 증가하였고, 발열기간과 발진의 빈도가 감소하여 전반적인 임상증상은 경하였다. 유행시기는 4~10월로, 1996년 5~10월과 차이가 없었으며 원인 바이러스는 coxsackievirus B5, echovirus 6, 30, type nonspecific enterovirus이었고, 1996년은 echovirus 9, coxsackievirus A24, type nonspecific enterovirus였다.

  • PDF

Kaempferol의 MAPK 신호 조절을 통한 심근염 유발 엔테로바이러스 증식 억제 (Kaempferol Inhibits Enterovirus Proliferation through MAPK Signal Regulation)

  • 장진화;정해인;임병관;남상집
    • 생약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73-178
    • /
    • 2017
  •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single compound of plant extract in coxsackievirus B3 (CVB3) infection. CVB3 is a main cause of Hand-foot-mouth diseases (HFMD) and viral myocarditis in children and adult. Several single compounds of plant extract were purified by HPLC and tested as antiviral drug candidate. Among them, kaempferol was selected to effective anti-enterovirus compound by HeLa cells survival assay. CVB3 infected HeLa cells were treated with kaempferol ($100{\mu}g/ml-100ng/ml$) and their antiviral effect was confirmed. After 16 hours of treatment, HeLa cells were lysed and proteins were extracted for western blot analysis. CVB3 viral capsid protein VP1 production and transcription factor eIF4G-1 cleavag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100{\mu}g/ml$ kaempferol treatment. Virus replication was observed by virus RNA amplification. Kaempferol strongly reduced virus positive and negative strand RNA amplification. Moreover, MAPK signal induced by CVB3 infection, pERK and pmTOR, kaempferol treatmen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ctivity. Plant extract single compound, kaempferol, is a strong candidate to be developed non-toxic anti-enterovirus treatment agent.

적복령 추출물의 심근염 유발 엔테로바이러스 증식 억제 효과 (The Effect of Poria cocos Extract to Inhibit Enterovirus Replication)

  • 한재영;김진희;임병관
    • 생약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37-142
    • /
    • 2016
  • Enterovirus is a common cause of several severe diseases such as myocarditis, hand-foot-mouth disease, and meningitis in children and adult. There are many try to develop new antiviral drug for direct treatment in virus infection. However, synthetic chemical antiviral drug is not working. To overcome this limitation, we examined plant extracts. The antiviral effect of plant extracts was screened by HeLa cell survival assay in coxsackievirus B3 (CVB3) infection. We observed a strong antiviral effect of Poria cocos extract in a dose-dependent manner (1 mg/ml~0.01 mg/ml). P. cocos extract (1 mg/ml) treatment was dramatically decreased virus protease 2A induced eIF4G-I cleavage and virus capsid protein VP1 production. CVB3 positive and negative strand RNA amplification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P. cocos extract treatment. P. cocos extract completely blocked early time activation of ERK and AKT activity in CVB3 infection. Taken together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treatment of P. cocos extract strongly inhibit CVB3 replication. Poria cocos extract may possible to developed as a therapeutic agent for enterovirus.

2000-2002년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의 발생양상 및 특성 (Isolation of Enterovirus Causing Aseptic Meningitis in Busan, 2000-2002 Years)

  • 조경순;정명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48-252
    • /
    • 2003
  • 2000년~2002년 사이 부산지역의 병의원으로부터 의뢰된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환자로 의심되는 환자의 가검물을 대상으로 바이러스 분리를 시도한 결과 2000년에는 검체 292건 중 2건, 2001년에는 371건 중 4건, 2002년에는 703건 중 83건의 장내바이러스를 분리하였다. 2000년에 분리된 원인 바이러스의 경우 echovirus 11 혈청형과 coxsackievirus B2 혈청형이, 2001년에는 coxsackievirus B5 혈청형만이 분리되었으며, 2002년에는 echovirus 2, 3, 6, 7, 9, 13, 25, 30 혈청형이 70건으로 가장 많았고, coxsackievirus B3과 B4 혈청형이 10건으로 예전에 비해 보다 다양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월별발생 양상은 2000년에는 동절기인 12월과 1월에, 2001년에는 5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였으며, 2002년에는 4월부터 11월까지 넓은 발생 분포를 나타내었지만 특히 6월과 7월에 가장 발생율이 높았다. Echovirus와 coxsackievirus는 Vero와 HEp-2 세포주에서 강한 병변 효과를 나타내었다.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echovirus 및 coxsackievirus의 형태학적 양상은 모두 envelope가 없고 크기가 30~35 nm로 아주 작은 구형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세포병변 효과가 나타난 세포배양액에 대하여 nested PCR을 수행한 결과 echovirus 및 coxsackievirus 모두 436 bp 위치에 단일띠를 나타내었으며, serotype은 국립보건원 소화기계바이러스과에 의뢰하여 확인 동정하였다.

Membrane associated guanylate kinase inverted-3의 AKT signaling을 통한 enterovirus replication 조절 (Membrane-associated Guanylate Kinase Inverted-3 Modulates Enterovirus Replication through AKT Signaling Activation)

  • 박진호;남궁예나;임병관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182-1188
    • /
    • 2016
  • Membrane associated guanylate kinase inverted-3 (MAGI-3)는 세포-세포 연접의 형성을 유도하는 막단백질인 membrane associated guanylate kinases (MAGUKs)의 한 종류 단백질로 140 kDa 크기를 가진다. MAGI-3는 PTEN/MMAC와 함께 협력하여 AKT/PKB의 kinase 활성을 조절하거나 MAPKs 신호전달경로로 ERK 활성을 조절로 한다. Coxsackievirus B3 (CVB3)는 가장 일반적으로 감염된 심근 세포 사멸으로 인한 바이러스성 심근염을 일으키는 enterovirus에 속하는 인간 병원체이다. 이전 연구에서 protein kinase B (PKB, 또는 AKT)와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1/2 (ERK1/2)의 활성은 HeLa 세포에서 CVB3 복제를 위해 필수적임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enterovirus 복제와 AKT 신호 활성조절에서 MAGI-3의 역할을 검증하였다. MAGI-3-Flag의 발현은 CVB3 감염 후에 AKT 신호 활성과 viral capsid protein VP1의 발현을 유도하였으며 이는 MAGI-3에 의한 enterovirus 증식 조절을 보여주었다. AKT 신호는 MAGI-3 발현에 의해 enterovirus 감염과 함께 유의하게 증가하고 이것은 감염 바이러스의 증식을 활발하게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MAGI-3의 발현은 AKT와 ERK의 활성이 증가하고, 더 나아가 바이러스 증식과 연관이 있다는 것을 입증한다. MAGI-3는 아마도 AKT 신호 조절을 통해 enterovirus 증식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Fructus Amomi Cardamomi Extract Inhibits Coxsackievirus-B3 Induced Myocarditis in a Murine Myocarditis Model

  • Lee, Yun-Gyeong;Park, Jung-Ho;Jeon, Eun-Seok;Kim, Jin-Hee;Lim, Byung-K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1호
    • /
    • pp.2012-2018
    • /
    • 2016
  • Coxsackievirus B3 (CVB3) is the main cause of acute myocarditis and dilated cardiomyopathy. Plant extracts are considered as useful materials to develop new antiviral drugs. We had previously selected candidate plant extracts, which showed anti-inflammatory effects. We examined the antiviral effects by using a HeLa cell survival assay. Among these extracts, we chose the Amomi Cardamomi (Amomi) extract, which showed strong antiviral effect and preserved cell survival in CVB3 infection. We investigated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ability of Amomi extract to inhibit CVB3 infection and replication. HeLa cells were infected by CVB3 with or without Amomi extract. Erk and Akt activities, and their correlation with virus replication were observed. Live virus titers in cell supernatants and viral positive- and negative-strand RNA amplification were measured. Amomi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HeLa cell survival in different concentrations ($100-10{\mu}g/ml$). CVB3 capsid protein VP1 expression (76%) and viral protease 2A-induced eIF4G1 cleavage (70%)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momi extract ($100{\mu}g/ml$) treated cells. The levels of positive- (20%) and negative-strand (80%) RNA were dramatically de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as revealed by reverse transcription-PCR. In addition, Amomi extract improved mice survival (51% vs 26%) and dramatically reduced heart inflammation in a CVB3-induced myocarditis mouse mode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momi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Enterovirus replication and myocarditis damage. Amomi may be developed as a therapeutic drug for Enterovirus.

1997년 경상남도 중부지방에서 유행한 무균성 뇌막염의 임상적 고찰 (Epidemics of Aseptic Meningitis in Kyoungsangnamdo from March to October, 1997)

  • 박선영;권오수;김원엽;정원조;마상혁;김상기;남성진;조성래;구본천;이규만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5권1호
    • /
    • pp.104-114
    • /
    • 1998
  • 목 적 : 장바이러스는 무균성 뇌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1993년과 1996년에 국내에서 유행하였던 무균성 뇌막염은 주로 echovirus type 9에 의한 것이었다. 무균성 뇌막염의 유행시 원인 바이러스를 밝혀내는 일은 진단뿐 아니라 역학적인 의미에서도 필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1997년도에 마산 지역을 포함하는 경상남도 중부지역에서 유행하였던 무균성 뇌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원인 바이러스를 규명하고 임상증상과의 관계를 추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7년 3월부터 10월까지 마산 파티마병원에 무균성 뇌막염으로 진단된 환자 239명(소아 213명, 성인 26명)에서 채취한 검체(뇌척수액 128례, 대변 239례)를 대상으로 바이러스 배양과 enterovirus RNA 검출을 시행하였다. 배양된 바이러스는 면역형광법을 이용하여 동정하였고 장바이러스 RNA는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 과 : 1) 환자의 발생시기는 3월부터 10월까지였으며 6월에 가장 많은 환자의 분포를 보였다. 2) 대상 환자 239명(소아과 213명, 내과 26명)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소아환자의 평균연령은 4.9세로 신생아에서부터 15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고 16세이상 내과 병동에 입원하였던 환자는 평균 연령이 24.2세로 16세에서 35세까지의 연령 분포를 보였다. 3) 환자에서 바이러스 분리는 뇌척수액 128례중 53례(41.4%), 대변에서는 239례중 163례(68.2%)에서 분리가 되었다. 4) 분리된 바이러스의 결과를 보면 뇌척수액에서는 echovirus type30이 16례(30.2%), echovirus type 6이 6례(11.3%), echovirus type 4가 1례, 아형이 결정되지 않은 echovirus가 4례, coxsackievirus type B5가 1례, 아형이 결정되지 않은 enterovirus가 24례 이었다. 한편 대변에서는 echovirus type30이 72례(44.2%), echovirus type 6이 21례(12.9%), echovirus type 4가 1례, 아형이 결정되지 않은 echovirus가 17례(10.4%), coxsackievirus type B5가 1례, A24가 2례, 아형이 결정되지 않은 coxsackievirus type B가 3례, 아형이 결정되지 않은 enterovirus가 46례였다. 결 론 : 1997년 3월부터 10월까지 경상남도 중부지방에서 무균성 뇌막염의 유행이 있었으며 원인 바이러스는 echovirus type 30이 주된 원인 바이러스이었고 그 외에 echovirus type 4, 6, coxsackievirus B5, coxsackievirus A24에 의한 무균성 뇌막염의 산발적인 발생이 있었다.

  • PDF

부산지역 무균성 뇌막염 원인 바이러스의 분리 및 동정 - 1998년을 중심으로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septic Meningitis Virus in Pusan, 1998)

  • 조경순;김만수;정구영;민상기;구평태;김병준;윤재득;지영미;김기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65-169
    • /
    • 1999
  • The incidence of aseptic meningitis infection is ensuing and threatening the health of children. Enteroviruses are the major agents of aseptic meningitis and identification of virus has been a clue to diagnosis and epidemiology. The outbreak of aseptic meningitis occurred in Pusan, 1998. Patients were concentrated from April through November. Children were more susceptible than adults. Among 306 cases of specimens from stool, throat swab tested, only 7.2% were positive on virus isolation, 12 cases from stool and 10 from throat, respectively. All isolated 7 serotypes of viruses represented cytopathic effect on cultured cells. Three types of echovirus 6.25, 30 and coxsackievirus B2, B3, B4, B6 were identified by neutralizing antibody test. Isolated coxsackievirus and echovirus were observed by an electron microscope with negative staining.

  • PDF

무균성 뇌막염 환자에서 뇌척수액과 대변 채취 시점에 따른 PCR의 유용성 (Utility of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according to sampling time in CSF and stool specimens from patient with aseptic meningitis)

  • 김묘징;이혜진;최정미;정수진;허재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7호
    • /
    • pp.745-750
    • /
    • 2006
  • 목 적 : 장바이러스는 모든 연령층에서 무균성 뇌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확진은 뇌척수액에서 직접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것이나 시일이 많이 걸리고 민감도가 낮아 뇌척수액, 대변 등 환자의 검체에서 바이러스 RNA를 탐지하는 PCR법이 대두되었다. 무균성 뇌막염 환자에서 뇌척수액과 대변의 채취 시기에 따라 검체별 PCR 양성률이 달라서 이에 관한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 환자에서 무균성 뇌막염을 진단함에 있어 증상 발현 후 뇌척수액과 대변 검체의 채취 시기에 따른 검체별 PCR의 유용성을 알고자하였다. 방 법 : 2005년 6월 11일부터 8월 30일까지 부산 일신기독병원에 입원하여 무균성 뇌막염으로 진단 받은 42례를 대상으로 임상 증상의 발현 시점에서 뇌척수액과 대변 채취 시기에 따른 검체별 PCR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 과 : 뇌척수액의 경우 증상 발현 시점부터 검체 채취 시기까지의 기간이 2일 이내였던 18례 중 PCR 양성은 9례(50.0%)로 2일이 지나 채취된 검체 24례 중 PCR 양성 1례(4.2%)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반면 대변의 경우는 일주일까지 채취 시점에 관계없이 PCR 양성률이 평균 90.5%로 지속적으로 높았다. 뇌척수액 10례(23.8%)에서 장바이러스 PCR이 양성이었고, 바이러스가 밝혀진 9례(21.4%)에서 coxsackievirus B5 6례, coxsackievirus B3 3례였다. 대변의 경우 42례 중 38례(90.5%)에서 장바이러스 PCR이 양성으로 echovirus 18 7례, echovirus 9 3례, coxsackievirus B5 8례, coxsackievirus B3 3례였다. 뇌척수액과 대변에서 동시에 배양된 경우는 6례로 모두 coxsackievirus B5였다. 결 론 : 대변을 이용한 PCR은 장바이러스 뇌막염 동안 장바이러스를 검출하는 임상적으로 민감한 검사법으로 질병 경과 동안 진단을 예측하게 한다. 결정적인 진단은 뇌척수액 PCR에 의해 얻어지나 발병 2일 후 얻어진 검체에서는 그 유용성이 매우 낮아서 임상 증상이 2일 이상 경과하였을 때는 뇌척수액 PCR 이외에 대변을 이용한 PCR을 같이 검사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